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샘표는 14일 장류업계 최초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산업 미생물 자원 안전중복보존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로써 샘표가 자체 보유한 핵심 미생물 자원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은행에 이중 보관하게 된다.
샘표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은 우리 식문화의 근간인 장(醬)의 맛과 향, 색을 결정하는 중요 미생물을 국가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이뤄졌다"라고 전했다.
이어 "어떤 미생물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장의 맛과 품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맛있는 장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미생물을 보존하는 일은 우수한 우리 식문화를 계승하고 한식을 세계화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다"라고 밝혔다.
더욱이 급속한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 전쟁 등으로 인해 미생물을 포함한 우수한 유전자원이 유실되지 않게 보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생물다양성 증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세계 각국은 발효식품에서 유용한 미생물을 발굴해 자원화하는 추세다.
샘표는 1955년 업계 최초로 장류 전문 연구실을 만드는 등 일찍부터 미생물과 발효 기술 연구에 매진했다. 전국의 맛 좋은 장에서 미생물을 수집해 안전성과 기능성, 향미 생성 능력 등을 평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2013년 설립한 샘표 우리발효연구중심은 국내 최고의 발효 미생물 보고이자 아시아 유일의 식물성 발효전문연구소다. 현재 3,000여 종의 미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생물로 제품의 맛과 향, 색을 조절하는 원천기술과 70여 개의 관련 특허를 갖고 있다. 농업과학원과도 다년간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보유 미생물 및 연구 기술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샘표가 혁신 제품을 잇따라 선보일 수 있었던 것도 차원이 다른 미생물 제어 기술 때문이다. 2001년 샘표는 그동안 까다로운 발효조건으로 대량생산이 어려웠던 전통 한식간장을 국내 최초로 복원하는데 성공했다. 장맛은 미생물이 좌우하는데, 샘표는 미생물을 제어하는 기술을 고도로 발달시켜 간장 특유의 진한 색과 향은 줄이고 깊은 감칠맛은 살린 글로벌 장 ‘연두’를 개발하였고, 올해 초 기존 샘표 한식간장보다 염도를 낮춘 프리미엄 국간장 ‘한식 국간장’을 선보였다.
◆창작콘텐츠 제작사 네버엔딩플레이, 중국과 ‘아르토, 고흐’ 라이선스 수출 계약 체결
창작콘텐츠 제작사 네버엔딩플레이가 창작뮤지컬 ‘아르토, 고흐’ 수출은 물론 중국의 창작뮤지컬 ‘킹스 테이블’ 수입 계약을 체결하며 중국 교류에 박차를 가한다.
네버엔딩플레이 측은 “‘아르토, 고흐’가 중국 ‘이징문화’와 라이선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1년 처음 무대에 오른 ‘아르토, 고흐’는 1980년 G박사에게 치료받던 ‘고흐’와 1943년 L박사에게 치료받던 ‘아르토’가 시간과 초월해 만난다는 설정으로 광기 어린 두 사람의 만남을 새로운 형태의 내러티브 뮤지컬 형식으로 그려내 관객들에게 새로운 자극이 되며 호평을 자아냈다.
한편, ‘이징문화’는 ‘아르토, 고흐’를 통해 최초로 상해에서 뮤지컬 제작에 도전한다.
◆원주시-혁신도시 12개 공공기관, 동반성장 협력 강화한다
강원 원주시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이 동반 성장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시는 15일 오전 원주혁신도시 이전 12개 공공기관장 등을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했다.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원주시가 상호협력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샘표, 국립농업과학원과 장류 미생물 자원 안전중복보존 MOU 外
기사입력:2023-03-15 20:03:2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665,000 | ▲437,000 |
비트코인캐시 | 484,600 | ▼1,600 |
이더리움 | 2,29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40 | ▼20 |
리플 | 3,001 | ▲1 |
이오스 | 955 | ▼4 |
퀀텀 | 3,022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724,000 | ▲523,000 |
이더리움 | 2,290,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30 | ▼20 |
메탈 | 1,175 | 0 |
리스크 | 759 | ▲3 |
리플 | 3,000 | ▲2 |
에이다 | 894 | 0 |
스팀 | 21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680,000 | ▲480,000 |
비트코인캐시 | 484,500 | ▼200 |
이더리움 | 2,29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110 | ▲70 |
리플 | 3,001 | ▲2 |
퀀텀 | 2,999 | 0 |
이오타 | 24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