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자살, 하사‧중사 91명 소‧중위 15명…초급간부 자살률 33%

­ 송갑석 의원, “5년간 군인자살 320명 중 육군 227명으로 71% 차지”
­계급별론 준‧부사관 139명, 병사 117명, 장교 46명, 군무원 18명
기사입력:2023-10-10 14:18:13
지난 9월 11일 전남도청 왕인실에서 열린 2023 더불어민주당-전라남도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송갑석 의원(오른쪽부터 두 번째) 등이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9월 11일 전남도청 왕인실에서 열린 2023 더불어민주당-전라남도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송갑석 의원(오른쪽부터 두 번째) 등이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회 국방위원회 송갑석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서구갑)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지난 2018년부터 올 6월까지 군인 자살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군인은 320명으로 드러났다.

군인 자살 사고는 2018년 51명, 2019년 59명에서 2020년 38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2021년 77명으로 급증했다. 2022년엔 65명, 올 6월까지는 30명으로 파악됐다. 매년 평균 58명의 군인이 안타까운 삶을 마감한 셈이다.

군별론 육군이 227명으로 전체 자살의 71%를 차지했다. 이어 공군이 47명으로 15%, 해군이 38명으로 12%, 해병대는 8명, 2%로 밝혀졌다. 계급별론 준‧부사관 자살이 139명인 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병사는 37%인 117명, 장교가 46명으로 14%, 군무원 18명 6% 순이다.

특히 간부 자살 사고는 초급 부사관인 하사‧중사 계급 자살이 91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초급 장교인 소위‧중위 자살사고 15명을 포함하면 초급 간부 자살 사고는 106명으로 늘어난다. 이는 전체 자살률의 33%에 해당된다.

초급 간부는 부대에서 장병 관리와 현장 통솔 등 중요 업무를 전담한다. 하지만 낮은 급여와 복지 혜택 등 정책적 지원은 열악해 경제적 문제․과도한 업무 등의 고충이 대표적인 자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송갑석 의원은 “군이 국방 헬프콜‧병영생활담당관 등 군인 자살 사고를 막기 위한 대책을 시행 중이지만 자살사고 예방엔 한계를 보인다”며 “군 생활 중 폭언‧폭행‧업무 과중을 이유로 극단적 선택을 하지 않도록 병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이어 “특히 초급 간부에 대한 급여‧지원금 인상과 고충 관리‧맞춤형 상담 등 실효성 있는 자살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65.42 ▼21.28
코스닥 687.39 ▲3.90
코스피200 328.67 ▼4.2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675,000 ▲94,000
비트코인캐시 441,300 ▲700
이더리움 2,646,000 0
이더리움클래식 23,530 ▼20
리플 3,149 ▼6
이오스 1,132 ▼7
퀀텀 2,760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683,000 ▲158,000
이더리움 2,648,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520 ▼20
메탈 998 ▲1
리스크 704 ▲2
리플 3,150 ▼1
에이다 964 ▲3
스팀 1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56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439,600 ▼1,100
이더리움 2,644,000 0
이더리움클래식 23,550 ▲10
리플 3,145 ▼6
퀀텀 2,737 0
이오타 24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