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수도권에서 중대형 타입 청약 경쟁률이 해마다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지역의 경우 전용면적 85㎡ 초과 타입은 추첨 물량에 있어 청약 가점이 부족한 수요자들이 대거 몰린데다, 넉넉한 실내 공간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 증가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수도권 전용면적 85㎡ 초과 타입 청약 평균경쟁률은 2018년 6.8대 1에 머물렀지만 2019년 21.5대 1, 2020년(10월 까지) 144.9대 1로 상승세다.
특히 작년부터는 중대형이 중소형 타입 경쟁률을 웃돌았다. 전용면적 85㎡ 이하 타입 경쟁률은 2018년 13.2대 1, 2019년 16.9대 1, 2020년 28.1대 1을 보였다. 상승폭도 중대형에 비해 더딘 편이다.
이는 전용면적 85㎡ 초과 타입에 추첨 물량이 배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민영주택 기준 투기과열지구는 공급량의 50%, 조정대상지역은 75%가 추첨을 통해 당첨자를 선정한다. 청약이 내집마련의 최선책으로 꼽히는 가운데 가점이 부족한 사람들이 중대형 타입에 청약통장을 사용한 것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3.3㎡당 분양가는 전용 85㎡ 초과 타입이 중소형보다 합리적인 경우도 많고, 규제로 인한 똘똘한 한채에 대한 선호도가 커진 점도 중대형 청약으로 사람들을 끌어 모았을 것”이라며 “특히 코로나19로 내 집이 재택근무, 자녀 교육 공간 등으로 쓰이는 등 내부 활용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넉넉한 면적을 갖춘 타입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내 수도권에서 중대형 타입을 포함한 아파트 공급도 이어져 수요자들의 관심이 뜨거울 전망이다.
먼저 경기 의정부 고산지구 C1, C3, C4블록에서는 총 2407가구 ‘의정부 고산 수자인 디에스티지’가 11월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은 69㎡, 79㎡, 84㎡, 101㎡, 125㎡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했으며, 특히 대형 타입은 택지지구에서 희소성이 높아 인기가 기대된다. 시공은 한양, 보성산업이 맡는다. 단지 내 출입구부터 세대 내부까지 청정 주거환경을 만드는 미세먼지 차단 및 저감 시스템과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언택트 솔루션 구축이 핵심인 ‘수자인스마트홈1.0’이 적용된다.
오산시 원동에서 11월 분양 예정인 ‘오산 롯데캐슬 스카이파크’에도 중대형 타입이 포함돼 있다. 전용면적 65~173㎡P, 총 2339가구 규모다. 오산시 최초로 공급되는 롯데캐슬 브랜드 아파트다. 쌍용건설도 같은 달 안성시 공도읍에 ‘쌍용 더 플래티넘 프리미어’를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59~141㎡, 총 1696가구다. 스타필드 안성점, SRT 지제역, 평택 고덕 삼성반도체공장 등도 가깝다.
서울에서는 현대건설이 계룡건설과 함께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을 이달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84·101㎡의 2개 주택형, 809가구다. 도보거리에 강빛초·중교(2021년 상반기 개교예정) 등이 위치한다. 인천에서는 GS건설이 오는 12월 연수구 송도동 A10BL 일원에 ‘송도크리스탈오션자이(가칭)’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84~205㎡ 총 1503가구 규모의 대단지로단지 내에 마련되는 대형 중앙광장(가칭)이 송도 최대 규모 해안 산책로인 랜드마크시티 수변공원(예정)과 연결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수도권, 85㎡ 초과 평균경쟁률 144대 1…중소형比 5배 ‘치열’
기사입력:2020-11-17 13:49:0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47.43 | ▼29.98 |
코스닥 | 699.11 | ▼12.81 |
코스피200 | 323.53 | ▼4.6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1,968,000 | ▲262,000 |
비트코인캐시 | 469,300 | ▲2,400 |
이더리움 | 2,296,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820 | ▲270 |
리플 | 3,013 | ▲21 |
이오스 | 892 | ▲13 |
퀀텀 | 2,828 | ▲1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1,889,000 | ▲261,000 |
이더리움 | 2,296,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820 | ▲250 |
메탈 | 1,139 | ▲33 |
리스크 | 681 | ▲2 |
리플 | 3,011 | ▲22 |
에이다 | 887 | ▲7 |
스팀 | 19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1,920,000 | ▲290,000 |
비트코인캐시 | 470,500 | ▲3,800 |
이더리움 | 2,297,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810 | ▲280 |
리플 | 3,011 | ▲21 |
퀀텀 | 2,800 | ▼11 |
이오타 | 228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