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스틸시리즈, ‘디 인터내셔널 도타2 챔피언십’ 공식 게이밍기어 파트너 브랜드로 선정
스틸시리즈가 싱가폴에서 진행된 세계 최대 규모 e스포츠 토너먼트인 ‘디 인터내셔널 도타2 챔피언십’의 공식 게이밍기어 파트너 브랜드로 선정됐다.
스틸시리즈 관계자는 "2022년 10월 8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된 ‘디 인터내셔널 도타2 챔피언십’의 공식 게이밍기어 파트너 브랜드로 2년 연속 선정된 스틸시리즈는 수상 경력을 자랑하는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및 액세서리를 선수들에게 제공하고, 대회 활성화에 기여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22년 ‘디 인터내셔널 도타2 챔피언십’ 토너먼트에 출전하는 팀 중 역대 2회 수상의 영광을 거머쥔 세계적인 팀인 레드 불 OG(Red BULL OG)의 자랑스러운 파트너로도 활약했다"라고 전했다.
스틸시리즈는 팬들을 위해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 부스를 마련했다.
스틸시리즈는 팬들이 부스를 방문해 제품을 직접 체험해 보고, 특별한 경품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디 인터내셔널 도타 2 참석자들은 야외 TV에서 상영되는 스틸시리즈 영상을 볼 수 있었으며, 사진을 찍고 경품을 받으려고 배회하는 코스튬플레이어들도 구경할 수 있었다. 또한 스틸시리즈 부스에서는 무료 아이스크림 티켓이 제공되었으며, 공식TI11 핀 컬렉션 및 스웨그 백을 구매가 진행되었다.
한편, ‘디 인터내셔널 도타2 챔피언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밸브 소프트 웨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다나와, 만 14세 이상 300명 대상 노트북 브랜드 선호 설문조사 진행
다나와가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만 14세 이상 300명(10대부터 50대 각 연령대 별 60명)을 대상으로 노트북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 별로 브랜드 선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는 애플에 대한 선호도가 20대 대비 두 배 이상 높아 ‘알파세대’와 ‘MZ세대’간의 간극도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10대는 노트북을 새로 구매할 경우 고려하는 브랜드 1순위로 애플(48.3%)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20대는 LG전자(40%), 30대는 삼성전자(41.7%)를 선택했다. 40대, 50대에서도 삼성전자 브랜드를 선택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는 16.7%만이 1순위로 애플의 노트북을 고려한다고 응답해 10대 절반 이하의 선호도를 보였다. 다만 ‘성능, 가격, A/S 등 모든 판매조건이 동일하다면 어떤 브랜드의 노트북을 선택하겠냐’는 질문에는 20대도 1순위로 애플(41.7%)을 선택했으며, 30대와 40대에서도 각각 애플이 가장 많은 선택(각각 43.3%, 38.3%)을 받았다.
◆수젠텍, 3분기 누적 매출액 995억원, 영업이익 504억원 기록
체외진단 글로벌 선도기업 수젠텍(253840, 대표이사 손미진)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 3분기 누적 매출액 995억 원, 영업이익 504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2022년 3분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5%, 당기순이익은 86% 감소한 각각 87억 원, 28억 원이고 영업이익은 34억원 손실을 보았으나, 3분기 누적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은 전년 동기 대비 93%, 116% 증가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스틸시리즈, ‘디 인터내셔널 도타2 챔피언십’ 공식 게이밍기어 파트너 브랜드로 선정 外
기사입력:2022-11-11 18:14: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47.43 | ▼29.98 |
코스닥 | 699.11 | ▼12.81 |
코스피200 | 323.53 | ▼4.6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144,000 | ▲34,000 |
비트코인캐시 | 463,100 | ▼500 |
이더리움 | 2,294,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440 | ▼130 |
리플 | 3,031 | 0 |
이오스 | 913 | ▲15 |
퀀텀 | 2,819 | ▼1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198,000 | ▲122,000 |
이더리움 | 2,295,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490 | ▼90 |
메탈 | 1,185 | ▼5 |
리스크 | 705 | ▲2 |
리플 | 3,031 | 0 |
에이다 | 883 | 0 |
스팀 | 215 | ▲1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23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463,000 | ▼500 |
이더리움 | 2,299,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350 | ▼220 |
리플 | 3,030 | ▼1 |
퀀텀 | 2,800 | 0 |
이오타 | 227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