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CJ제일제당의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가 국제공인기관으로부터 뛰어난 생분해 능력을 인정받았다.
CJ제일제당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하 KCL)과 함께 서해 대부도 연안에서 실험을 통해 PHA의 해양 생분해 능력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KCL은 건설·생활·환경 등 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를 시험·평가·인증하는 정부 지정 국제공인기관이다.
KCL은 비결정(非結晶)형 aPHA(amorphous PHA)와 반결정(半結晶)형 scPHA(semi crystalline PHA), 그리고 곡물 유래 생분해 소재인 PLA 필름(A4용지 크기)을 바다 속에 넣은 뒤 11주 동안 2주 간격으로 무게 변화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 aPHA의 무게는 약 57%, scPHA 무게는 약 28% 감소했다. 반면 특정 조건에서만 분해되는 산업 생분해 소재인 PLA 필름의 무게는 불과 1.2%만 줄었다. ‘PHA가 바다에서 잘 분해된다’라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CJ제일제당만 대량생산중인 aPHA는 고무와 비슷한 부드러운 물성을 지녀 포장재나 비닐 봉투 등 변형이 필요한 여러 품목을 만들 수 있고, 결정형cPHA(crystalline PHA) 또는 scPHA 제품과 혼합하면 유연성과 강도가 개선된다.
또한, CJ제일제당과 KCL은 PHA가 토양에서 분해될 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도 진행했다. PHA가 절반 이상 생분해된 흙과 PHA가 없는 흙에서 각각 보리와 상추의 씨앗을 키운 결과, 발아율과 생장 수준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는 PHA가 땅속에서 생분해될 때 식물에 유해한 독성물질을 배출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CJ제일제당은 KCL과 협업해 PHA의 생분해 특성에 대한 분석을 이어갈 계획이다. 지난달부터 PHA와 다른 생분해 소재를 섞어 만든 포장재와 빨대 등의 해양 생분해 실험을 진행중이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측정하고 있다. 또한, 피부 접촉시 알러지 반응 등 사람에게 미치는 유해성도 확인할 방침이다.
CJ제일제당은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통용되는 공신력있는 친환경 인증인 <TÜV 산업/가정/토양/해양 생분해 인증>을 지난해 2월 취득한 데 이어 이번 KCL의 실험에서도 생분해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KCL의 실험은 PHA의 우수한 생분해 능력과 산업적 가치를 인정받는 계기가 됐다”라며, “PLA나 PBAT 등 생분해에 한계가 있는 다른 소재와 aPHA를 혼합했을 때 분해가 더 잘되는 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관련 연구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CJ제일제당은 지난달 인도네시아 파수루안 바이오공장에서 PHA 본생산을 시작하고 생분해 소재 전문브랜드 <PHACT(팩트)>도 론칭했다. 현재 연간 생산규모는 5천톤으로, 오는 2025년까지 PHA 연간 생산규모를 6만5천톤까지 늘릴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CJ제일제당 PHA, 국제공인기관서 “뛰어난 생분해 능력” 확인
기사입력:2022-06-28 08:47: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3,011,000 | ▲251,000 |
비트코인캐시 | 489,100 | ▲2,800 |
이더리움 | 2,312,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80 | ▲60 |
리플 | 3,015 | ▲11 |
이오스 | 899 | ▼4 |
퀀텀 | 3,086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3,014,000 | ▲193,000 |
이더리움 | 2,31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60 | 0 |
메탈 | 1,200 | 0 |
리스크 | 758 | ▲1 |
리플 | 3,018 | ▲14 |
에이다 | 910 | 0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3,050,000 | ▲250,000 |
비트코인캐시 | 489,200 | ▲2,600 |
이더리움 | 2,31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70 | ▲30 |
리플 | 3,017 | ▲14 |
퀀텀 | 3,098 | 0 |
이오타 | 23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