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흥행 이끄는 ‘스타필드’ 효과 ‘톡톡’

기사입력:2022-01-26 11:40:00
[로이슈 최영록 기자]
부동산 시장에 ‘스타필드’ 효과가 이어지고 있다. 몰세권이 하나의 주거 트렌드로 자리매김하면서 대규모 복합쇼핑몰인 스타필드가 부동산 지역 가치 상승을 높이는 사례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어서다.

실제 스타필드가 조성된 경기 하남, 고양, 안성 등은 이를 토대로 꾸준한 가치상승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수혜를 본 곳은 첫 스타필드 개장지역으로 알려진 하남시다. 특히 하남시는 개장 전과 개장 이후 현재 천지개벽 수준의 집값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하남시는 ‘스타필드 하남(2016년 9월 개장)’ 개장 당시만 해도 3.3㎡당 평균 가격이 1424만원이었던 게 개장 후 1년 만에 1640만원으로 껑충 뛰었다. 이후에도 가격은 꾸준히 작년 말에는 3010만원으로 조사돼 개장 시점 대비 2배 이상의 가격 상승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필드 고양(2017년 8월 개장)’이 들어선 고양시 덕양구도 마찬가지다. 이곳은 스타필드가 모습을 드러내면서 가격 상승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현재 고양시 덕양구의 3.3㎡당 평균 가격은 1867만원으로 이는 스타필드 고양의 개장 시점 가격인 1061만원대비 무려 75.4%가 오른 가격이다. 또 지난 2020년 10월 ‘스타필드 안성’이 개장한 안성시 역시 3.3㎡당 평균 가격이 개장 시점 619만원에서 현재 895만원으로 44.6%의 상승률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스타필드 효과는 도심형 쇼핑몰 ‘스타필드 시티’를 통해서도 나타나고 있다. ‘스타필드 시티 명지’가 자리한 명지국제신도시가 대표적인 사례다.

명지국제신도시의 3.3㎡당 평균 가격은 스타필드 시티 명지 개장 시점인 2019년 10월 1052만원에서 현재 1561만원으로 48.3%가 올랐다. 이밖에도 ‘스타필드 시티’가 자리한 부천시와 위례신도시 역시 개장 이후 현재까지 평균 가격이 각각 55.6%, 47.2%가 오르며 스타필드 효과를 실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스타필드가 자리한 지역은 이를 통해 편리한 환경을 누리려는 수요가 몰리며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분양시장도 활황세를 이어가는 편이다”며 “특히 이러한 현상은 이미 개장돼 운영 중인 지역이 아닌 수원, 창원, 청라 등 스타필드가 예정된 곳에서도 나타나고 있을 정도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스타필드 청라의 입점이 예정된 청라국제도시에서 공급된 ‘청라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주거형 오피스텔 약 결과 총 702호실(전용면적 84㎡) 모집에 2만7377건이 몰려 청약 평균경쟁률 39대 1을 기록하며, 전 실이 빠르게 완판됐다.

또 스타필드 창원으로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창원시에서는 지난해 7월 공급된 ‘창원 롯데캐슬 센텀골드’가 무려 2만5831건의 청약 속에서 평균 70.58대 1의 경쟁률로 청약을 마감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올 상반기에는 스타필드 시티가 운영 중인 부산 명지, 경기 부천을 비롯해 스타필드 입점 예정지인 경기 수원, 인천 청라 등에서 신규 단지의 분양이 예정돼 많은 관심이 이어질 전망이다.

먼저 부산 명지국제신도시에서는 신세계건설이 2월 ‘빌리브 명지 듀클래스’를 분양한다. 총 1083실 규모의 대단지 주거형 오피스텔로 전 실이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 단일면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 단지는 스타필드 시티 명지가 인근에 자리해 있다.

부천시에서는 쌍용건설이 3월 중 괴안3D구역 재개발을 통해 ‘더 플래티넘’ 아파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총 759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237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스타필드 시티 부천이 가깝고, 지하철 1·7호선 환승역인 온수역 초역세권 입지를 자랑한다.
수원시에서는 삼성물산·SK에코플랜트·코오롱글로벌 컨소시엄이 6월 수원 권선6구역 재개발을 통해 총 2178가구의 대규모로, 이 중 일반분양 세대는 1213가구다. 또 청라국제신도시에서는 대우건설이 9월 인천시 청라국제도시 C18블록에 총 1200실 규모의 오피스텔 단지를 선보일 예정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84.26 ▼23.37
코스닥 852.67 ▼4.84
코스피200 380.88 ▼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1,063,000 ▼6,000
비트코인캐시 555,500 ▼1,000
비트코인골드 37,950 ▼490
이더리움 4,958,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33,110 ▼60
리플 690 ▲1
이오스 815 ▲2
퀀텀 3,658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1,172,000 ▲71,000
이더리움 4,958,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3,160 ▼40
메탈 1,624 ▼5
리스크 1,442 ▼4
리플 690 ▼0
에이다 545 ▲2
스팀 2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1,000,000 ▼93,000
비트코인캐시 555,000 ▼1,500
비트코인골드 38,540 ▼100
이더리움 4,954,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33,130 ▼80
리플 689 ▼0
퀀텀 3,644 ▲26
이오타 25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