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한동안 지속되던 침체기를 벗어나 부활을 알린 주상복합 아파트가 연일 뜨거운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최근 주상복합 아파트는 고급 주거지라는 이미지가 더해지면서 관심은 더 커지고 있어 눈길을 끈다. 기존 장점인 화려한 외관에 따른 상징성과 진화된 설계에 따른 우수한 상품성 등에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약시장과 매매시장에서 주상복합 아파트의 인기는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먼저 청약시장에서는 연일 완판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올 초 세종시에서 분양한 주상복합 아파트인 ‘세종 리첸시아 파밀리에’는 H2블록과 H3블록이 각각 221.4대 1, 134.87대 1로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하며 세자릿 수 경쟁률로 1순위를 마감했다. 또 5월 동탄2신도시에 분양한 '동탄2신도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809.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국 역대 최고 경쟁률을 갈아치우기도 했다.
매매시장에서도 인기는 상당하다. 특히 대구, 부산 등의 주요 광역시 내 주상복합 아파트는 꾸준한 가격 상승과 함께 지역을 대표하는 대장주 아파트로 거듭나고 있다.
대구에서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1년 사이 억대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가 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수성구에 자리한 ‘범어라온프라이빗’이 대표적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이 단지는 지난 8월 전용면적 84㎡ 타입이 11억2000만원에 거래됐는데, 이는 전년도 동월 같은 타입이 9억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무려 2억원 이상이 오른 수치다.
또 부산에서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시세를 주도하고 있다. 실제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부산에서는 가격 상위 톱3를 ‘엘시티’, ‘용호동 W’, ‘트럼프월드센텀I’ 등의 주상복합 아파트가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주상복합 아파트는 주로 상업용지 또는 준주거지역에 들어서 각종 인프라를 가깝게 누린다는 점에서 최근 주거트렌드로 떠오른 '편리미엄'에 가장 최적화된 단지로도 여겨지고 있다”며 “이러한 입지적 특징으로 인해 초고층 단지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아 조망권이나 개방감에서도 탁월하다는 장점도 있어 인기는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연말 분양시장에는 대구, 대전, 인천 등 광역시와 파주 운정 등 신도시를 중심으로 주상복합 아파트의 신규 분양이 이어져 수요자들의 많은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대구에서는 포스코건설이 11월 중구에서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인 ‘더샵 동성로센트리엘’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49층, 3개동, 총 392세대 규모며, 선호도 높은 국민형 주택 전용면적 84㎡ 단일면적으로 전 세대가 구성된다.
대전에서는 KCC건설이 11월 서구에서 ‘대전 씨엘리오 스위첸’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6층~지상 40층 2개동, 전용면적 81~83㎡ 아파트 146세대와 전용면적 59㎡ 오피스텔 98실, 근린생활시설로 구성되는 주상복합단지다.
인천에서는 ㈜한양이 11월 서구 청라국제금융단지 B5-2블록에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을 분양할 예정이다. 최고 47층에 3개동 702실 규모며, 전 세대가 아파트 대체상품으로 각광받는 전용면적 84㎡ 주거형 오피스텔로 공급된다.
이밖에 파주 운정신도시에서는 현대건설이 11월 ‘힐스테이트 더 운정’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5층~지상 49층, 13개동, 총 3413세대(아파트 744세대, 주거형 오피스텔 2669실) 규모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상복합 아파트, 고급 주거지로 ‘우뚝’
기사입력:2021-11-02 14:16: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773,000 | ▲659,000 |
비트코인캐시 | 486,700 | ▲1,400 |
이더리움 | 2,30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40 | ▲70 |
리플 | 3,009 | ▲34 |
이오스 | 958 | ▲3 |
퀀텀 | 3,024 | ▲1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690,000 | ▲521,000 |
이더리움 | 2,300,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20 | ▲50 |
메탈 | 1,179 | ▲9 |
리스크 | 758 | ▲4 |
리플 | 3,005 | ▲30 |
에이다 | 901 | ▲13 |
스팀 | 21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770,000 | ▲610,000 |
비트코인캐시 | 487,100 | ▲3,000 |
이더리움 | 2,297,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40 | ▼50 |
리플 | 3,006 | ▲31 |
퀀텀 | 2,999 | 0 |
이오타 | 23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