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정, 신형 모터 완전정복 해볼까?

기사입력:2020-12-21 17:13:32
(사진=국민체육진흥공단)

(사진=국민체육진흥공단)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영삼 기자]
◆ 출전하는 선수와의 궁합과 실전에서 성적 중요

경정에서 모터는 소모품이다. 언제나 최고의 컨디션으로 시합에서 사용되기 위해 통상적으로 2년을 교체 주기로 삼는다. 올해도 꼼꼼한 테스트와 검수를 한 뒤 후반기에 2020년형 모터가 투입됐다. 미사 경정장에서 성능 테스트와 두 차례 시범 경주를 했고 그동안의 데이터 역시 경정 팬들에게 공개를 하면서 정보 제공을 했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당회차 출전하는 선수와의 궁합과 실전에서의 성적이다.

◆ 1, 30, 51, 53, 97번 모터 두각을 나타내며 경정 팬들에게 눈도장 찍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10개월간 휴장 후 재개장했던 지난 42회차(11월 4,5일)부터 44회차(11월 18,19일)까지의 결과물을 토대로 최고의 플레이를 보였던 모터와 앞으로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모터를 선별해 봤다. 먼저 최상위권 모터를 손꼽자면 1번, 30번, 51번, 53번, 97번이다. 1번 모터는 42회차 조성인이 확정검사 6.74와 6.70을 찍으며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냈고 수요일 2위, 목요일 1위를 기록하며 경정 팬들에게 눈도장을 확실하게 찍었다. 44회차 박원규는 조성인보다는 다소 확정검사 타임이 늦은 데다 수요일 5위를 기록해 궁합이 안 맞는 듯했으나 목요 경주 6코스에서 우승을 꿰차 기력을 검증해 줬다.

◆ 30번 모터 기록에 비해 실전에 강한 면모 보여줘

30번 모터 역시 우수했는데 기록에 비해 실전에 강한 특징이 있었다. 42회차 한성근이 처음으로 30번 모터를 손에 쥐었는데 화요일 확정검사에서 중위권 정도의 기록을 나타냈으나 편성을 잘 활용해 2연승을 일궈냈고 연습과 시합을 거듭하면서 소개항주에서도 시속이 올라왔다. 44회차의 권일혁 역시 기록 자체는 눈에 띄지 않았고 편성 또한 강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전 경주에서 모두 시상대에 올라(1착 1회, 2착 1회, 3착 1회) 발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 53번 모터 신인 염윤졍에게 첫 입상 선물
53번 모터의 기세도 만만치 않았다. 42회차에서 데뷔 후 입상이 전무했던 16기 신인 염윤정에게 2착과 3착을 선물했고 44회차에서는 신동길에게도 시즌 첫 우승을 안겨주며 조종자에게 재도약의 기회를 안겨준 것으로 유명해졌다. 김도휘와 호흡을 맞췄던 97번 모터 또한 인상 깊었는데 42회차 확정검사에서 평균 랭킹 2위를 기록했고 폭발적인 가속력과 용수철 같은 순발력을 앞세워 2연승을 꿰찼다.

◆ 61, 80, 86, 66번 모터 상위권으로 평가받아

이 밖에 이미나가 42회차에 장착해 연속 입상을 기록했던 80번 모터와 44회차에서 2승을 챙겨간 61번 모터도 상위권 모터로 평가할 수 있겠다. 43회차에서는 74번 확정검사 시 랭킹 1위를 찍었던 고정환이 1, 2일차 경주에서 모두 입상을 거뒀고 박종덕이 장착한 86번 모터도 전문가들과 경정 팬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44회차에서는 앞서 언급한 이미나의 선전과 함께 이승일도 3연승을 몰아쳤던 만큼 66번 모터 역시 베스트 top10 안에 넣을 수 있겠다. 최상위권 못지않게 맹활약을 했던 모터로 김지현이 장착한 43회차의 117번을 비롯해 김지영과 주은석이 연속 입상한 68번과 120번도 앞으로 눈여겨봐야한다.

◆ 모터 교체 후 최소 3∼4회 평균 기력을 평가하는 것이 안정적

임병준 쾌속정 예상분석 전문가는 “신형으로 모터 교체 후 최소 3∼4회 출전까지 관전 후 평균 기력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라며 “확정검사에서 우열이 확연하게 드러나는 상급과 하급 모터를 우선적으로 걸러내고 중급 모터 중에서 입상이 가능한 요주의 모터를 찾아낸다면 좀 더 적중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조언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92.05 ▲17.66
코스닥 842.12 ▲0.13
코스피200 383.01 ▲3.1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444,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531,500 ▲3,000
비트코인골드 35,540 ▼220
이더리움 4,761,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33,230 ▲210
리플 668 ▲5
이오스 813 ▲3
퀀텀 3,618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549,000 ▲274,000
이더리움 4,76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33,250 ▲190
메탈 1,836 ▼24
리스크 1,434 ▲2
리플 667 ▲2
에이다 547 ▲0
스팀 27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413,000 ▲203,000
비트코인캐시 531,000 ▲1,000
비트코인골드 35,820 ▲80
이더리움 4,76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3,260 ▲220
리플 666 ▲3
퀀텀 3,608 ▼16
이오타 25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