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의 섬유제조계열사인 유진한일합섬(대표이사 이인수)은 국내 최초로 친환경 생분해성 PLA 스판본드 부직포 양산 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인 생산판매를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생분해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물질이 생명체에 의해 두 가지 이상의 더 간단한 물질로 변화하는 일’로,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현상을 말한다. 생분해 플라스틱인 PLA는 옥수수와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전분을 원재료로 만들어져, 매립 시 일정조건 하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 메탄, 물, 바이오매스 와 같은 자연적인 부산물만 생성된다.
유진한일합섬은 지난 2009년부터 식물유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인 PLA(Poly Latic Acid)를 원료로 한 PLA 스판본드 부직포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이후 10년 이상의 연구개발 기간을 거쳐 엄격한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고 생산성 향상을 통해 국내 최초로 본격적인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PLA 스판본드 부직포를 양산하는 곳은 유진한일합섬이 유일하다.
유진한일합섬의 친환경 생분해성 PLA 스판본드 부직포 브랜드인 ‘GREENBON’은 유전자 변형을 거치지 않은 옥수수인 NON-GMO PLA를 원료로 하고 있다.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열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작하는 100% 친환경 방식으로 생산된다. 소각시에도 암을 유발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인체에도 무해한 친환경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지난 해에는 생분해성 식품 기구용으로 환경표지인증을 획득하여 생분해성 PLA 스판본드 부직포의 친환경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유진한일합섬 관계자는 “유진한일합섬은 지속가능한 천연소재를 사용한 섬유 개발에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며 “친환경 생분해성 PLA 스판본드 부직포가 더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품질 향상 및 시장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달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시중에서 판매 중인 육류 흡수패드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다량 검출됐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대형마트 3사는 사용을 중단하고 더 이상 쓰지 않기로 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진한일합섬, 친환경 PLA 스판본드 개발
기사입력:2021-11-15 11:23:0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8.86 | ▲2.56 |
코스닥 | 719.41 | ▼10.28 |
코스피200 | 337.08 | ▲0.2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249,000 | ▼292,000 |
비트코인캐시 | 499,900 | ▼100 |
이더리움 | 2,54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50 | ▲90 |
리플 | 3,277 | ▼17 |
이오스 | 993 | ▲17 |
퀀텀 | 3,181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328,000 | ▼302,000 |
이더리움 | 2,544,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80 | ▲200 |
메탈 | 1,204 | ▲3 |
리스크 | 762 | ▲7 |
리플 | 3,281 | ▼14 |
에이다 | 999 | ▼3 |
스팀 | 22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180,000 | ▼370,000 |
비트코인캐시 | 500,000 | ▲200 |
이더리움 | 2,54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70 | ▲150 |
리플 | 3,278 | ▼15 |
퀀텀 | 3,163 | 0 |
이오타 | 3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