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신종철 기자] 뿔난 영화계가 26일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을 즉각 철회하라”며 “철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영화인은 연대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독립예술영화관모임,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전국영화산업노조, 한국영화학회는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영화단체들에 따르면 지난 1월 23일 정경진 부산시 정무부시장과 김광희 부산시 문화관광국장은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집행위원장을 만나 ‘서병수 부산시장의 뜻’이라며 사퇴를 권고했다.
이어 KNN과의 통화에서 직접적 사퇴 언급이 없었다고 부인하던 부산시는 논란이 커지자 1월 24일 ‘부산국제영화제의 운영 개선과 개혁 추진 필요성에 대한 부산시의 입장’이라는 보도 자료를 통해 “이용관 집행위원장의 거취문제를 비롯한 인적 쇄신 등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영화단체들은 “사실상 이용관 집행위원장의 사퇴 권고를 인정한 것”이라며 “초유의 일”이라고 말했다.
이용관 집행위원장은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 출범 당시 수석프로그래머였으며, 부집행위원장, 공동집행위원장을 거쳤고 김동호 명예집행위원장의 뒤를 이어 2010년 집행위원장이 됐다. 또 2013년 2월 총회에서 3년 임기의 집행위원장에 연임돼 임기가 내년 2월까지다.
영화단체들은 “지난해 10월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당시 서병수 부산시장은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의 상영 취소를 요청한 바 있다”며 “부산시는 ‘정치적 중립성을 해치는 작품’이라는 이유를 들었으나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이빙벨>을 예정대로 상영해 영화제의 독립성을 지켜냈다”고 밝혔다.
이어 “이후 부산시는 12월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의 감사를 단행했고, 우리는 이번 이용관 위원장 사퇴 권고가 <다이빙벨>을 상영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의구심을 나타냈다.
양화단체들은 “부산시장이 부산국제영화제의 조직위원장이긴 하나 특정 영화를 틀거나 틀지 말라고 할 권리는 없다”며 “정상적인 영화제라면 정치인이 작품 선정에 관여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 이유로 “프로그래머들의 작품 선정 권한을 보장하는 것은 영화제가 존립하는 가장 중요한 근거이기 때문”이라며 “부산국제영화제가 지난 19년 동안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로 급성장한 것은 이런 원칙이 지켜졌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영화단체들은 “임기가 1년 넘게 남은 이영관 위원장이 사퇴를 종용 당한 것은 부산시의 보복 조치인 것이 분명해 보이며, 이는 단순히 이용관 위원장 한 개인의 거취 문제가 아니다”며 “표현의 자유를 해치고 영화제를 검열하려는 숨은 의도는 결국 영화제의 독립성을 해치고 19년을 이어온 부산국제영화제의 정체성과 존립마저 흔들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우리는 이런 상황을 초래한 부산시가 지금이라도 사퇴 종용을 철회하길 바란다”며 “만약 지금과 같은 사태가 계속된다면 부산시는 영화인의 심각한 저항에 부딪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영화단체들은 “부산시민과 영화인과 국민이 함께 만들어온 부산국제영화제다. 부산시장의 전향적 태도를 촉구한다”며 “우리는 부산시가 이용관 위원장에 대한 사퇴 종용을 즉각 철회하기를 거듭 촉구한다. 철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영화인은 연대해 싸워나갈 것이다. 우리는 앞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상기구를 조직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영화계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위원장 사퇴 종용 철회하라”
기사입력:2015-01-27 09:19: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8.73 | ▲19.87 |
코스닥 | 726.59 | ▲7.18 |
코스피200 | 340.03 | ▲2.9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96,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525,500 | ▼4,000 |
이더리움 | 2,590,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90 | ▲20 |
리플 | 3,293 | ▼23 |
이오스 | 989 | ▲4 |
퀀텀 | 3,210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50,000 | ▼135,000 |
이더리움 | 2,589,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90 | ▲70 |
메탈 | 1,233 | ▼4 |
리스크 | 783 | ▲3 |
리플 | 3,295 | ▼22 |
에이다 | 1,011 | ▲1 |
스팀 | 22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40,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526,500 | ▼3,000 |
이더리움 | 2,59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20 | ▲40 |
리플 | 3,294 | ▼18 |
퀀텀 | 3,210 | 0 |
이오타 | 32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