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버려진 페트병 재활용해 ‘철이 없는 철근’ 생산

기사입력:2022-04-20 11:05:25
녹슬지 않는 KEco-bar(왼쪽) 철근(오른쪽).(사진=SK에코플랜트)

녹슬지 않는 KEco-bar(왼쪽) 철근(오른쪽).(사진=SK에코플랜트)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SK에코플랜트가 세계 최초 페트병을 원재료로 활용한 철근 대체물 GFRP 보강근(가칭 케이에코바, KEco-bar) 생산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GFRP 보강근 전문기업 케이씨엠티(KCMT), 친환경 신소재 기술기업 카본화이버앤영 등과 함께 케이에코바 생산라인 구축에 공동 투자한다고 20일 밝혔다.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GFRP 보강근은 흔히 철근이라 불리는 ‘보강근(Reinforcement bar, 리바)’을 철이 아닌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으로 만든 것이다. 생산과정에서 철근과 달리 고철, 석회석 등을 사용하지 않아 탄소배출량이 50% 이상 적다. 이들 3사는 한발 더 나아가 버려지는 페트병을 재활용해 GFRP 보강근 생산에 필요한 원료 중 하나인 ‘함침제’를 생산하는 기술에 대한 공동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함침제는 유리섬유를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 섬유의 배열을 유지하며 개별 섬유 간 하중 전달을 가능케 하는 원료다.

SK에코플랜드 관계자는 “GFRP 보강근은 철근과 달리 내부식성이 강해 녹이 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해안가, 교량, 댐 등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도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데다 준공 이후 건축물의 유지보수도 편리하다. 강도가 철근보다 2배나 단단하고, 무게는 4분의 1로 가벼워 시공 및 운송도 용이하다”며 “이러한 우수성을 인정받아 1990년대부터 미국, 독일 등에서 사용되기 시작해 현재는 전 산업분야로 확대 사용되고 있는 한편 최근 중국은 탄소감축 정책을 펼치며 최대 생산국가로 부상 중이다”고 설명했다.

SK에코플랜트와 GFRP 보강근 생산기술을 보유한 케이씨엠티, 친환경 수지 연구기업 카본화이버앤영이 공동으로 구축하는 신규 공장은 전 공정 자동화를 통해 기존 철근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조정식 SK에코플랜트 에코솔루션 BU대표는 “케이에코바는 건설자재 특성상 색상에 구애받지 않아 투명한 페트병뿐 아니라 유색 페트병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어 페트병의 자원순환율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며 “최근 건설 원자재 시장에 닥친 위기를 혁신적인 친환경 소재 개발을 통해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3.42 ▲13.01
코스닥 717.77 ▲6.02
코스피200 328.35 ▲2.0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490,000 ▲321,000
비트코인캐시 486,800 ▲2,300
이더리움 2,296,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3,070 ▼30
리플 3,007 ▲32
이오스 963 ▲9
퀀텀 3,026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480,000 ▲245,000
이더리움 2,297,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3,100 0
메탈 1,177 ▲6
리스크 756 ▲2
리플 3,007 ▲33
에이다 897 ▲7
스팀 21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500,000 ▲300,000
비트코인캐시 487,100 ▲3,000
이더리움 2,297,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3,040 ▼50
리플 3,007 ▲32
퀀텀 2,999 0
이오타 23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