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는 11월 2일자 성명을 내고 “한진중공업 매각을 단순히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관점이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의 한 축인 조선업의 회복과 지역경제관련 종사들의 고용유지 관점에서 매각을 진행해야 한다”며 “한진중공업 매각에 대한 부산시의 확실한 방침을 밝혀야 한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초의 철강 조선사”, “대한민국 조선 1번지”라는 상징적 타이틀을 가진 한진중공업 매각 전선에 다수의 원매자가 인수전에 참여하면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10월 26일 진행된 예비입찰 결과, 산업은행 계열 자산관리회사인 KDB인베스트먼트-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 케이스톤파트너스의 컨소시엄 이외 한국토지신탁, APC프라이빗에쿼티(PE), NH오퍼스PE 등 다수의 사모펀드사를 포함하여 총 7곳이 입찰에 참여한다고 한다.
한진중공업의 주요사업은 조선업(사업비중 13%)과 건설업(사업비중 60%)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업의 경우 신조선 건조 및 선박수리 사업 등으로 기술경쟁력이 매우 높다. 그러나 조선업황 부진에 따라 세계적인 신조선 발주량의 급감으로 한진중공업의 신조선 수주량 또한 급감했나, 방산업체로서 군함 및 LNG선 등 특수선 건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박수리 또한 대형선 까지 수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는 “한진중공업의 새로운 주인은 이러한 기술경쟁력이 있는 조선업과 건설업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음으로써 회사의경영을 정상화 하여 근로자의 고용을 보장하고 관련협력업체 등과 상생할 수 있도록 관련 분야에 경험과 능력있는 견실한 기업이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하지만 “상당부분의 입찰 참여자들이 사모펀드 및 투자회사로서 한진중공업의 조선/건설 부문의 가치보다는 ‘땅’에 더 관심이 많아 보인다. 연면적 26만m2(8만평) 규모의 영도조선소 부지를 북항재개발 3단계 계획과 연계하여 부지를 상업지로 용도변경하고 건설사업을 진행하면 막대한 수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절대 안된다”고 했다.
조선업의 전반적인 시황은 앞으로 1~2년 후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조선업 경영에 대한 아무런 지식과 대안없이 인수한다면 경영부진의 명분으로 조선업을 철수하게 될 것이고 정규직 근로자 및 협력업체 근로자를 포함해 2천여 명의 일자리는 사라지게 될 것이며 그 여파는 부산경제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수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한진중공업 매각을 단순히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관점이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의 한 축인 조선업의 회복과 관련 종사자들의 고용유지란 관점으로 바라보고 매각을 진행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이 단체는 “우리는 조선소가 사라질 경우 부산지역 경제는 물론, 노동자의 생존권까지 걸려있어 사모펀드의 단독 인수에 반대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 이유로 영도조선소의 용도변경이 이뤄지면 경영난에 처해있는 조선업을 이어나갈 가능성이 낮아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며, 최종적으로는 영도 조선소를 폐기하고 그 부지에 영도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상업지로 용도 변경하여 개발이익을 얻는 것이 사모펀드사의 인수 주요 포인트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지역경제의 한 축인 한진중공업의 매각에 대한 부산시 방침이 보이지 않는다. 한진중공업 매각과 바람직한방향에 대해 신속히 부산시 방침을 밝혀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한진중공업 매각에 대한 부산시의 확실한 방침 밝혀야"
"부산지역 경제는 물론 노동자의 생존권까지 걸린 사모펀드 단독 인수 반대" 기사입력:2020-11-02 10:53:5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77.41 | ▲21.52 |
코스닥 | 711.92 | ▲2.94 |
코스피200 | 328.14 | ▲2.8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626,000 | ▲71,000 |
비트코인캐시 | 470,700 | ▼2,700 |
이더리움 | 2,349,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880 | ▼30 |
리플 | 3,095 | ▼2 |
이오스 | 868 | ▼3 |
퀀텀 | 2,835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703,000 | ▲106,000 |
이더리움 | 2,35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920 | ▼30 |
메탈 | 1,086 | ▲1 |
리스크 | 682 | ▲2 |
리플 | 3,097 | ▼1 |
에이다 | 904 | ▲1 |
스팀 | 19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630,000 | ▲120,000 |
비트코인캐시 | 470,200 | ▼4,500 |
이더리움 | 2,351,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860 | ▼50 |
리플 | 3,095 | ▼2 |
퀀텀 | 2,837 | 0 |
이오타 | 23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