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최근 3개월 동안 외지인의 아파트 매수 비중이 높았던 곳은 충청, 강원 등 지방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주·원주(기업도시), 평택은 거주지와 무관한 ‘전국구 청약’ 지역이라 새 아파트 청약 경쟁률도 치열할 전망이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한국부동산원의 전국 시군구 최근 3개월(21년 12월~22년 2월) 아파트 매매거래를 분석한 결과 타 지역(관할 시도 외) 거주자의 아파트 매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759건이 거래된 아산으로 나타났다.
이어 ▲충남 천안 서북구 600건 ▲경남 김해 583건 ▲강원 원주 559건 ▲경기 평택 467건 ▲경남 양산 406건 ▲경북 구미 373건 ▲충북 충주 371건 ▲광주 북구 362건 ▲강원 춘천 346건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추가적인 가격 상승 가능성을 내다본 투자 목적의 매수가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비규제지역이 많아 세금, 대출 부담도 상대적으로 덜한 것도 장점이다”고 말했다.
외부 투자자들은 집값도 끌어올렸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같은 기간 아파트값은 원주가 3.0%, 평택 2.5%, 춘천 2.0%, 충주 1.3%, 아산 1.2% 등의 오름세를 보여 김해(0.9%)를 제외하면 전 지역이 전국 평균(1.1%) 상승률을 웃돌았다.
청약 열기도 뜨겁다. 지난해 말 아산 ‘탕정역 예미지’가 325.2대 1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호반써밋 원주역(88.9대 1)’, ‘장유자이 더 파크(50.4대 1)’, ‘구미 하늘채 디어반(25.0대 1)’ 등 모두 두 자릿대의 평균 경쟁률로 마감됐다.
외인 투자자들이 몰리는 지역 내 신규 분양 단지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먼저 전국구 청약이 가능한 충북 충주기업도시에는 대우건설이 시공하는 ‘서충주 푸르지오 더 퍼스트’가 4월 분양 예정이다. 아파트(전용 74~124㎡, 1029가구)와 주거형 오피스텔(전용 84㎡, 140실)을 합쳐 총 1169가구 대단지다. 전 타입이 4베이(bay) 이상으로 설계해 개방감을 극대화했고, 전용면적 84㎡ 일부타입의 경우 5bay, 4Room 설계를 적용해으며, 아파트 부가가치를 올리는 펜트하우스 타입도 있다.
이어 아산에서는 KCC건설이 4월 ‘아산 벨코어 스위첸’ 청약에 나선다. 아파트 전용 84•92㎡ 총 299가구와 오피스텔 전용 84㎡ 20실로 조성된다. 각 세대에 와이드 거실과 대면형 주방, 건습식 분리형 욕실 등을 적용한다. 오는 19일 1순위 청약을 받는다.
우미건설은 양산 사송지구에서 ‘양산 사송지구 우미린’ 분양에 돌입했다. 전용 84~112㎡ 총 688가구다. 청약 당첨자는 12일 발표하며, 25~28일 계약을 앞뒀다. 김해에서 4월 분양 예정인 ‘김해 구산 푸르지오 파크테르’도 시선을 끈다. 전용면적 84·110㎡의 총 534가구다.
전국에서 청약이 가능한 지역에서도 분양이 이어진다.
원주혁신도시에서는 유승종합건설이 386가구를 상반기 공급 계획이며, 평택에서는 하반기 고덕신도시에서 금성백조가 A48블록에서 431가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제천에서는 GS건설이 시공하는 ‘제천자이 더 스카이’가 시선을 끈다. 전용 79~112㎡ 총 713가구로 공공청사와 근린생활시설, 초교·유치원, 업무복합시설 등 다양한 생활인프라가 들어설 계획인 제천 미니복합타운 내에 들어선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외지인’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매수 ‘집중’
‘톱 10’에 충주·아산·천안·원주 포함…수도권에선 평택 차지충주·원주(기업도시)·평택, 전국 청약 가능…분양 열기 ‘후끈’ 기사입력:2022-04-15 11:35:1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499,000 | ▲321,000 |
비트코인캐시 | 487,600 | ▲3,100 |
이더리움 | 2,297,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70 | ▼30 |
리플 | 3,008 | ▲35 |
이오스 | 964 | ▲8 |
퀀텀 | 3,024 | ▲1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500,000 | ▲353,000 |
이더리움 | 2,298,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00 | ▼70 |
메탈 | 1,176 | ▲5 |
리스크 | 756 | ▲2 |
리플 | 3,009 | ▲32 |
에이다 | 898 | ▲9 |
스팀 | 210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560,000 | ▲360,000 |
비트코인캐시 | 487,100 | ▲3,000 |
이더리움 | 2,297,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40 | ▼50 |
리플 | 3,009 | ▲34 |
퀀텀 | 2,999 | 0 |
이오타 | 23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