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단석산업과 합작법인 설립 위한 주요조건합의 체결

기사입력:2021-09-02 20:36:25
왼쪽부터 단석산업 한승욱 회장과 LG화학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이 2일 경기도 시흥시 단석산업 본사에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화학

왼쪽부터 단석산업 한승욱 회장과 LG화학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이 2일 경기도 시흥시 단석산업 본사에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화학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LG화학은 2일, 경기도 시흥시 단석산업 본사에서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과 단석산업 한승욱 대표이사 등 양사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HVO(Hydro-treated Vegetable Oil)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내년 1분기에 본 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생산공장 완공을 목표로 한다. 국내에 HVO(수소화식물성오일) 공장이 건설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 공장은 최근 LG화학이 발표한 대산사업장 10개의 신설 공장 중 하나다.

HVO는 폐식용유, 팜부산물 등의 식물성 원료를 수첨반응 시켜 생산하는 차세대 바이오 오일이다. 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특성이 뛰어나 차량용 뿐만 아니라 항공유 및 석유화학 원료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차량용 바이오디젤이 1세대라면, HVO는 기술적으로 진일보된 2세대 바이오 연료다.

합작법인이 설립되면 LG화학은 HVO 내재화를 통해 바이오 SAP(고흡수성수지)·ABS(고부가합성수지)·PVC(폴리염화비닐) 등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 공급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LG화학은 친환경 바이오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입증하는 대표적인 수단인 ISCC Plus 국제 인증 제품을 연내 30여개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단석산업은 1세대 바이오디젤 수출 역량을 기반으로 HVO 사업에 본격 진출하며 바이오 에너지 분야 제품 포트폴리오를 항공유 등 차세대 바이오 연료 중심의 고부가 제품으로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LG화학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이번 협력으로 친환경 제품 확대를 위한 안정적인 원료 공급 기반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친환경 제품 중심으로 지속 전환해 관련 시장을 적극 공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8.45 ▲5.03
코스닥 717.64 ▼0.13
코스피200 329.27 ▲0.9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420,000 ▲172,000
비트코인캐시 489,400 ▼1,000
이더리움 2,349,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3,370 ▲140
리플 3,040 ▲1
이오스 939 ▼9
퀀텀 3,014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441,000 ▲220,000
이더리움 2,350,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3,370 ▲150
메탈 1,164 ▼6
리스크 758 ▼1
리플 3,040 ▲2
에이다 913 ▼4
스팀 21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430,000 ▲210,000
비트코인캐시 488,800 ▼1,100
이더리움 2,348,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3,300 ▲80
리플 3,040 ▲2
퀀텀 2,999 0
이오타 24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