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삼성전자, 미국 환경청 '에너지스타상' 최고상 2관왕 등

기사입력:2023-03-29 10:45:33
[로이슈 심준보 기자] ◇삼성전자, 미국 환경청 '에너지스타상' 최고상 2관왕



삼성전자가 미국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과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가 주관하는 '2023 에너지스타상(2023 ENERGY STAR Awards)'에서 수상 업체 중 유일하게 '2관왕'을 차지했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에너지 고효율 제품을 개발한 기업을 선정하는 '제조사' 부문에서 10회째, ▲사업장 전력 관리 성과가 우수한 기업에 수여하는 '에너지관리' 부문에서 최초로 '에너지스타상' 최고 등급인 '지속가능 최우수상(Sustained Excellence Award)'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세탁기, 식기세척기, 공기청정기 등 에너지 고효율 제품을 확대해 2022년 미국에서 전년 대비 24% 증가한 474개 제품에 대해 에너지스타 인증을 취득했다.

삼성전자는 기업 전반의 전력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한 성과를 인정받아 에너지관리 부문에서도 처음으로 최우수상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미국 지역의 사업장에서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사무공간의 공조·조명 시설 등을 개선해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전년 대비 4.7% 절감했다.

또한 건물에 대한 에너지스타 인증을 2021년 6개에서 2022년 12개로 대폭 확대해, 미국 내에서 두 번째로 많은 건물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9월 '新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하면서 에너지 고효율 제품 확대 계획을 수립했다. 향후 스마트폰,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PC, 모니터 등 7대 전자제품의 대표 모델에 저전력 기술을 적용해 2030년까지 2019년 동일 성능 모델 대비 평균 소비전력량을 30% 개선할 계획이다.

◇LG전자, 서울재활병원에 통증완화 의료기기 ‘LG 메디페인’ 50대 기증

LG전자는 최근 서울재활병원에 자사의 만성 통증 완화 의료기기 LG 메디페인 50대를 기증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재활병원은 서울시에 유일한 수도권 공공어린이 재활병원으로, 소아-청소년-성인의 생애주기 별 재활을 돕고 있다.

이번에 기증된 LG 메디페인은 병원 내 치료시설 및 중증환자, 유관 시설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LG 메디페인은 다양한 신체 부위의 만성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의료기기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의 통증치료와 동등한 비침습적 통증 완화 방식을 적용한 제품으로, 식약처로부터 정식 인증을 획득했다.

LG전자 HE사업본부 홈뷰티사업담당 남혜성 상무는 "LG전자는 그간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인의 꿈과 희망을 지원해왔다"며 "LG 메디페인이 고객의 삶의 질과 가치를 높이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LG이노텍, 2세대 ‘5G-V2X 통신모듈’ 개발 성공

LG이노텍은 차량과 사물간(V2X·Vehicle to Everything)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대폭 개선한, 퀄컴칩 기반 2세대 ‘5G-V2X 통신모듈’ 개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5G-V2X 통신모듈’은 5G 이동통신 기술로 차량과 차량(V2V), 차량과 보행자(V2P), 차량과 인프라(V2I)간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부품으로, 안전한 자율주행을 위한 필수 요소로 꼽힌다.

통신칩, 메모리, RF(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회로 등을 결합한 모듈 형태로 주로 차량 내부나 루프 쪽 차량통신 기기에 장착돼, 차량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주행을 위해 필요한 수많은 데이터를 수신한다.

업계에서는 자율주행차 한 대가 하루평균 생성하는 데이터만 4TB(4,000GB)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4TB는 90분짜리 영화(편당 평균 0.5GB) 8,000편를 다운받을 수 있는 용량이다. 이처럼 방대한 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있어, 관건은 속도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가 진입 예정이었던 도로에서 갑작스러운 사고 발생으로 막혔을 경우, 이 같은 도로 정체 상황이 첨단운전자지원 시스템(ADAS)에 즉시 반영돼야 빠르게 우회로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면, 사고가 발생한 도로로 차량이 진입해 2차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기존 LTE 대신, 5G를 기반으로 한 통신모듈을 채용하는 방향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질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앞서 LG이노텍은 2019년 1세대 차량용 5G 통신모듈을 세계 최초로 출시한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2세대 모듈은 기존 제품보다 V2X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가 35Mbps에서 150Mbps로 4배 이상 빨라졌다.

LG이노텍은 직사광선·발열 등으로 인한 고주파 5G 신호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도 제어 알고리즘을 고도화했다. 그 결과, 90℃의 고온에서도 온전한 품질을 유지하는 5G 차량통신을 제공한다. 이 같은 내구성 강화로 1~1.5km에 달하는 원거리 차량·사물간 통신 커버리지도 5G망으로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이 뿐만 아니라, LG이노텍의 2세대 ‘5G-V2X 통신모듈’은 기존 출시제품 대비 크기를 최대 20% 소형화한 46mmX50mm 사이즈로 개발됐다.

LG이노텍은 2025년까지 2세대 ‘5G-V2X 통신모듈’ 상용화를 목표로 국내는 물론 유럽, 미국, 일본 글로벌 완성차 및 차량 전장부품사 대상 프로모션 활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유병국 전장부품사업부장은 “2세대 ‘5G-V2X 통신모듈’은 자동차의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여는 핵심 부품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며 “LG이노텍은 ‘미래차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차량 전장 혁신 제품을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SK스퀘어 투자사 온마인드, 美 ‘GDC 2023’에서 신규 버추얼 휴먼 2인 공개

SK스퀘어가 투자한 온마인드가 지난주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린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GDC 2023’에서 신규 가상인간 2인을 공개하고, ‘유니티(Unity)’와 협업을 통해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다고 29일 밝혔다.

버추얼 휴먼 ‘Y’를 활용해 유니티와 함께 진행한 실시간 토크콘서트도 화제를 모았다. 발표자의 얼굴이나 표정이 별도 영상 합성이나 편집 없이 실시간으로 모션 캡쳐되어 가상인간 ‘Y’ 모습으로 화면에 송출됐다.

토크콘서트에서 ‘마크 쇼너글(Mark Schoennagel)’ 유니티 테크니컬 마케팅 매니저가 온마인드의 기술 소개를 하면, 발표자의 입 모양과 얼굴 표정이 그대로 화면 속 ‘Y’에게 적용됐다. 남성 연설자가 청순한 외모의 여성 버추얼 휴먼으로 변신해 다양한 표정으로 라이브를 진행하며, 관람객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유니티 부스 내부에 온마인드의 기술력과 새로운 버추얼 휴먼을 소개하는 내용의 홍보물을 배부하고, 네트워킹 미팅 등을 진행했다.

김형일 온마인드 대표는 “유니티의 글로벌 개발자 컨퍼런스 ‘유나이트 2022’를 시작으로 ‘MK CES 포럼 2022’, ‘GDC 2023’ 등 유수의 글로벌 행사를 통해 온마인드의 버추얼 휴먼 기술을 알리는 데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행사에 적극 참여해 글로벌 파트너십을 발굴하고, 온마인드의 버추얼 휴먼 기술이 전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70.41 ▲22.98
코스닥 711.75 ▲12.64
코스피200 326.30 ▲2.77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92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489,600 ▲8,800
이더리움 2,292,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1,780 ▲50
리플 3,002 ▼5
이오스 915 ▼6
퀀텀 2,857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035,000 ▲230,000
이더리움 2,296,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1,790 ▲60
메탈 1,166 ▼5
리스크 720 ▲2
리플 3,003 ▼6
에이다 898 ▼2
스팀 21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99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491,700 ▲11,200
이더리움 2,294,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1,720 0
리플 3,002 ▼5
퀀텀 2,800 0
이오타 23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