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현대중공업 2019년, 2020년 단체교섭 잠정합의안 찬반을 묻는 조합원 총회에서 전체 조합원 7,215명중 6,707명이 투표한 결과 4,335명( 64.6%) 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합의안 주요 내용은 △2019년 기본급 4만6천원 인상(호봉승급분 2만3천원 포함), 성과금 218%, 격려금 100%+150만원, 복지포인트 30만원 등이고, △2020년 기본급 5만1천원 인상(호봉승급분 2만3천원, 단합행사 전환 1만원 포함), 성과금 131%, 격려금 430만원, 지역경제상품권 30만원 등이다.
이로써 2019년 5월부터 시작한 단체교섭을 27개월 만에 마무리하게 됐다. 그동안 현대중공업지부는 19년 물적분할 반대투쟁 과정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현대중공업 노동자들과 함께해온 지역 시민과 언론 등의 많은 도움을 받아왔다.이는 전 세계에서 조선업의 선두 주자인 현대중공업이 울산의 자랑이자 대한민국의 자존심인데도 매번 노사 마찰의 모습에 안타까움으로 바라보는 마음일 것이다.
이번 합의에서 조선산업 발전을 위한 노사선언도 함께 합의한 만큼 향후 현대중공업의 노사관계가 신뢰의 관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사업장 내에 함께 일하는 하청노동자들의 차별 문제 해소에도 총력을 기울여서 노동자와 지역사회가 함께 발전하는 모습으로 나가기로 했다.
금속 현대중공업지부는 이번 교섭을 마무리함과 동시에 곧바로 2021년 임금협상을 준비하여 8월 하기휴가 이후에 교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 2019년 5월, 2019년 임금협상 상견례를 가졌으나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물적분할을 두고 빚어진 노사갈등으로 연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후로도 물적분할 과정에서 발생한 해고자 문제와 고소고발 등 현안을 둘러싸고 대립을 지속하다 2020년 11월부터는 2019년 임협과 2020년 임단협을 통합해 2년 치 교섭을 진행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올해 2월 3일 첫 번째 잠정합의에 이르렀으나 2월 5일 열린 조합원 총회에서 합의안이 부결됐고, 3월 31일 마련한 두 번째 잠정합의안 역시 4월 2일 열린 총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후 노사는 다시 교섭에 나서 7월 13일) 세 번째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고, 16일 열린 총회에서 마침내 가결됐다.
현대중공업의 단체교섭 타결은 여름 정기휴가를 앞두고 지역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타결로 현대중공업과 현대일렉트릭, 현대건설기계 직원들에게 지급되는 금액은 1인당 30만 원씩의 지역경제상품권을 포함해 총 3천억 원에 가까워 코로나19와 장기간의 조선업 침체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던 지역 경제에 큰 활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교섭 타결로 노사가 그동안의 갈등을 털어내고 함께 힘을 모아 최근 조선업 수주 회복세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교섭 마무리를 계기로 지역 대표기업으로서 더욱 책임감을 갖고 회사의 재도약과 지역 발전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중공업 노사는 노사관계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조선산업 발전과 회사의 위기 극복,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한다는 의지를 담아 단체교섭 조인식과 함께 ‘조선산업 발전을 위한 노사 공동선언식’을 가질 예정이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현대중공업 19ㆍ20년 단체교섭 잠정합의안 찬반투표 가결
기사입력:2021-07-16 16:07: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8.86 | ▲2.56 |
코스닥 | 719.41 | ▼10.28 |
코스피200 | 337.08 | ▲0.2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40,000 | ▲64,000 |
비트코인캐시 | 506,000 | ▼3,500 |
이더리움 | 2,60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10 |
리플 | 3,363 | ▲6 |
이오스 | 987 | ▼4 |
퀀텀 | 3,224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359,000 | ▲129,000 |
이더리움 | 2,601,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00 | ▲30 |
메탈 | 1,225 | ▼3 |
리스크 | 770 | ▲1 |
리플 | 3,362 | ▲7 |
에이다 | 1,043 | 0 |
스팀 | 22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80,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506,500 | ▼3,000 |
이더리움 | 2,604,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60 |
리플 | 3,361 | ▲2 |
퀀텀 | 3,216 | ▲15 |
이오타 | 32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