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코빗 리서치센터, ‘SVB 사태와 가상자산 시장 전망’ 번외편 보고서 발간 外

기사입력:2023-03-15 14:33:18
[로이슈 편도욱 기자] 코빗(대표 오세진)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가 이 달 발생한 실버게이트 캐피탈, 실리콘밸리은행(이하 SVB), 시그니처은행의 뱅크런 및 폐쇄 사태를 긴급 분석한 <SVB 사태와 가상자산 시장 전망> 번외편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미국 소재 세 금융기관의 특징 및 이번 사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것을 비롯해 향후 가상자산 시장으로의 영향 가능성을 다뤘다.

코빗 관계자는 "우선 세 금융기관은 전문 분야가 각기 다르다"라며 "실버게이트는 가상자산 산업 분야에 특화돼 있고 SVB는 스타트업, 시그니처은행은 뉴욕 지역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가상자산 익스포저 측면에서는 실버게이트는 예치금 80% 이상이 가상자산 거래소 현금 예치금을 비롯한 관련 산업 기반이며 SVB에는 일부 가상자산 기업 및 프로젝트 재단의 예치금이 들어있다"라며 "시그니처은행은 2018년부터 가상자산에 관심을 보이면서 예치금의 20~30%가 해당 분야에서 왔다"라고 전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세 곳의 공통적인 취약점은 채무였던 것으로 봤다. 해당 은행들의 자산은 현금성 자산 외에 장기 국채, 주택담보채권 등이 높은 비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다른 은행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전통적으로 은행의 경영난은 보유 자산 중 부실채권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번 은행 세 곳의 자산은 대체로 신용등급이 높은 자산으로 구성되어 부실채권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실버게이트와 SVB는 예금 기반이 고위험 고수익 분야에 집중된 상황에서 예치자들이 동시에 인출을 요청하는 뱅크런이 발생하자 보유 자산을 현금화해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해당 금융기관들은 금리 인상 때문에 매입 가격보다 평가절하된 시세에서 대량의 장기채권을 강제 매각하게 됐다. 이는 대규모 손실 발생에 따른 자기자본 훼손으로 이어졌다. 결국 영업을 지속하기 위한 최소한의 자기자본비율 유지에 실패하면서 영업정지 및 자발적(실버게이트) 혹은 정부 관리하에(SVB, 시그니처은행) 청산하게 됐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세 은행에서 뱅크런이 확산된 이유와 실물 경제와의 연관성 측면에서는 다른 점이 있다고 봤다. 실버게이트에서는 지난해 FTX 사태 이후 중앙화 가상자산거래소에 대한 불신에 따른 현금 인출 사태가 일어났다. 이에 반해 SVB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투자 유치가 어려워진 스타트업의 예금 소진이 뱅크런으로 이어졌으며 시그니처은행에서는 SVB 청산이 전이되면서 대규모 인출 사태가 발생했다는 것.

해당 기관들이 실물 경제와 연관된 정도에 따라 위험 확산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SVB는 스타트업과 관련이 많아서 실버게이트나 시그니처보다는 좀 더 넓게 실물 경제에 노출돼 있다. 사실 SVB가 재무제표상 위험의 집중도는 낮았다. 하지만 먼저 발생했던 실버게이트 사태가 가상자산 업계에 국한됐던 것에 비해 SVB는 중소기업과 중소은행들의 위험 신호로도 여겨져 시장에서는 미국의 금융 시스템 및 경제 전반에 대한 불안으로까지 확산했다.

한편 코빗 리서치센터는 이번 일련의 사건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끼칠 영향에 대해 매크로 리스크, 법정화폐 입출금 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했다. 매크로에서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작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근래 수년간 연준의 긴축 정책의 부작용으로 인해 금융 시스템에 이상이 생겨 갑자기 정지된 사례들을 예로 들면서 이번에도 연준의 지난해 급격한 긴축 통화 정책이 중요하게 작용한 만큼 SVB 사태 이후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연준의 긴축 사이클 종료가 가시화된다면 가상자산을 포함한 모든 위험자산의 가격은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법정화폐 측면에서는 실버게이트와 시그니처은행이 가상자산 시장에 미국 달러의 주요 공급원이었기 때문에 이들의 영업 중단으로 단기적으로는 시장 유동성이 축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 코빗 리서치센터는 두 곳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해결책으로 ▲미국 소재 기타 가상자산 은행 약진 ▲유로화 대체 ▲스테이블코인의 세 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현재 서클이 시그니처은행을 대체할 파트너로 미국 내 가상자산 친화적인 은행 중 Cross River를 선택했기 때문에 향후 성장이 기대된다는 것이다.

유로화의 사용은 BLINC 서비스를 통해 거래량이 조금씩 늘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존 실버게이트의 서비스와 유사한 형태인 BLINC(BCB Liquidity Interchange Network Consortium)는 영국 소재 BCB 그룹이 유럽 전역의 은행들과 유로, 파운드, 스위스프랑 등의 법정화폐를 사용해 제공 중이다. 그런데 최근 BCB 그룹이 지원 화폐 목록에 미국 달러도 포함할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미국 은행 공백 상황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중앙화 거래소에서 과거 수년간 미국 달러 대비 거래량 점유율이 상승 추세에 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미국 달러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활발히 발행된다면 향후 더욱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혹시 미국 내 규제 등으로 인해 미 달러 입출금이 어려워진다면 좀 더 가상자산 친화적인 유럽 소재 은행을 통해 발행되는 유로 스테이블코인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이번 사태가 미국의 은행 섹터는 물론이고 전반적인 미국 금융 시스템의 건전성 및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과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시장 내 다양한 관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하기 위해 리서치 번외편을 발간했다”며 “코빗 리서치는 가상자산 업계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앞으로도 시장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들을 발 빠르게 전하겠다”고 밝혔다.

◆KOSA, 신임 위원장에 메가존클라우드·솔트룩스 선임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회장 조준희, 이하 KOSA)는 14일 위원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산하 2개 위원회 신임 위원장을 위촉했다.

해외진출위원회 위원장에 메가존클라우드(주) 이주완 대표, 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위원회 위원장에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가 신규 위촉됐으며 2년 임기로 활동 예정이다. 클라우드 분야 최초로 유니콘기업에 등재한 메가존클라우드와 국내 AI산업에서 가장 두각을 보이고 있는 솔트룩스 영입으로 소프트웨어(SW) 산업확장에 기여하겠다는 전략이다.

정책·제도위원회(강용성), 서비스혁신위원회(정상원), ESG위원회(박연정), 심의위원회(장인수) 위원장은 연임한다.

◆글로벌 페이먼트 트래블월렛,

197억 원 시리즈 C 투자 유치

글로벌 페이먼트 서비스 트래블월렛이 197억 원의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했다고 15일 밝혔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선제적인 자본 확충으로 재무 건전성을 높이려는 전략이다.

이번 투자에는 SK증권, 골든오크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CJ인베스트먼트, BNK투자증권이 참여했다. 최근 금융시장 불안과 위축된 투자 시장 환경에서도 라운드 목표 투자 금액 대비 3배 이상의 수요가 몰렸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투자를 포함한 누적 투자유치 금액은 총 500억 원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8.42 ▲5.00
코스닥 715.45 ▼2.32
코스피200 329.31 ▲0.9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520,000 ▲94,000
비트코인캐시 491,300 ▲1,700
이더리움 2,36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260 ▼30
리플 3,059 ▲9
이오스 937 ▼2
퀀텀 3,095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650,000 ▲224,000
이더리움 2,367,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250 ▼70
메탈 1,181 ▲5
리스크 761 ▲1
리플 3,060 ▲10
에이다 928 ▲3
스팀 20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53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491,300 ▲1,500
이더리움 2,36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3,210 ▼120
리플 3,058 ▲8
퀀텀 3,083 ▲27
이오타 24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