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정부, 규제지역 17곳 해제…지방 부동산 시장 ‘지각변동’

기사입력:2022-07-13 14:13:35
[로이슈 최영록 기자]
정부가 지방권을 중심으로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을 일부 해제하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 분위기의 변화가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를 통해 대구는 수성구가 투기과열지구에서 조정대상지역으로 변경됐고, 나머지 6개 구와 1개 군이 조정대상지역에서 모두 해제돼 비규제지역이 됐다.

대전, 경남 창원의 투기과열지구도 해제됐으며, 이 외 경북 경산, 전남 여수·순천·광양 등이 규제지역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반면 잠재적인 매수세가 유지되고 있다 판단된 수도권(일부 도서지역 제외)과 세종은 현행 규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특히 세종은 지방에서 유일한 투기과열지구로 남겨졌다.
업계에서는 과거 부산 해운대구·수영구·동래구(이하 해·수·동)가 규제지역에서 해제된 후 반등 기세를 보였던 사례가 있는 만큼, 대구 등 일부 인기 지역 역시 상승 분위기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해∙수∙동은 2017년 8·2대책을 통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으며, 2019년 11월 6일 해제된 바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해∙수∙동 규제 지정의 영향으로 2017년 9월 2주차부터 꾸준히 하락세를 유지했으나, 해제 직후인 2019년 11월 2주차에 0.1% 상승하며 2년 2개월 만에 반등세로 돌아섰다.

개별 단지의 가격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동래구 ‘명륜 아이파크 1단지’ 전용 84.99㎡는 해제 직전인 2019년 9월 5억원에 거래됐으나 해제 후 12월에 7억 2,000만원으로 3개월 만에 2억원 이상 올랐다.

이처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 시 청약통장 가입 후 6개월만 지나면 1순위 자격을 충족하고 세대원, 다주택 세대주도 1순위 청약이 가능하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도 70%로 늘어난다. 또한 취득세 및 다주택자의 종합 부동산 세율이 인하되는 등 각종 세금 규제도 완화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과거 부산 해운대구 등을 포함한 지역들은 조정대상지역 해제 이후 시장이 회복됐던 사례가 있어 대구, 대전 등 규제 해제만 기다리던 인기 지역의 향후 분위기에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며 “다만 미분양이 모두 해소되지 못한 데다, 신규 분양도 많은 상황으로 반등 여부는 당분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하반기 규제지역이 해제된 지방 부동산 시장에 신규 공급이 이어진다.

대구에서는 현대건설이 서구 비산동 ‘힐스테이트 서대구역 센트럴’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39층, 아파트 5개동 전용면적 84㎡, 102㎡ 762가구, 주거형 오피스텔 1개동 전용면적 84㎡ 75실, 총 6개동 837가구로 조성된다. 지난 3월 개통한 KTX 서대구역이 가깝고, 인근으로 역세권 도시개발사업 등이 진행 중이어서 향후 가파른 가치 상승이 예상된다. 특히 서구 첫 번째 힐스테이트 단지이자 서구에서 두 번째로 높은 초고층 주거복합단지로서 희소성 및 상징성이 높을 전망이다.

아울러 현대건설은 오는 14일 남구 대명동에서 ‘힐스테이트 대명 센트럴 2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규제 해제 발표 이후 대구에서 첫 모집공고를 내고 분양되는 단지며, 전용면적 84~174㎡의 아파트 977가구와 전용면적 84㎡의 주거형 오피스텔 266실, 총 1243가구 규모다.

신세계건설은 이달 북구 칠성동2가에서 ‘빌리브 루센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47층, 2개동, 전용면적 84~113㎡ 총 258가구 규모의 주상복합단지로, 이 중 232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대구1호선 대구역이 도보권에 자리한 역세권 단지다.
전남 광양시에서도 이달 신규 분양이 예정돼 있다. 포스코건설이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9개동, 전용면적 84~159㎡ 총 920가구의 ‘더샵 광양라크포엠’을 분양한다. 단지는 광양시 내에서도 주거선호도 높은 중마생활권에 위치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84.26 ▼23.37
코스닥 852.67 ▼4.84
코스피200 380.88 ▼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653,000 ▲334,000
비트코인캐시 544,000 ▲500
비트코인골드 34,020 ▲80
이더리움 4,990,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33,310 ▲120
리플 689 ▲6
이오스 804 ▼6
퀀텀 3,592 ▼2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709,000 ▲254,000
이더리움 4,995,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33,350 ▲150
메탈 1,675 ▲7
리스크 1,471 ▼11
리플 689 ▲4
에이다 535 ▼1
스팀 2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716,000 ▲343,000
비트코인캐시 543,000 ▼500
비트코인골드 34,030 0
이더리움 4,992,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33,160 ▼40
리플 689 ▲5
퀀텀 3,644 0
이오타 24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