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넨바이오, 이종장기 이식 원스탑(one-stop) 플랫폼 청사진 발표

기사입력:2019-08-21 16:41:06
제넨바이오 주최 이종이식 기자간담회에서 김성주 대표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넨바이오

제넨바이오 주최 이종이식 기자간담회에서 김성주 대표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넨바이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제넨바이오는 2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더국내외 이종장기 산업과 연구 관련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제넨바이오는 국내 첫 원스탑(One-stop) 이종장기 이식 플랫폼으로, 원료돼지 개발부터 이종이식 제품 개발, 실제 이식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연구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제넨바이오 김성주 대표이사와 사외이사인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박정규 단장이 첨단재생의료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종장기 분야와 제넨바이오의 사업에 대해 소개하고, 올해 진행될 이종이식 관련 임상 계획을 전했다.

현재 사회는 장기이식 대기자가 증가하는데 비해 기증을 통한 수급은 한정적인 상황으로, 실제 국내에서만 하루 평균 5명 이상의 장기이식 대기환자가 사망하고 있다. 제넨바이오는 만성적인 이식장기 부족에 대한 대안으로 이종장기를 개발해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전하겠다고 선언했다.

전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장이자 현재 대한이식학회 상임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제넨바이오 김성주 대표는 35년 임상 경험으로 신장 이식만 2,500례 이상을 달성한 국내 이식 분야 최고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김 대표는 "형질전환한 무균 미니돼지를 개발하고 이종이식제품의 비임상시험과 임상이식까지의 과정을 원스톱 플랫폼으로 구축하겠다"며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이식전문병원의 설립이 최종적인 우리의 꿈"이라고 강조했다.

무균 미니돼지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고 인간과 비슷한 장기 크기로 개량한 돼지다. 영장류는 멸종 위기에 처해있으며 성장이 느리고 장기 크기가 사람보다 작다는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 이종간 전염병이 옮기 쉽다는 게 가장 걸리는 점이다. 이에 반해 무균 미니돼지는 장기 크기와 유전자가 인간과 유사하고 번식·성장속도가 빨라 제품화가 가능하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산업적 측면에서 글로벌 이종장기 및 인공장기 시장은 연평균 7.33% 성장해 2024년 448억달러(약 53조원)규모로 전망된다. 특히 이종장기는 재생의료 중에서도 단기간 내 실현 가능한 연구 분야로 전문가들은 이종피부, 이종각막 및 이종췌도가 수년 내 제품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의 박정규 교수는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단장으로 지난 15년 간 보건복지부 지원 연구사업을 이끌며 이종이식 영장류전임상시험에서 세계 최고의 성적을 발표하며 이종이식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이 날 발표에서 박정규 단장은 사업단의 이종장기 이식 연구성과를 소개하며 관련 임상 활성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박 단장은 "현재 국내 이종장기 이식 관련 법 제도가 부족한 가운데 사업단은 연구성과들이 학문에 머무르지 않고 상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며 "앞으로 제넨바이오와 협력해 진행할 환자 대상 이종췌도 이식 임상은 지난해 국제 이종이식학회 윤리 위원회 심의를 통해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 승인을 획득했고, 최종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 허가를 목전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성주 대표는 "국내외 최초 원스탑 이종이식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35년 간 걷던 이식외과 전문의의 길을 중단하고 제넨바이오에서 제 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됐다"며 "간절하게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와 가족들을 매일 지켜보며 더 이상 이종장기 개발을 지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고 사업 추진 배경을 밝혔다.

김 대표는 "제넨바이오는 지난해부터 연구 기술 관련 핵심역량 확보에 집중해왔으며 그 결과 3개 기업, 6개 기관 및 연구팀과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28인의 이식 분야 국내 연구자들로 구성된 과학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비임상 CRO(유효성평가대행서비스) 부분과 조직 판매를 통해 플랫폼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는 사업 전략 또한 완성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제넨바이오는 지난 7월 박정규 단장과 바이오이종장기사업단 연구팀을 대거 영입하며 연구개발의 성장동력을 한층 강화했다. 올해 제넨바이오는 사업단의 무균돼지 이종췌도 임상을 이어 받아 연구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약 1만 3천여평으로 국내 최대 규모 이종장기 연구시설로 건립될 제넨코어센터와 제넨형질전환센터는 형질전환 돼지 양산시설, GMP 등급의 이종장기 제조시설 등을 아우르는 종합 R&D 센터로 2020년 중 완공될 예정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84.26 ▼23.37
코스닥 852.67 ▼4.84
코스피200 380.88 ▼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840,000 ▲68,000
비트코인캐시 549,500 ▲6,500
비트코인골드 38,000 ▲2,470
이더리움 4,934,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33,180 ▲150
리플 685 0
이오스 799 ▲3
퀀텀 3,593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881,000 ▲71,000
이더리움 4,936,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3,250 ▲190
메탈 1,577 ▼7
리스크 1,467 ▼10
리플 686 ▲1
에이다 533 ▲2
스팀 27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848,000 ▲60,000
비트코인캐시 548,500 ▲6,500
비트코인골드 38,850 ▲3,110
이더리움 4,93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33,170 ▲130
리플 686 ▲1
퀀텀 3,644 0
이오타 24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