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신내’, GTX-A 서울 정차역 4곳 중 착공 후 집값 상승률 ‘1위’

기사입력:2023-03-02 10:59:39
[로이슈 최영록 기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중 A노선 부분 개통이 내년으로 다가온 가운데 서울 정차역 4곳 중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연신내역 일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GTX-A는 경기도 파주 운정신도시 운정역과 화성 동탄신도시 동탄역을 잇는 노선으로 총 11개 역사, 약 83.1km 구간이다. 이 중 서울 내 정차역은 연신내역, 서울역, 삼성역, 수서역 단 4곳에 불과해 이들 역사 인근 부동산 시장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도 높다.

특히 4곳의 정차역 중에서도 연신내역 일대가 가장 높은 집값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동산R114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신내역이 위치한 은평구 불광동의 가구당 평균 집값(2022년 4분기 기준)은 9억3699만원으로 GTX-A 착공 직후인 2019년 3분기(6억3081만원) 대비 약 48.5%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에 서울역이 위치한 용산구 43.8%, 삼성역이 위치한 강남구 삼성동 30.3%, 수서역이 위치한 강남구 수서동 32.4%보다 최대 15%p이상 높은 수치다.
연신내역세권은 다른 3곳의 역이 들어설 강남구, 용산구 등에 비해 다소 저평가됐던 지역인 만큼 GTX를 비롯한 여러 대형 개발 호재로 큰 상승폭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 공공주택 위주로 공급이 이뤄졌던 수서역과 업무단지 위주 구성으로 새로운 주거 개발 부지가 많지 않은 서울역, 삼성역 등에 비해 연신내역 일대는 아직 주거상품이 들어설 자리가 남아있다는 희소성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향후 분양 예정물량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강남구와 용산구의 올해 분양물량은 각각 1613가구, 110가구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은평구는 3259가구가 분양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연신내역 초역세권에 신규 단지 분양도 예정돼 있다. 신세계건설은 2023년 첫 분양 단지로 빌리브 에이센트를 준비 중이다. 빌리브 에이센트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들어설 상업시설과 함께 주거, 업무, 교육시설로 구성된 복합 단지로 지어져 향후 연신내역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특히 연신내역 바로 앞에 위치한 만큼 서울 첫 GTX 라이프와 함께 연신내역세권 복합개발의 실질적인 시작을 알리는 단지로 높은 미래가치를 누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부동산 전문가는 “서울역, 강남역 등과 달리 연신내역은 아직 주거상품이 들어설 자리가 남아있는 데다, 연신내역세권 일대를 개발하는 대규모 사업인 지구단위계획과 인근 혁신파크부지개발 등 대형 호재가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GTX가 개통되면 연신내역에서 삼성역까지 단 9분만에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연신내역 일대는 강남 업무지구의 배후주거지로 송파, 서초 등과 견줄 만큼 입지적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84.26 ▼23.37
코스닥 852.67 ▼4.84
코스피200 380.88 ▼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642,000 ▲392,000
비트코인캐시 544,000 ▲500
비트코인골드 34,020 ▲80
이더리움 4,989,000 ▲31,000
이더리움클래식 33,310 ▲120
리플 689 ▲6
이오스 804 ▼6
퀀텀 3,603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709,000 ▲373,000
이더리움 4,996,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33,330 ▲140
메탈 1,679 ▲3
리스크 1,471 ▼11
리플 690 ▲6
에이다 535 ▼1
스팀 2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704,000 ▲441,000
비트코인캐시 543,000 ▼500
비트코인골드 34,030 0
이더리움 4,991,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3,160 ▲30
리플 690 ▲6
퀀텀 3,644 0
이오타 24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