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디지털전환시대 콘텐츠 이용 트렌드 연구’ 발간

기사입력:2022-01-05 22:27:40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디지털전환 시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콘텐츠 서비스 이용자를 조사한 ‘디지털전환시대 콘텐츠 이용 트렌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전국 15세~59세의 디지털콘텐츠 이용자 3000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간의 온라인동영상(OTT)·온라인공연·메타버스·오디오콘텐츠의 이용실태를 온라인으로 설문했으며, 산업별로는 온라인동영상 이용자 3000명, 온라인공연·메타버스·오디오콘텐츠 이용자 각 700명, 비이용자 각 300명을 대상으로 이용자특성 및 각 산업의 수요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콘텐츠 이용자의 콘텐츠 소비시간은 하루 평균 4시간이며, 1인 평균 2.7개의 디지털콘텐츠 플랫폼을 유료 구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동영상, 온라인 공연, 메타버스의 이용자는 ‘집에서 쉴 때’ 해당 콘텐츠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오디오콘텐츠 이용자의 22.4%는 ‘집에서 가사나 다른 업무를 할 때’, 28.4%는 ‘출퇴근 및 이동 시’에 주로 이용하는 등 멀티태스킹 이용비중이 매우 높았다. 추천 알고리즘을 통한 콘텐츠 이용은 나이가 어릴수록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이용자 확대는 콘텐츠 분야별로 차이를 보였다. 온라인 동영상은 현재 이용자의 60.4%, 오디오콘텐츠는 56.7%가 이미 코로나 유행 이전부터 이용하고 있었고, 각각 39.6%, 43.3%의 이용자가 코로나19 직후부터 이용하기 시작했다. 반면 온라인 공연은 코로나19 직후부터 70.2%의 이용자가 유입됐다. 메타버스 역시 현재 이용자의 79.3%가 코로나19 이후부터 이용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온라인동영상 이용자들은 온라인동영상플랫폼을 1인 평균 2.69개 구독하며, 이 중 39.8%는 현재 구독하는 플랫폼을 다른 플랫폼으로 교체하거나 추가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플랫폼의 교체 이유로 ‘시청하고 싶은 콘텐츠가 있어서’가 52.8%, ‘콘텐츠 종류가 다양해서’가 20.4%를 차지하며 플랫폼 선택에서 콘텐츠의 우수성과 다양성이 중요함을 시사했다.

온라인동영상보다 디지털전환 시대 신생 콘텐츠로서의 특성을 보인 온라인 공연의 이용비중은 대중가수 콘서트가 7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뮤지컬, 연주회 콘서트 등이 30% 대로 뒤를 이었다. 이용 동기는 ‘평소에 좋아하는 가수나 배우가 나와서’가 가장 높았다. 유료공연 관람비율은 33.1%이었으며, 유료이용자의 83.6%는 ‘향후에도 온라인공연을 이용하겠다’ 고 응답했다.

메타버스 이용자의 평균 이용시간은 주중 81.7분, 주말 100.4분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새로운 콘텐츠/서비스에 대한 호기심(38.7%)’ 으로 메타버스를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이용하지 않는’ 이용자가 44.4%였으며, 1회성 이용자의 비중도 31.8%에 달해 초기 이용자의 이탈 방지가 중요한 이슈로 확인됐다. 이용자의 88%는 메타버스를 통한 수익창출 의향을 가지고 있어 향후 메타버스의 대중화에 따라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메타버스 이용자들은 메타버스 안에서 수익창출(55.1%), 게임(51.4%), e러닝학습(44.7%), 운동프로그램(41.3%) 등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여 메타버스를 통한 다양한 활동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디지털전환시대 콘텐츠 이용 트렌드 연구’ 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하며, 콘진원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3.42 ▲13.01
코스닥 717.77 ▲6.02
코스피200 328.35 ▲2.0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274,000 ▲41,000
비트코인캐시 486,300 ▼1,200
이더리움 2,30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60 ▲100
리플 2,989 ▼1
이오스 895 ▼6
퀀텀 3,102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199,000 ▼96,000
이더리움 2,302,000 0
이더리움클래식 22,370 ▲90
메탈 1,197 ▼3
리스크 752 ▲4
리플 2,987 ▼4
에이다 911 ▲4
스팀 22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26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486,700 ▼800
이더리움 2,30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40 ▲50
리플 2,986 ▼5
퀀텀 3,067 0
이오타 23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