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마이셰프 X KB국민카드, 밀키트 기업 최초 전용 제휴카드 출시
마이셰프가 KB국민카드와 협업해 밀키트 구매에 특화된 혜택을 담은 ‘KB국민 MYCHEF카드’를 출시했다고 17일(금) 밝혔다.
KB국민 MYCHEF카드는 밀키트 기업 중에서는 최초로 출시된 전용 제휴카드다. 최근 간편식 수요가 급성장하며 밀키트 이용 빈도가 높은 고객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마이셰프 공식몰을 통해 매주 정기적, 혹은 다량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이 꾸준히 확장됨에 따라 합리적인 가격에 밀키트를 즐길 수 있도록 실속 있는 구매 혜택의 카드를 출시했다.
이 카드를 이용하면 매월 최대 4만원 상당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마이셰프 멤버십 ‘세이브클럽’ 서비스의 구독료를 전액 할인받을 수 있다. 전월 이용 금액에 따라 베이직 혹은 플러스 쿠폰팩의 비용이 할인되는 방식이다. 이 혜택은 마이셰프의 모바일 장보기 플랫폼 ‘굿테이블(9table)’의 멤버십 서비스인 '굿세이브 클럽'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멤버십에 가입하지 않은 고객들도 마이셰프와 굿테이블 공식 홈페이지에서 KB국민 MYCHEF카드로 결제하면 결제 금액의 구간에 따라 월 최대 1만 7천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KB국민 MYCHEF카드는 마이셰프 홈페이지와 KB국민카드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 발급받을 수 있으며 연회비는 1만 5천원이다.
◆드렁크엘리펀트, 홀리데이 리미티드 에디션 ‘헤어&바디 트렁크 2.0’ 출시
바이오컴패티블 스킨케어 브랜드 ‘드렁크엘리펀트’가 홀리데이 리미티드 에디션 ‘헤어&바디 트렁크 2.0’를 출시했다.
‘헤어&바디 트렁크 2.0’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헤어 및 바디를 부드럽고 건강하게 가꿀 수 있는 세트 제품이다. 헤어를 위한 샴푸, 컨디셔너, 두피 스크럽, 헤어 스프레이와 바디를 위한 바디 클렌저, 바디 로션, 데오도란트 크림, 그리고 헤어 브러시와 모든 제품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까지 풍성하게 구성되어있다. 단 하나의 세트로도 헤어와 바디의 세정과 보습이 가능해 유용할 뿐만 아니라 풍성한 구성으로 선물용으로도 적합하다.
세트에 포함된 ‘코코미노 글로싱 샴푸’는 두피를 진정시키고 모발을 튼튼하게 만들어주는 아미노산 성분이 함유되었으며, 마룰라, 아르간커넬, 잉카피넛씨에서 추출한 풍부한 지방산 오일 성분이 모발에 보습감을 더해 매끄럽고 빛나는 머릿결로 가꿔준다. ‘코코미노 마룰라 크림 컨디셔너’는 아미노산과 영양이 풍부한 오일 블렌딩 성분으로 끈적임이나 처짐 없이 모발에 윤기를 더해주며, ‘T.L.C. 해피 스칼프 스크럽’은 두피에 영양을 공급해 각질이 생기지 않도록 밸런스를 맞춰준다. ‘와일드 마룰라 탱글 스프레이’는 마룰라씨 오일을 비롯한 식물성 오일 성분이 열에 노출되는 모발의 건강을 지켜주어 드라이어 사용 전 물기 있는 모발에 사용하면 좋은 아이템이다.
‘카밀리 크림 바디 클렌저’는 멀티아미노애시드블렌드 성분이 함유되어 먼지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정해주며 ‘실리 바디 로션’은 식물성 오일, 버터, 스쿠알란, 아미노산, 세라마이드 블렌드 등 보습 성분으로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만들어준다. ‘스위트 피티 데오도란트 크림’은 피부의 과도한 수분을 합수하고 체취를 조절해주어 쾌적한 피부 컨디션을 유지해준다.
◆식품업계, ‘탄소 다이어트’ 박차
최근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소비를 통해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드러내는 ‘미닝아웃’이 확산되면서 전 산업군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1 가량이 식품의 재배·생산·운송 단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지속가능한 식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식품업계가 생산이나 유통 단계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박차를 가하는 모양새다.
글로벌 커피 브랜드 네스카페는 올 하반기부터 커피와 환경의 미래를 위한 친환경 캠페인 ‘Cup of Respect’를 전개 중이다. 이를 통해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방식의 원두 생산 △커피 농가 대상 교육 및 기술 지원 △커피 재배 및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 저감 △100% 재활용 가능한 제품 패키지 적용 △소비자 대상 책임감 있는 커피 소비 장려 등을 수행하며 사회적 책임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네스카페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량을 줄여, 기후 변화에 대응할 계획이다. 2030년에는 현재 수준의 50%까지 탄소 배출량을 감축, 2050년에는 넷-제로(온실가스 순배출량 ‘0’)를 달성하겠다는 로드맵을 세웠다. 이 로드맵에 따라 자사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소화할 방안을 개발 중이다.
풀무원 올가홀푸드는 저탄소인증을 받아 가치소비를 돕는 저탄소인증 햇과일과 채소 7종을 출시했다. 저탄소 인증은 친환경 농산물을 대상으로 생산 단계에서 필요한 난방 및 농기계 에너지와 용수 등 농자재 투입량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한 제품에 부여된다. 이번에 출시된 올가의 저탄소 아리수 사과(1.8㎏) 한 봉지를 소비할 경우 0.37㎏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다. 18봉지를 소비하면 30년생 소나무 1그루를 심는 효과와 동일하며 30년생 소나무 1그루는 연간 6.6㎏의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신제품 패키지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인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공동 작업한 탄소발자국 계산식을 넣어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인포그래픽 형태로 수치화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이달 국내 식음료업계 최초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RE100'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RE100은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기업들이 100% 재생에너지 전기로의 전환을 약속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구도권을 가지고 이끄는 그룹)로 구글, 애플 등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2040년까지 음료 및 주류 생산공장 및 물류센터 등에 사용되는 전력량 100%를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RE100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생산공장의 태양광 발전설비 구축을 통한 '자가발전', 재생 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장기적 계약을 통한 '전력구매계약(PPA)',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등의 다양한 실행 방안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오리온은 올 초 ‘글로벌 탄소배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그룹 차원의 친환경 경영 활동을 강화해 간다고 밝혔다. 국내 7개 공장뿐만 아니라, 중국, 베트남, 러시아, 인도 등 해외 법인 11개 공장과 협업해 그룹 차원의 탄소배출 관리에 나서는 것. 오리온은 이를 위해 생산, 설비, 관리 등 6개 부서의 실무 담당자들로 구성된 ‘그린 TFT’를 신설했다. 그린 TFT는 전사적 협업을 통해 탄소배출 목표 설정, 데이터 통합 및 관리, 에너지 절감 방안 등을 수립하고 실행해간다. 공장에서의 제조 공정에만 국한하지 않고, 제품 개발•생산•판매•부자재 폐기 등 제품의 탄생 이전부터 생산 이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적용할 방침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마이셰프 X KB국민카드, 밀키트 기업 최초 전용 제휴카드 출시 外
기사입력:2021-12-17 15:35:2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3,034,000 | ▲48,000 |
비트코인캐시 | 490,000 | ▼200 |
이더리움 | 2,33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40 | ▲40 |
리플 | 3,012 | ▼2 |
이오스 | 938 | ▲15 |
퀀텀 | 3,050 | ▼2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3,085,000 | ▲160,000 |
이더리움 | 2,33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20 | ▲60 |
메탈 | 1,195 | ▲4 |
리스크 | 763 | ▲1 |
리플 | 3,010 | ▼3 |
에이다 | 913 | ▲2 |
스팀 | 213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3,050,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491,000 | ▲600 |
이더리움 | 2,331,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2,890 | ▲50 |
리플 | 3,012 | ▼3 |
퀀텀 | 3,068 | ▼48 |
이오타 | 241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