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비사업 일반분양 3만8천가구…관건은 ‘분양가 산정’

한주협, 2022년 전수조사 결과 발표…서울 1만6천가구 ‘급증’
사업일정 지연·분양가 갈등 탓에 작년 물량 올해로 대거 연기
기사입력:2022-02-09 15:50:14
2022년도 재건축․재개발 일반분양 예상 가구수.(표=한국주택정비사업조합협회)

2022년도 재건축․재개발 일반분양 예상 가구수.(표=한국주택정비사업조합협회)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해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일반분양 물량은 지난해보다 1만1000여가구나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일반분양을 예정했던 단지들이 일반분양가 산정을 두고 HUG(주택도시보증공사)와 갈등을 겪으면서 대거 올해로 분양일정을 미룬 탓이다. 특히 3곳 중 1곳이 이와 같은 문제로 분양일정을 연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 작년보다 1만1099가구 많아…서울·경기도·부산·대전 등 집중

한국주택정비사업조합협회(이하 한주협)이 지난 8일 발표한 ‘2022년 재건축·재개발 일반분양 전망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는 전국 55개 사업구역에서 총 3만8278가구 규모의 일반분양이 진행된다. 지난해 전국 46개 구역에서 2만7179가구를 공급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1만1099가구가 증가하는 셈이다.

일반분양물량은 서울과 경기도, 부산, 대전에 집중될 전망이다. 지난해 대표적인 공급부족 지역이었던 서울의 경우 지난해 정비사업 일반분양물량이 619가구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1만6502가구로 대폭 증가할 예정이다. 부산의 경우에도 지난해(3131가구)보다 4359가구가 증가한 7490가구의 일반분양이 예상되고 있다. 경기도와 대전에서는 각각 6376가구와 3723가구를 공급한다.

특히 올해 일반분양 예정단지 중 12곳이 일반분양 물량만 1000가구 이상인 대단지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표적으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1만2032가구)를 비롯해 동대문구 이문3재정비촉진구역(4321가구), 부산 남구 대연3구역(4488가구), 광주 북구 운암3단지(3214가구) 등이다.

◆3곳 중 1곳은 지자체·HUG 일반분양가 산정 갈등이 원인

올해 공급물량이 대폭 증가한 이유는 지난해 분양 예정단지들이 대거 분양일정을 미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업계 예상과 달리 전국 41개 재건축·재개발 현장이 올해로 분양시기를 연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분양이 미뤄진 이유는 이주·철거지연, 사업계획 변경 등 사업일정 지연이 23개 구역으로 가장 많았지만, 일반분양가 산정을 두고 갈등을 겪은 구역(14곳)도 적지 않았다. 일반분양가 산정을 두고 지자체와 갈등을 겪거나 HUG의 고분양가 심사제도로 인해 일반분양가 협의가 늦어진 것이다. 나머지 4곳은 공사비 증액 요구 등으로 시공자와의 갈등을 겪거나 시공자 교체를 진행해 일반분양이 연기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올해도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와 금리인상 등의 불안 요소가 존재하는 데다 물가상승에 따른 시공사와의 공사비 협상 등이 변수로 작용해 분양일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더불어 광주 철거·붕괴 사고로 인해 공사 점검에 들어가고, 시공자 교체추진 등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국주택정비사업조합협회 관계자는 “올해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 등의 호재가 있지만 정부의 규제가 여전한 데다 물가 상승, 붕괴 사고에 따른 사업 지연, 비용 증가 등은 조합의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재건축·재개발은 물론 공공택지 등에서 대규모 물량이 공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일반분양가 산정과 청약일정 등을 결정하는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32.72 ▼12.34
코스닥 695.59 ▲13.80
코스피200 322.32 ▼2.7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0,998,000 ▼401,000
비트코인캐시 454,600 ▼1,400
이더리움 2,261,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070 ▼10
리플 2,933 ▼7
이오스 892 ▲7
퀀텀 2,779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0,968,000 ▼448,000
이더리움 2,26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070 ▼20
메탈 1,085 0
리스크 673 ▲1
리플 2,932 ▼6
에이다 904 ▼2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0,980,000 ▼470,000
비트코인캐시 455,300 ▼600
이더리움 2,26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070 ▼10
리플 2,931 ▼9
퀀텀 2,804 ▲16
이오타 233 ▼8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