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세입자들이 전세금을 돌려받기 위해 집주인을 상대로 내는 보증금반환소송이 2020년에는 전년 대비 18% 감소한 것은 나타났다.
대법원이 발표한 ‘2021 사법연감’에 따르면 2020년 한해 접수된 전세금 반환소송 1심 총 건수는 4,679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2019년(5,703건) 대비 천 건 이상 줄어든 수치다.
이에 대해 엄정숙 부동산전문변호사(법도 종합법률사무소)는 “전세금 분쟁이 줄어든 이유는 지난해(2020년) 7월 국회를 통과한 임대차 3법 영향이 큰 것 같다” 며 “주택임대차의 경우 세입자에게 2년을 연장할 수 있는 계약갱신요구권을 보장했는데, 임대인들은 이 때문에 소송을 하지 못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입자의 전세금을 보호하는 ‘전세금보증보험’과 집주인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전세자금 대출 제도’가 자리 잡으면서 분쟁의 여지를 완화한 것 같다”고 부연했다.
심급별로는 1심 4,679건, 항소심 929건, 상고심 147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항소심이 소폭(3%) 상승한 것을 제외하면 전체 건수는 18% 줄어든 셈이다. 법원별로는 수원지방법원이 761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창원지방법원이 420건으로 뒤를 이었다.
임대차3법이 시작되기 전 전세금 반환소송은 매해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17년 3,577건, 2018년 4,181건, 2019년 5,703건으로 나타났다. 매년 17%~36%씩 증가한 셈이다.
전세금반환소송을 알아보기 위해 변호사 사무실에 상담을 의뢰하는 경우도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금반환 전문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의 상담 건수는 2019년 대비 20%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개정, 입법된 임대차 3법은 기존 2년에서 4년으로 세입자가 계약 연장을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월세상한제로 임대료 상승폭을 직전 계약 임대료의 5%로 규정했다. 이러한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 상한제’는 개정법 시행 전 체결된 기존 임대차 계약에서도 소급 적용됐다.
엄 변호사는 “전세금 분쟁은 주로 계약만료 시에 일어나는데, 2020년 7월에 임대차3법이 시행되었기 때문에 계약만료는 2022년으로 미뤄진 셈이다.” 며 “미뤄진 계약만료가 다가오는 2022년에는 다시 전세금반환소송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전세금 반환소송 기간은 대략 1심까지 4~5개월 정도가 소요되며, 비용은 전세보증금액에 따라 달라진다. 보증금이 1억 원일 때 법원 비용이 대략 100만 원이며, 변호사 보수는 약정내용에 따라 정해진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엄정숙 부동산전문 변호사 “2020년은 임대차3법 갱신요구권 행사로 전세금반환소송 18%줄어”
미뤄진 계약만료인 2022에는 다시 늘 것 예상 기사입력:2021-12-08 13:53:1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5.42 | ▲16.56 |
코스닥 | 726.46 | ▲7.05 |
코스피200 | 339.06 | ▲1.9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38,000 | ▼233,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1,000 |
이더리움 | 2,612,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90 | ▼110 |
리플 | 3,286 | ▼14 |
이오스 | 1,000 | ▲3 |
퀀텀 | 3,184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24,000 | ▼258,000 |
이더리움 | 2,616,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30 | ▼70 |
메탈 | 1,225 | ▼6 |
리스크 | 772 | ▼2 |
리플 | 3,288 | ▼11 |
에이다 | 1,017 | ▼5 |
스팀 | 21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00,000 | ▼320,000 |
비트코인캐시 | 532,500 | ▼500 |
이더리움 | 2,61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40 | ▼80 |
리플 | 3,286 | ▼15 |
퀀텀 | 3,194 | 0 |
이오타 | 30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