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두산밥캣은 3월 20~23일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서 열린 물류 전시회 ‘ProMat(프로매트) 2023’에 참가했다고 24일 밝혔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전시장에 자리한 9개 제품 중 5개는 ‘밥캣 지게차’로, 전시장에는 ‘두산’과 ‘밥캣’ 두 로고가 나란히 걸렸다"라며 "밥캣 브랜드가 건설이나 농업용 장비가 아닌, 물류 장비 전시회에 등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전했다.
밥캣 지게차 데뷔의 배경에는 회사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 재정립이 있다. 두산밥캣은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해 ‘두산’과 ‘밥캣’ 두 브랜드로 지역별 공략에 나선다.
먼저, 북미와 유럽 등 시장에서는 밥캣 브랜드를 확대한다. 지게차를 비롯한 물류 장비, 이동식 발전기 및 조명장비를 포함한 포터블 파워 제품에 향후 밥캣 브랜드를 적용해 판매할 예정이다.
반면, ‘두산’ 브랜드가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구축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기존의 강점을 살려 두산 브랜드를 이어간다. 지게차 제품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가 대표적이다. 그 외에 중국과 인도,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두산 브랜드를 유지한다.
한편, 이번 전시회에서 두산밥캣이 미국 플러그(옛 플러그 파워)와 개발중인 수소 지게차도 북미 고객을 처음으로 만났다.
◆수산인더스트리, 지난해 매출액 3,035억 기록
㈜수산인더스트리(126720, 대표이사 한봉섭)가 2022년 경영실적을 공시했다. 수산인더스트리의 2022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3,035억 3,900만원, 영업이익 505억 9,300만원, 영업이익률 16.6%를 기록했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화력 및 신재생에너지 부문에서의 성장과 해외 사업 진출로 전년 대비 매출액이 증가됐다”며 “향후 회사의 안정적인 운영과 추가적인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해외 정비시장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국내에서 쌓아온 레퍼런스 및 다양한 정비 기술력을 토대로 UAE, 베트남, 나이지리아 등 해외 사업을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KAI, 경영진 4차산업 기술 역량 강화…미래사업 키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이 미래사업 전략과 기술 강화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안보융합원과 손잡고 4차 산업혁명 기술 중심의 미래 국방 과학기술 연수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이번 연수는 산업계와 학계가 미래 첨단국방사업 발전 방향에 대한 공감대를 갖고 미래기술 연구와 적용방안, 사업화 전략 등을 선제적으로 고민하기 위해 추진됐다.
KAI는 프로그램의 시작으로 KAIST 문지캠퍼스에서 3월 21일부터 23일까지 강구영 사장을 포함한 전 부문 경영진이 직접 참여하는‘첨단 국방과학기술 연수’를 진행했다.
2차수는 이달 28일부터 31일까지 주요 관리자들이 참여한다. 향후, KAI는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하고 전사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산업 이슈] 두산밥캣, 美 물류 장비 전시회서 ‘밥캣 지게차’ 첫선 外
기사입력:2023-03-24 18:22: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91 | ▲0.49 |
코스닥 | 715.91 | ▼1.86 |
코스피200 | 328.69 | ▲0.3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5,451,000 | ▲40,000 |
비트코인캐시 | 484,800 | ▼4,200 |
이더리움 | 2,348,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70 | ▲70 |
리플 | 3,036 | ▼5 |
이오스 | 940 | ▼7 |
퀀텀 | 3,005 | ▼1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5,409,000 | ▼21,000 |
이더리움 | 2,348,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30 | ▲40 |
메탈 | 1,163 | 0 |
리스크 | 756 | ▼1 |
리플 | 3,037 | ▼3 |
에이다 | 915 | ▼3 |
스팀 | 20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5,500,000 | 0 |
비트코인캐시 | 483,800 | ▼4,200 |
이더리움 | 2,350,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10 | ▲20 |
리플 | 3,038 | ▼5 |
퀀텀 | 2,999 | 0 |
이오타 | 24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