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 줄인 ‘조용한 아파트’ 눈길

건설사들, 바닥 슬라브는 두껍게…배수관 위치도 바꿔 기사입력:2019-05-27 17:40:28
바닥 콘크리트 두께를 두껍게 한 빌리브 트레비체.

바닥 콘크리트 두께를 두껍게 한 빌리브 트레비체.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최근 신규 분양 단지들은 바닥 슬라브 두께를 두껍게 하고, 건축 방식을 바꾸는 등 저마다 소음 문제를 줄이는데 힘쓰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 2일 작년 말 입주 예정이던 아파트 191가구(공공 22곳, 민간 6곳)의 층간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114가구(60%)가 최소성능기준에 못 미쳤으며, 공공 아파트는 126가구 중 67가구(53%), 민간은 65가구 중 47가구(72%)가 충족이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성능기준은 층간 바닥이 경량충격음(비교적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8dB,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0dB 이하이며, 콘크리트 슬라브 두께는 210㎜ 이상이어야 한다.
또 191가구 가운데 184가구(96%)는 사전 인정받은 바닥구조 성능등급보다 결과치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시공 전과 후의 실제 층간소음 간 차이가 있었다는 의미다.

층간 소음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환경부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에 접수된 층간 소음 상담 건수는 총 2만8231건으로, 2017년(2만2849건) 보다 23.6% 뛰었다. 현장진단까지 받은 경우도 작년에 1만142건에 달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감사원 발표는 최근 입주 아파트 대상 조사인 만큼, 결국 다수 가구가 층간 소음이 심한 곳에 산다는 의미다”며 “건설사들이 신규분양 되는 아파트에는 보다 구체적인 층간소음 저감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 GS건설 ‘방배그랑자이’는 바닥 슬라브 두께를 기존 아파트 대비 40mm 두꺼운 250mm로 설계했으며, 욕실 배관을 아랫집 천장이 아닌 내 집 벽면에 설치해 층간 소음을 줄여주는 욕실 층상 벽배수 시스템을 적용했다. 기둥이 위층 바닥을 받치고 있어 진동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강도가 덜한 기둥식 설계를 도입한 점도 돋보인다. 전체 758가구 중 전용면적 59~84㎡ 256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서울 동대문구에서 한양이 시공하는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192’도 바닥 슬라브 두께를 250mm로 설계했으며, 기둥식구조가 적용된다. 총 1152가구 중 전용면적 84~162㎡ 1120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지방에서는 신세계건설이 광주광역시에 5월말 분양 예정인 ‘빌리브 트레비체’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 두께를 250mm로 선보인다. 단지는 서구 농성동에 들어서며 전용면적 136~205㎡ 총 122가구다.

포스코건설과 태영건설이 경남 양산시에 분양하는 ‘사송 더샵 데시앙’에는 층간소음을 대비해 경량충격음 1등급, 중량충격음 3등급을 적용했다. 총 1712가구, 전용면적 74~101㎡로 나온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84.26 ▼23.37
코스닥 852.67 ▼4.84
코스피200 380.88 ▼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473,000 ▲264,000
비트코인캐시 544,000 ▲2,500
비트코인골드 34,020 ▲80
이더리움 4,979,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3,310 ▲180
리플 688 ▲5
이오스 805 ▼3
퀀텀 3,603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600,000 ▲310,000
이더리움 4,982,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33,320 ▲170
메탈 1,681 ▲5
리스크 1,469 ▼8
리플 688 ▲5
에이다 534 ▼0
스팀 280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550,000 ▲274,000
비트코인캐시 545,000 ▲3,500
비트코인골드 34,030 0
이더리움 4,985,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33,160 ▲30
리플 689 ▲6
퀀텀 3,644 0
이오타 24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