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들이 선정한 2018년 뉴스는 ‘남북정상회담’

기사입력:2018-12-27 09:35:02
[로이슈 편도욱 기자]
㈜형지엘리트의 교복브랜드 엘리트가 연말을 맞아 12월 6일까지 2주간 엘리트학생복 공식 SNS채널을 통해 ‘2018년 분야별 기억에 남는 뉴스’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설문은 총 1,397명의 10대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정치/경제 ▲사회 ▲국제 ▲교육 ▲스포츠 ▲연예/문화 부문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 항목은 2개까지 중복 응답을 허용해 100%로 환산했다.

정치/경제 뉴스는 ‘남북정상회담’, 사회 뉴스는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국제 뉴스는 ‘제주도 예맨 난민’, 교육 뉴스는 ‘쌍둥이 여고생 시험 문제 유출’, 스포츠 분야는 ‘평창올림픽’, 연예/문화 소식은 ‘NCT2018 공개’ 등이 10대 청소년이 꼽은 가장 기억에 남는 뉴스로 선정됐다.

▶ 정치/경제, 10대 학생, 2017년 가장 기억에 남는 뉴스는 ‘남북정상회담’

10대 학생들은 올해 일어난 정치/경제/문화 부문 뉴스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뉴스로 1위는 ‘남북정상회담(41%)’을, 2위는 ‘박근혜, 최순실 징역 선고(27%)’를 선택했다. 특히, 남북정상회담은 1,090표로 모든 뉴스 분야 중 가장 많은 표를 획득했다. 남북 정상 회담은 지난 4월 판문점에서 1차 회담을 시작으로 5월과 9월까지 올 해만 세 차례나 진행됐고, 3위에 선정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7.5%)’과 함께 상당한 남북관계 개선을 이뤄냈다.

또한, 10대 학생들은 과거 올해의 뉴스 설문조사 정치/경제분야에서 2016년 1위로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 2017년 1위로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을 꼽았으며, 이번에도 박근혜-최순실 징역 선고를 2위로 선정해 순위는 한 계단 하락했지만 아직도 해당 사건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회 뉴스,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사회 뉴스 1위는 ‘강서구 PC방 살인사건(37.5%)’이었다. 비교적 최근 사건으로 일상에서 학생들에게 익숙한 장소와 사건의 잔혹함으로 10대 학생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

2위는 ‘양예원 미투 폭로(20.5%)’다. 연초부터 붉어진 미투 운동으로 가해자로 지목 당사자의 투신 자살로 이어져 큰 주목을 받았다. 뒤를 이어 ‘강진 여고생 실종사건(6.5%)’이 있었으며, 대항항공 일가의 갑질(6%), 양진호 회장 갑질(3%) 등 이른바 재벌들의 갑질 사건들도 순위에 있었다.

▶ 교육 뉴스 1위는 ‘쌍둥이 여고생 시험문제 유출’

교육 부문은 ‘쌍둥이 시험문제 유출(36%)’이 차지했다. 학생들에게 민감한 시험 성적 관련 사건으로 본인들과 같은 학생이 연루된 사건이라 크게 주목 받았다. 이어 2019 수능 국어오탈자(23.5%)가 차지했다. 어린이집 운영비리와(12.5%)와 무상급식&무상교복 도입(7.5%)도 순위권에 있었다.

▶국제 뉴스는 ‘제주도 예맨 난민’, 스포츠는 ‘평창올림픽’, 연예 문화 소식은 ‘NCT2018’ 공개

2018년 보도된 국제 뉴스 1위는 제주도 예맨 난민(37.5%), 중국 연예인 판빙빙 탈세(35%)는 2위로 선정됐다. 스포츠 뉴스는 새해부터 전국민의 주목을 받았던 평창올림픽(35%)이 1위를 차지했고, 최근 논란이 된 여자 컬링 팀킴 불화(20.5%)와 손흥민 군면제(20%)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연예/문화에서는 ‘NCT2018 공개(41.5%)’, ‘구하라 폭행 성관계영상 파문(14%)’, ‘무한도전 종영(12.5%)’이 꼽혔다. 아울러 ‘신과 함께 쌍천만 달성(9%)’과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오역(5%)’ 등 영화 관련 이슈도 있었다.

형지엘리트 마케팅팀은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사회적으로 큰 사건 사고들이 많았지만, 남북 정상회담과 같은 희망적인 소식들도 추가됐다”며 “내년에는 사회, 교육분야에서도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소식들이 많아 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3.42 ▲13.01
코스닥 717.77 ▲6.02
코스피200 328.35 ▲2.0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946,000 ▼537,000
비트코인캐시 484,000 ▼3,200
이더리움 2,316,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2,880 ▲20
리플 2,998 ▼15
이오스 906 ▲2
퀀텀 3,080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015,000 ▼385,000
이더리움 2,317,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2,880 ▲30
메탈 1,203 ▲7
리스크 756 ▲1
리플 2,999 ▼16
에이다 898 ▼5
스팀 2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910,000 ▼590,000
비트코인캐시 484,500 ▼2,600
이더리움 2,31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2,890 ▲30
리플 2,997 ▼18
퀀텀 3,060 0
이오타 23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