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대구·광주’ 도심융합특구 일대 1만3000가구 분양 예정

판교 제2테크노밸리가 롤모델, 산업·주거·문화 복합인프라 조성
‘테크노밸리’ 덕에 일대 집값 급등…도심융합특구 주변 분양 관심
기사입력:2021-04-26 13:10:17
[로이슈 최영록 기자]
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일대 신규 분양 단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판교 제2테크노밸리를 표방하고 있어 지역가치가 크게 뛸 것으로 기대되는 데다 외곽이 아닌 도심에 조성돼 ‘직주근접’ 프리미엄까지 누릴 수 있어서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대전(중구∙동구), 대구(북구), 광주(서구) 내 도심융합특구 부근에서 연말까지 1만3000여 가구 아파트 분양이 대기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추진 중인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대도시 도심에 들어설 산업·주거·문화 복합인프라 공간이다. 경기 판교 테크노밸리처럼 기업·인재가 모일 수 있는 곳으로 설계될 예정이며, 현재까지 3개 지역이 선정됐다.
먼저 올 3월 지정된 대전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는 선화구역(중구)과 대전역세권구역 일대 총 124만㎡다. 축구장 약 170여개 면적에 달한다. 대전 지하철 1호선과 KTX 대전역 등이 인접해 교통 여건이 좋고, 문화·상업시설 등 생활 인프라가 우수한 원(原)도심에 들어선다.

앞서 작년 12월에는 대구와 광주 내 도심융합특구가 지정됐다. 각각 대구 북구 옛 경북도청~삼성창조캠퍼스~경북대 일원 98만㎡와 광주 서구 상무지구 일원 85만㎡다. 향후 부산과 울산에도 사업 지역이 발표 예정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판교테크노밸리를 표방하는 정부 주도 사업이라는 점에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며 “착공 및 준공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일대 부동산 가치 상승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도심융합특구의 원모델인 판교 제2테크노밸리는 경기 성남시 시흥∙금토동 일원에 면적만 43만㎡에 달하며 현재 조성이 한창이다. 2019년 말 기준 매출 107조원에 달하는 기존 판교테크노밸리 내 입주 기업들과 시너지를 톡톡히 낼 전망이다.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테크노밸리와 접한 삼평동 아파트값은 직주근접 입지가 부각되며 올 3월 기준 16억9450만원으로 5년 전(8억3703만원) 보다 2배 뛰었다.
도심융합특구 일대에서 새 아파트 분양도 잇따른다. 먼저 대전 중구 선화동에는 코오롱글로벌 시공 ‘대전 하늘채 스카이앤 2차’가 5월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84㎡ 아파트 743가구와 오피스텔 50실 등 총 793가구로 조성된다. 전 세대 4Bay(베이) 구조로 설계하며, 일부 타입은 3면에 발코니를 설계해 서비스 면적을 극대화 했다. 데크, 필로티, 조경공간을 연계한 데크형 설계가 적용되며 이곳에 복합 커뮤니티 시설인 ‘하늘채 루미니티’가 조성돼 프라이빗 라이프를 즐길 수 있다.

대구 도심융합특구 인근에서도 올해 분양이 예정돼 있다. 일성건설·우미건설 컨소시엄은 하반기 대구 북구 노원동2가 일원에 ‘대구 노원 트루엘 린’을 분양할 계획이다. 전용면적 38~84㎡, 총 1558가구 규모이며, 이 중 1049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대구 지하철 3호선 팔달시장역, 원대역이 도보권에 자리한다. 한신공영도 연내 북구 노곡동에서 ‘노곡 한신더휴’를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전용면적 73~123㎡. 총 944가구 규모다. 바로 앞에 금호강이 자리하며, 노원체육공원도 가깝다.

광주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된 서구 상무지구 인근 마륵동 일원에도 연내 분양 소식이 있다. 먼저 골드클래스는 ‘마륵동 골드클래스’ 전용면적 84㎡ 총 191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백석산이 가깝고, 광주 지하철 1호선 상무역을 도보로 이용 가능하다. 효성중공업도 광주 마륵동에서 아파트 분양을 계획 중이다. 총 389가구 규모에 전 가구 중대형 타입으로 구성 예정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84.26 ▼23.37
코스닥 852.67 ▼4.84
코스피200 380.88 ▼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625,000 ▲419,000
비트코인캐시 544,000 ▲2,500
비트코인골드 34,020 ▲80
이더리움 4,989,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33,330 ▲200
리플 689 ▲6
이오스 804 ▼4
퀀텀 3,603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712,000 ▲447,000
이더리움 4,989,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33,330 ▲180
메탈 1,682 ▲6
리스크 1,471 ▼11
리플 690 ▲7
에이다 535 ▼1
스팀 2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688,000 ▲442,000
비트코인캐시 543,000 ▲1,500
비트코인골드 34,030 0
이더리움 4,991,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3,160 ▲30
리플 690 ▲8
퀀텀 3,644 0
이오타 24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