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이슈] 메가박스, 2022 비전 발표… “종합 공간 사업자로의 변화 기반 마련” 外

기사입력:2022-02-03 16:14:19
[로이슈 편도욱 기자] ◆메가박스, 2022 비전 발표… “종합 공간 사업자로의 변화 기반 마련”

멀티플렉스 영화관 메가박스(대표 홍정인)가 신년을 맞아 종합 공간 사업자로 변화하겠다는 비전과 사업 방향을 발표했다.

메가박스는 지난해 하반기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 ‘MEET, PLAY, SHARE’를 발표하면서 상영관에 국한된 의미의 공간에서 벗어나 고객의 삶을 둘러싼 다양한 경험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브랜드로 거듭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2022년에는 영화를 상영하고 투자, 배급하는 극장 사업자를 넘어 고객에게 더 다양하고 즐거운 공간 경험을 선사하는 ‘종합 공간 사업자’로 본격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게 메가박스의 출사표다. 이를 위해 크게 플랫폼과 콘텐트 사업 양대 부문에서 극장 상영업의 개념을 확장하고 공간 사업에 대해 보다 넓은 시각으로 접근하는 시도와 노력을 경주함으로써 안으로는 수익성을 높이고 밖으로는 고객들에게 더욱 다양한 가치와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플랫폼 부문은 공간 사업 확장과 지역 거점 사업자로의 도약에 집중한다는 목표다.

지난 2021년 신촌점 내 제주맥주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하는 등 영화관이라는 공간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해온 메가박스는 올해 극장 유휴 공간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메가박스를 찾은 관객들에게 영화를 뛰어넘는 풍성한 공간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 거점 사업을 통한 차별화를 기치로 전국 각 지점의 특징을 정교하게 파악 및 반영하고 지역 상권과의 스킨십을 강화해 지점마다 고유한 가치를 새롭게 창출하고 이를 고객들에게 제공한다는 목표다.

기존의 콘텐트 다변화 전략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메가박스는 매년 큐레이션 브랜드 ‘클래식 소사이어티’를 통해 클래식 및 오페라 공연을 정기적으로 상영하고 발레, 뮤지컬, 미술 장르의 콘텐트와 힐링 트렌드를 반영하는 ‘메가릴렉스-불멍’을 통해 코로나19로 지친 관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가수 송가인의 자전적 영화 ‘송가인 더 드라마’와 대만 로맨스 영화 ‘괴짜들의 로맨스’ 등 자체 배급 콘텐트를 통해 팬덤 및 매니아 등 다양한 관객층의 니즈를 만족시켜온 메가박스는 앞으로도 콘텐트 직접 배급을 한층 더 확대하여, 고객이 찾는 모든 콘텐트를 선보일 수 있도록 다변화에 힘쓸 예정이다.

플랫폼 영역 외 메가박스의 모든 사업을 담은 콘텐트 부문은 보관복지부와 F&B 등 신규 사업과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보관복지부는 더 넓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위해 옷, 취미용품 등을 보관해주는 메가박스의 셀프스토리지 서비스로, 생활 공간이 부족한 1인가구 및 MZ세대 등을 위해 작년 10월 론칭됐다. 고객 중심 종합 공간 사업자로 첫 시작을 알린 메가박스 보관복지부는 현재 서울 가리봉동, 반포동, 영등포동, 사당동 등 4개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10개 지부 이상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스템커피 7개 지점을 운영 중인 F&B 사업도 올해 더욱 강화해 고객들이 메가박스에서 머무르는 시간 동안 더 만족스러운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범죄도시’, ‘동주’, ‘너의 이름은.’ 등 많은 흥행작을 투자·배급했으며, 지난 26일 화제작 ‘킹메이커’를 개봉한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은 영화 투자, 배급의 역할을 넘어 콘텐트 제작과 유통을 아우르는 종합 스튜디오로 거듭난다는 목표다. 기존에 보유한 영화 산업 관련 노하우를 바탕으로 유수 제작사, 감독과의 협업을 통해 영화, 드라마, 웹드라마 등 장르를 넘나드는 양질의 콘텐트를 선보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

메가박스 관계자는 “2022년은 메가박스가 종합 공간 사업자로 변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보다 다양한 공간 사업과 신규 비즈니스를 통해 고객에게 더 즐겁고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온마인드 버추얼 휴먼 ‘수아’가 직접 참여한 렌즈 브랜드 ‘오트르’ 출시

온마인드(대표 김형일) 버추얼 휴먼 수아(SUA)가 여성 패션 크로스보더 플랫폼 ‘니코(neaco)’를 운영하는 아보카도(대표 미코시 히로야스)와 협업한 컬러렌즈 브랜드 ‘오트르(otr)’가 출시된다.

아보카도 측은 “이번 협업은 기존 컬러렌즈와는 차별화된 브랜딩과 스토리를 부여해 새롭게 접근하기 위해 기획됐다”며 “버추얼 휴먼 ‘수아’는 제품 콘셉트 기획부터 라인업, 브랜딩까지 함께 참여했다”고 말했다. 또 “수아와 함께 선보이는 ‘오트르’ 렌즈는 피피비스튜디오스의 ‘하파크리스틴’의 렌즈 제작 노하우가 더해져 기존에 만나볼 수 없던 디자인과 착용감을 자랑한다”고 덧붙였다.

온마인드 측은 “버추얼 모델을 선호하는 이유는 어떠한 광고도 의도한 대로 구현할 수 있는데다 휴먼리스크가 없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단순한 광고 모델이 아니라 버추얼 모델이 전세계 최초로 컨슈머 프로젝트 제작에 참여했다는 부분에서 이번 협업은 굉장히 뜻깊다”고 전했다.

또 이번 ‘오트르’ 제품의 제작에는 국내 최고 광고 사진작가 중 한 명인 김민관 대표가 운영하는’비주얼바이브’ 스튜디오가 참여해, 단순한 사진을 넘어 소비자들이 보다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브랜드의 스토리를 완성도 높게 담아냈다.

수아와 선보이는 ‘오트르’ 제품은 총 3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라인업별 2개의 제품으로 총 6종을 만나볼 수 있으며, 2월 중 출시 예정이다. 국내는 컬러렌즈 쇼핑 플랫폼으로 새롭게 런칭되는 ‘윙크(winc)’, 국외는 여성 패션 크로스보더 플랫폼 ‘니코(neaco)’와 렌즈 플랫폼 ‘마이이오티디닷컴’에서 판매한다

아보카도는 ‘오트르’ 런칭을 기념해 3가지 라인업을 담은 캠페인 영상도 출시와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영상은 각 제품의 영감이 된 우주, 꽃, 보석 등을 활용해 화려하고 감각적인 영상미를 자랑한다. 영상 속 수아는 여유 있는 표정과 반짝이는 눈빛으로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선보이며, 오트르가 추구하는 ‘또 다른 자아’ 콘셉트를 노련하게 연기한다. 또 기술력과 디자인을 차별화한 ‘오트르’ 렌즈만의 이미지를 섬세하게 표현해 눈길을 끈다.

◆ 샬롯 틸버리 '매트 아이즈 투 메스머라이즈' 롯데 단독 런칭

영국 메이크업 아티스트 브랜드 ‘샬롯 틸버리(Charlotte Tilbury)’는 신제품 ‘매트 아이즈 투 메스머라이즈’를 롯데백화점 잠실점과 롯데쇼핑의 통합 온라인몰 롯데ON(롯데온)에서 단독 런칭한다고 밝혔다.

샬롯 틸버리 ‘매트 아이즈 투 메스머라이즈’는 눈가에 자극없이 부드럽게 발리는 크림 텍스처가 바르는 순간 밀착돼 번짐이나 크리즈 현상(눈가끼임) 없이 오랜 시간 그윽한 음영 메이크업을 유지시켜주는 제품이다. 특히, 여러 번 덧발라도 뭉침없이 컬러가 부드럽게 레이어링 되는 빌더블(Buildable) 포뮬러를 적용해 바르면 바를수록 분위기 있는 아이 메이크업을 연출해준다.

신제품 ‘매트 아이즈 투 메스머라이즈’는 내추럴한 누드 베이지부터 브라운 계열의 중간 음영, 매트한 블랙컬러까지 총 5가지의 색상으로 출시된다. 차분한 데일리 음영 메이크업을 연출해주는 ‘플로리스 베이지’와 ‘스모키 토프’, 눈매에 깊이감을 더해주는 ‘초콜렛 베일’은 계절 상관없이 다양한 무드의 데일리 메이크업 룩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깨끗하고 내추럴한 무드를 연출해주는 ‘누드 캐시미어’와 강렬한 스모키 음영 메이크업을 연출해주는 ‘디퓨즈드 블랙’ 컬러는 아이섀도우 뿐만 아니라 아이 프라이머, 아이라이너로도 사용 가능한 멀티 유즈 아이템으로 메이크업 활용도를 높였다.

샬롯 틸버리 브랜드 담당자는 “롯데 단독으로 선보이는 ‘매트 아이즈 투 메스머라이즈’는 매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아이 메이크업 제품”이라며, “순간 밀착되는 특별한 포뮬러의 음영 컬러로 오래도록 그윽한 눈매를 완성해보길 바란다”고 전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3.42 ▲13.01
코스닥 717.77 ▲6.02
코스피200 328.35 ▲2.0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335,000 ▼1,000
비트코인캐시 487,500 ▲2,700
이더리움 2,30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480 ▲130
리플 2,989 ▼1
이오스 904 ▲4
퀀텀 3,171 ▲9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400,000 ▲37,000
이더리움 2,304,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520 ▲180
메탈 1,202 ▲2
리스크 759 ▲13
리플 2,989 ▼1
에이다 912 ▲2
스팀 22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33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488,100 ▲3,100
이더리움 2,30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500 ▲240
리플 2,987 ▼2
퀀텀 3,067 0
이오타 23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