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총액·1인 월평균 사교육비 역대 ‘최다’…몸값 뛰는 ‘학세권’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 23조4000억원, 1인 월평균 사교육비 36만7000원
주택 시장에도 영향…지난해 이어 올해도 학세권 단지 우수한 청약 성적
기사입력:2022-03-29 15:36:26
[로이슈 최영록 기자]
지난해 초·중·고교생의 사교육비 총액과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2007년 관련 조사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주택 시장에서도 학세권 단지에 대한 선호 현상은 더욱 짙어지는 모양새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1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23조415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19조3532억원보다 21% 늘어난 것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도 36만7000원으로 역대 최고였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32만1000원보다 14.2% 증가했다.
학생 수를 살펴보면 교육열에 대한 욕구를 더욱 실감케 한다. 초·중·고 학생 수가 2020년 534만6874명에서 2021년 532만3075명으로 약 2만명 가량 줄었음에도 오히려 사교육비는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이처럼 뜨거워지는 교육열은 주택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우수한 교육 환경을 갖춘 학세권 단지들이 청약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가장 높은 1순위 청약 경쟁률(809.1대 1)을 기록한 동탄2신도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트지’는 여울초등학교가 도보권에 위치했다. 두번째로 높은 경쟁률(718.3대 1)를 보인 과천지식정보타운 ‘린 파밀리에’ 역시 단지 바로 옆에 초·중학교 부지가 계획돼 있다.

올해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3월 계룡건설 컨소시엄이 분양한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6-3생활권 M4블록 ‘엘리프 세종’은 1순위 청약에서 1만3000명이 넘게 몰리는 흥행을 거뒀다. 단지 바로 앞으로는 산울유치원, 세종시 최초 초·중 통합학교인 산울초·중학교, 캠퍼스형 고등학교가 개교를 앞두고 있다.

학세권 아파트가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상반기 우수한 교육 환경을 갖춘 단지들이 속속 등장한다.
금성백조건설은 경기 화성 비봉지구 B-3블록에서 ‘화성비봉 예미지 센트럴에듀’를 선보인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5층, 10개동, 전용면적 76·84㎡, 총 917가구 규모다. 단지 바로 옆에 유치원과 초등학교 용지가 있고, 도보권에 중학교가 예정돼 있다.

대창기업은 전남 장흥군 장흥읍에서 ‘장흥 줌파크 더 센트로’를 성황리에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16층, 4개동, 전용면적 84~112㎡, 총 239가구다. 장흥초·중·고·여중 등을 걸어서 통학할 수 있다.

대우건설은 경남 김해시 구산동에 위치한 ‘김해 구산 푸르지오 파크테르’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9층, 5개동, 전용면적 84∙110㎡, 총 534가구다. 반경 500m 내 구산초가 위치해 있어 도보로 통학할 수 있으며, 구산중∙고, 분성중∙고 등도 인접해 있다. 삼계동에 위치한 학원가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월송홀딩스(시행)는 서울 광진구 구의동의 오피스텔 ‘아끌레르 광진’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16층, 1개동, 전용면적 45㎡, 총 154실 전체가 복층형 구조다. 자양초를 비롯해 건대부속중, 동국대부속여중, 건대부속고, 동국대부속여고 등 초·중·고교와 건국대, 세종대, 한양대 등이 위치해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92.05 ▲17.66
코스닥 842.12 ▲0.13
코스피200 383.01 ▲3.1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585,000 ▲238,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2,500
비트코인골드 35,540 ▼110
이더리움 4,761,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33,310 ▲290
리플 668 ▲1
이오스 815 ▲3
퀀텀 3,619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754,000 ▲341,000
이더리움 4,769,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33,380 ▲320
메탈 1,834 ▼10
리스크 1,440 ▲6
리플 669 ▲1
에이다 548 ▼1
스팀 27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610,000 ▲236,000
비트코인캐시 532,500 ▲1,500
비트코인골드 36,110 ▲530
이더리움 4,763,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3,330 ▲290
리플 668 ▲1
퀀텀 3,608 ▼16
이오타 25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