위성곤 "AI 매몰관리 늦장대응, 환경오염 위험 가중"

기사입력:2017-01-04 10:29:05
[로이슈 안형석 기자] - AI 매몰용 저장탱크, 질 낮은 제품사용으로 파손 및 침출수 유출 우려
- 설치대상 매몰지 181개소 중 105개소 관측정 미설치

위성곤 "AI 매몰관리 늦장대응, 환경오염 위험 가중"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매몰지에 대한 관리 소홀과 뒷북 대응으로 환경오염 등 2차 피해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위 의원이 입수한 농림축산식품부의 AI일보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AI로 살 처분한 가금류의 매몰지는 모두 396개소이며 FRP(섬유강화플라스틱) 등 저장탱크를 이용한 경우가 210개소, 호기성호열식(미생물 등 투입)이 112개소, 일반매몰이 74개이다.

국민안전처 및 지자체 등에 의하면 현재 매몰비용은 지자체나 농가가 부담한다. 이에 따라 재정 문제 등으로 FRP 등 저장조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충북도청 관계자에 따르면 20만 마리 매몰을 기준으로 FRP 저장조 방식은 1억원, 호기성호열 방식은 4억원이 소요된다. 이처럼 FRP 등 저장조 방식의 매몰이 늘어나면서 저질의 FRP 저장 탱크가 사용되는 등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국민안전처는 "매몰 처리 시 사용하는 저장탱크에 대한 규격, 재질, 강도 등에 대한 구체적 기준의 미비 및 수급차질 때문에 정화조, 옥상 물탱크용 등 질 낮은 제품사용으로 매몰 이후 파손 및 침출수 유출 등 2차 피해가 우려 된다"고 밝혔다.

현재 농림축산식품부의 AI 긴급행동지침(SOP)에는 FRP 저장조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적정 두께 등의 기준이 없고 충분한 물량의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또 매몰지 밖으로 침출수가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모니터링해 지하수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측정의 설치도 더딘 상황이다.

환경부가 지자체에 확인한 결과 지난 1일 기준으로 설치대상 매몰지(호기성호열 및 일반 매몰지 중 매몰규모 10톤이상) 181개소 중 관측정이 설치된 매몰지는 76개소뿐이다.

AI 긴급행동지침상 관측정의 설치 완료기한 규정은 없지만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설치가 필요하다는 것이 방역당국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위성곤 의원은 "AI가 반복 발생하고 이미 확산됐음에도 지금에야 매몰 관련 제도개선 등을 추진하는 정부의 뒷북 대응이 환경오염 위험마저 가중시켰다"며 "관측정 설치와 제도개선, 저장탱크 감독·보완 체계가 보다 신속하고 강력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안형석 기자 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45.82 ▼9.29
코스닥 910.05 ▼1.20
코스피200 373.22 ▼0.8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00,791,000 ▲16,000
비트코인캐시 817,500 ▼3,000
비트코인골드 67,450 0
이더리움 5,069,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46,530 ▼180
리플 890 ▼4
이오스 1,562 ▼15
퀀텀 6,805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00,950,000 ▲29,000
이더리움 5,074,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46,580 ▼220
메탈 3,204 ▼9
리스크 2,883 ▼14
리플 891 ▼5
에이다 928 ▼2
스팀 48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00,814,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817,000 ▼2,000
비트코인골드 67,550 ▲200
이더리움 5,06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46,510 ▼170
리플 889 ▼4
퀀텀 6,810 ▼25
이오타 50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