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그룹, 전기의 시대 맞아 탄소중립 경영 ‘탄력’

기사입력:2022-08-29 18:15:00
LS전선이 지난 4월 구축한 해저케이블 전용 포설선 GL2030 전경. 사진=LS그룹

LS전선이 지난 4월 구축한 해저케이블 전용 포설선 GL2030 전경. 사진=LS그룹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LS그룹은 구자은 회장이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세 달간에 걸쳐 충청·경상·전라권 전국 14곳의 자회사·손자회사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는 현장경영에 나섰다고 29일 밝혔다. 그룹의 주력인 전기·전자 및 소재, 에너지 분야의 사업 경쟁력은 더욱 강화하는 한편, 탄소중립으로 인한 전기화 시대(Electrification)를 맞아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규 사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각 계열사들은 전력 인프라와 종합 에너지 솔루션 분야의 오랜 사업적 경험을 살려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분야 등 새로운 사업 기회를 지속 발굴·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LS는 지난 5월, LS-니꼬동제련의 2대 주주 JKJS가 보유한 49.9% 지분을 9300억원에 사들인다는 내용의 주식매매계약서(SPA)를 체결했다. 전기동을 주요 자재로 다루는 그룹내 계열사와의 사업 시너지가 예상됨에 따라 회사의 기업 가치 및 주주 가치가 더욱 제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S전선은 2008년 동해시에 국내 최초의 해저 케이블 공장을 건설하고, 지금까지 약 5500억원을 투자, 해저 케이블 전문 공장으로 육성해왔다. LS전선은 지난 2020년 미국, 네덜란드, 바레인 등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같은 해 11월 해상풍력발전사업 세계 1위인 덴마크 오스테드와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했다.

LS일렉트릭은 의왕시청에서 의왕시 등 4개 기관과 함께 의왕시 백운호수 공원 내에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기반 탄소중립 공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LS그룹

LS일렉트릭은 의왕시청에서 의왕시 등 4개 기관과 함께 의왕시 백운호수 공원 내에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기반 탄소중립 공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LS그룹

이미지 확대보기


LS일렉트릭은 올해 8월 의왕시청에서 의왕시 등 4개 기관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해 의왕시 백운호수 공원 내에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탄소중립’ 공원을 조성키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LS일렉트릭이 조성할 예정인 탄소중립 공원에는 주차장 태양광 시스템과 전기차 충전시설,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 시민 편의를 제공하는 동시에 매전 수익으로 운영비를 확보하고 에너지 자급자족은 물론 인근지역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 비상전원 공급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LS일렉트릭은 지난 7월 전기차 부품 자회사 LS이모빌리티솔루션을 통해 중국에 이어 멕시코에 두번째 생산 기지를 구축하고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할 예정이다.

LS이모빌티솔루션은 오는 2023년까지 두랑고에 연면적 3만 5000㎡ 규모의 생산 공장을 구축하고, 2024년부터 EV릴레이(Relay), BDU(Battery Disconnect Unit) 등 전기차 핵심 부품 양산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이번 멕시코 공장 준공을 통해 오는 2030년 EV 릴레이 900만대, BDU 2백만대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북미 시장서 연간 약 7000억 원 수준의 매출이 예상된다.

LS-니꼬동제련은 그룹의 디지털 전환 과제의 일환으로 2016년부터 생산 전 과정을 통신으로 연결해 공정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ODS(Onsan Digital Smelter)를 추진 중이다. 또한 지난해 말에는 아시아 최초로 ‘카퍼마크(Copper Mark)’ 인증을 취득했다. 미국과 EU 등이 ESG 관련 기준을 강화하는 추세여서 세계시장 공략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LS엠트론은 지난 6월 국내 작업기 생산 업체인 웅진기계와 LS엠트론 전주공장에서 트랙터 작업기 생산 합작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합작법인 ‘랜드솔루션(LAND SOLUTIONS)’은 김제 자유무역지역 내 1만 5500평 규모의 부지에 연 2만대 생산 능력을 갖춘 작업기 생산 공장을 구축할 예정이다. 로더(Loader), 백호(Backhoe) 등이 생산될 예정이며, 2023년 1분기 제품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제품들은 국내는 물론 LS엠트론의 주력 시장인 북미에도 수출될 예정이다.

친환경 에너지 기업 E1은 지난 4월 ‘휴맥스모빌리티’와, 5월에는 ‘스탠다드에너지’와 각각 ‘전기차 충전 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E1은 ‘휴맥스모빌리티’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확대를 위한 JV 설립을 추진해 미래형 스마트 모빌리티 허브를 공동 개발할 계획이며, ESS(에너지저장장치) 전문 기업인 스탠다드에너지와는 E1이 보유한 LPG 충전소에 ‘스탠다드에너지’의 ESS를 연계한 초급속 전기차 충전 시설을 구축하는 등 전기차 충전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설명이다.

LS 관계자는 “올해 구자은 회장 체제로 새롭게 출발하는 LS는 전 세계적 에너지 대전환 시대에 기존 강점을 지닌 전기·전력 인프라와 에너지 솔루션을 바탕으로 그룹의 제 2의 도약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또한 “그룹의 경영철학인 LS 파트너십으로 임직원 모두가 합심해 ESG 경영과 고객 및 주주 가치 제고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등 LS를 둘러싼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성장하는 한 해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92.05 ▲17.66
코스닥 842.12 ▲0.13
코스피200 383.01 ▲3.1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440,000 ▲156,000
비트코인캐시 531,000 ▲2,500
비트코인골드 35,610 ▼50
이더리움 4,757,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3,200 ▲100
리플 666 ▲2
이오스 812 ▲1
퀀텀 3,619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553,000 ▲201,000
이더리움 4,765,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3,220 ▲110
메탈 1,849 ▲15
리스크 1,431 ▼3
리플 667 ▲1
에이다 547 ▲0
스팀 27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429,000 ▲156,000
비트코인캐시 531,000 ▲2,000
비트코인골드 35,650 ▼90
이더리움 4,757,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33,200 ▲130
리플 666 ▲1
퀀텀 3,608 ▼16
이오타 25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