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그린수소 생산 기술 ‘스핀 제어 광전극’ 개발

기사입력:2023-03-14 17:40:01
[로이슈 전여송 기자]

무한한 자연 에너지인 태양광과 물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태양광 물분해 시스템이 친환경 미래기술로 주목받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태양광을 흡수해 물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광전극의 성능 향상을 이끌 카이랄 산화물 촉매 적용 기술을 선보였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연세대학교 문주호 교수 연구팀이 카이랄 산화물의 증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성능이 향상된 금속산화물 기반의 카이랄 광전극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카이랄성(Chirality)이란 비대칭성을 가리키는 용어로 거울상 영상에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 구조를 뜻한다.

광전극을 이용한 태양광 물분해 시스템은 재료가 저렴하고 시스템이 단순해 이론상으로는 기존 태양전지-전기분해 시스템보다 경제성과 효율성이 높지만, 전극 내 전자를 단순한 전하 운반체로만 인식하기 때문에 실제 성능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광전극에 카이랄 물질을 접목하는 양자역학적 관점의 개선 방안이 제시됐지만, 구동 안정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대상이 촉매반응 활성을 가진 유기물질에 한정되어 기존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웠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금속 산화물 기반의 카이랄 물질을 광전극에 적용하고자 금속 산화물 합성에서의 카이랄성 전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광전극을 개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 기반의 카이랄 재료는 유기물에 비해 높은 내화학성과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이며 광전극과 이종접합을 형성하여 전하 분리 효율을 증진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원리를 기반으로 장기 구동 안정성과 높은 촉매반응 활성을 가진 금속 산화물 기반의 카이랄 재료를 합성하고 카이랄 금속 광전극을 개발했다. 금속산화물에 카이랄성을 부여하고 전자의 스핀을 제어함으로써 전해질-촉매 계면에서의 재결합을 억제하고 광전류밀도를 향상시키자 성능을 저해하던 부산물이 억제되고 산소 발생 효율은 증진됐다.

실험 결과 새로운 카이랄 금속 광전극은 광전류밀도와 O2 생성 효율이 각각 약 23% 및 20% 향상됐다. 또한, 80시간 연속 구동 시 카이랄 전극의 효율은 85.1%로 비카이랄 전극 73.2% 보다 높았다고 전했다.

문주호 교수는 “증착 용액 내 카이랄성 전이에 대한 이해는 다양한 기판과 재료에 활용이 가능해 광전극 뿐만 아니라 촉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보다 넓은 범위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기대된다”라며 “이번 성과가 산업화 규모에서 구현 가능하도록 더 높은 카이랄성 효과와 촉매 활성을 가진 물질 개발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 앤 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1월 25일 게재되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04.15 ▼31.78
코스닥 668.31 ▼16.05
코스피200 318.33 ▼4.0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487,000 ▼757,000
비트코인캐시 675,500 ▼8,500
비트코인골드 24,620 ▼250
이더리움 4,947,000 ▼67,000
이더리움클래식 39,010 ▼590
리플 3,353 ▼41
이오스 1,178 ▼28
퀀텀 4,580 ▼10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664,000 ▼486,000
이더리움 4,959,000 ▼54,000
이더리움클래식 39,000 ▼570
메탈 1,704 ▼30
리스크 1,388 ▼19
리플 3,358 ▼31
에이다 1,339 ▼13
스팀 327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690,000 ▼510,000
비트코인캐시 676,000 ▼8,000
비트코인골드 24,200 0
이더리움 4,950,000 ▼65,000
이더리움클래식 39,030 ▼760
리플 3,356 ▼38
퀀텀 4,660 ▼30
이오타 440 ▼1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