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246710, 대표이사 윤원수)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국가줄기세포은행 자원을 활용한 전분화능줄기세포주 유래 심근세포의 약물반응 특성정보 구축' 학술 용역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연구기간은 이달부터 2021년 12월까지 총 22개월이며, 티앤알바이오팹 연구팀은 서울의대 생리학교실 연구진과 협력해 해당 연구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를 위한 계약금은 총 5억원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전분화능줄기세포주의 일종인 역분화줄기세포주에서 유래한 심근세포가 약물개발 단계에서 비용의 부담이 큰 독성시험의 대체기술인 in-vitro(생체 外) 독성시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국가줄기세포은행에서 확보한 한국인 유전적 배경에서의 역분화줄기세포주 유래 심근세포를 이용한 부정맥 발생 약물평가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한국인에 적합한 심독성패널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이번 과제를 기획했다.
티앤알바이오팹이 수행하게 될 세부 연구 과제는 △심근세포 분화∙정제 기술 및 성숙도 측정 기술 확보 △국가줄기세포은행 보유 줄기세포주(정상 및 부정맥환자 유래 14종)로부터 심근세포 생산, 분화도 및 주요 이온채널 발현도 정량적 측정 △생산된 14종 심근세포를 활용해 패치 클램프(Patch Clamp)법 등을 통한 심근세포 이온통로 기능 검증 △심근세포를 이용해 약물의 심장독성을 분석하는 MEA(Microelectrode array, 미세전극 신호분석) 평가법 및 활용법 구축 등이다.
미국 FDA 통계자료에 따르면,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 1상에서부터 최종적으로 신약허가가 이뤄질 가능성은 9.6%에 불과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인체 내 독성에 의한 실패가 주요 원인 중 하나인데 이때 간독성과 함께 심장독성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당 과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신약개발의 독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세포자원 기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연구 및 산업의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 임상 처방 중인 항암제, 항우울제 등의 독성반응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부정맥 환자에 적합한 약물 복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향후에는 부정맥 질환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도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티앤알바이오팹, 질병관리본부 용역과제 선정
기사입력:2020-03-16 16:14:4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084,000 | ▲283,000 |
비트코인캐시 | 510,000 | ▲3,000 |
이더리움 | 2,628,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60 | ▼40 |
리플 | 3,128 | ▼4 |
이오스 | 995 | ▲3 |
퀀텀 | 2,987 | ▲1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149,000 | ▲279,000 |
이더리움 | 2,63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200 | ▲10 |
메탈 | 1,147 | ▼1 |
리스크 | 734 | ▲4 |
리플 | 3,130 | ▼4 |
에이다 | 986 | ▲3 |
스팀 | 20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180,000 | ▲370,000 |
비트코인캐시 | 508,500 | ▲1,500 |
이더리움 | 2,628,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10 | ▼170 |
리플 | 3,129 | ▼3 |
퀀텀 | 2,967 | ▼9 |
이오타 | 30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