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신종철 기자] 법대교수와 법학연구자들의 모임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참여연대,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사랑방, 진보네트워크센터는 26일 “대한변협의 ‘테러방지법’ 찬성 의견서는 헌법의 정신과 법률에 기반한 의견서라기보다는, 청와대와 국정원의 국민통제 시도를 정당화 해주는 의견서에 불과하다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고 질타했다.
이들 단체는 “과거 대한변호사협회는 ‘테러방지법’ 제정 반대하고 시민권을 옹호했다”고 상기시키면서 “인권침해 우려 ‘테러방지법’ 지지한 대한변협 유감”이라는 논평을 통해서다.
먼저 “지난 24일 대한변협이 (새누리당의) 테러방지법에 대해 ‘인권 침해 소지가 없다’는 의견서를 새누리당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대한변협 명의로 작성된 이 의견서는 심지어 내부의 충분한 논의도 거치지 않은 채 대한변협 (하창우) 회장을 비롯한 몇몇 인사들이 모여 논의한 후 제출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미 많은 시민단체와 법률 전문가들이 ‘시민들의 기본권 침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하고 있는 ‘테러방지법’에 대해 대한변협이 ‘문제의 소지가 없다’는 요지의 의견서를 제출한 것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대한변협의 이러한 행위는 기관의 설립목적에도 어긋난다. 대한변협의 설립목적은 ‘기본적 인권의 옹호와 민주적 기본질서의 확립’이다(대한변협 총칙 제2조). 국내 2만여 명의 변호사들을 대표한다는 대한변협에서 내부 논의도 제대로 거치지 않고 특정 정당의 입맛에 맞게 ‘테러방지법’을 지지하는 입장을 성급하게 제출한 것이 이러한 설립목적에 부합하는지 의문이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변호사법에 따라 인권을 보호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변호사의 사명임에도 불구하고, 대한변협은 시민을 통제하고 인권을 침해하는 빅브라더 권력의 하수인으로 스스로 타락해버렸다”고 혹평했다.
이들 단체는 “대한변협의 조치는 외국의 변호사협회들과도 사뭇 다르다”며 “다른 나라의 경우 테러방지법이 통과되려는 움직임이 보일 때마다 변호사협회들이 시민들의 기본권을 옹호하고 인권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발표해 왔다”고 비교했다.
이어 “가장 최근에 일어난 파리 무장공격의 경우, 사건 발생 직후의 어려운 여건에서도 프랑스 변호사협회 회장은 ‘테러로부터 프랑스를 보호하는 내용이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테러방지법에)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미국 변호사협회도 미 애국자법(Patriot Act)에 대해 ‘이 법으로 과도한 권한을 부여받게 될 행정부처가 권한남용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철저하게 검토해야 하며 헌법의 정신을 위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이들 단체는 “사실 과거 대한변협은 2002년과 2003년 두 차례에 걸쳐 국가정보원이 발의한 테러방지법에 대한 반대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당시 발의했던 법안과 현재 논의되고 있는 법안의 기조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상기할 때, 이번 대한변협의 ‘테러방지법’ 찬성 의견서는 헌법의 정신과 법률에 기반한 의견서라기보다는 청와대와 국정원의 국민통제 시도를 정당화 해주는 의견서에 불과하다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고 질타했다.
끝으로 “대한변협은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못하고 무책임하게 의견서를 제출한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변협, 테러방지법 찬성의견…청와대ㆍ국정원 권력 하수인 타락”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참여연대,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사랑방, 진보네트워크센터 기사입력:2016-02-27 10:04:5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17.37 | ▼19.43 |
코스닥 | 728.29 | ▼0.45 |
코스피200 | 333.36 | ▼3.3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509,000 | ▼124,000 |
비트코인캐시 | 655,500 | ▼2,500 |
비트코인골드 | 8,600 | ▲5 |
이더리움 | 5,03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41,390 | ▼60 |
리플 | 4,659 | ▼4 |
이오스 | 1,238 | ▲7 |
퀀텀 | 6,350 | ▲7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614,000 | ▼94,000 |
이더리움 | 5,031,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41,420 | 0 |
메탈 | 1,776 | ▼7 |
리스크 | 1,351 | ▼2 |
리플 | 4,658 | ▼5 |
에이다 | 1,447 | ▼6 |
스팀 | 32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510,000 | ▼90,000 |
비트코인캐시 | 657,000 | ▼500 |
비트코인골드 | 8,500 | ▼50 |
이더리움 | 5,03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41,440 | ▼30 |
리플 | 4,659 | ▼5 |
퀀텀 | 6,405 | ▲80 |
이오타 | 469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