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병원 소화기내시경센터 임태원 과장(소화기내과 전문의).(제공=대동병원)
이미지 확대보기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매년 2,000만 명이 E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이 중 16.5%는 증상을 동반한 급성 간염으로 이어졌으며 2015년 기준 44,00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비교적 뒤늦은 2020년부터 제2급 감염병으로 지정되어 관리를 시작했다. E형 간염 환자는 2020년 191명, 2021년 494명, 2022년 52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2022년 기준 날씨가 따뜻해지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5월에 가장 환자가 많았다.
환자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 등을 섭취해서 전파되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동물의 덜 익힌 담즙, 간 또는 최근 와인 안주로 즐겨 찾는 하몽이나 살라미와 같은 육가공 식품, 고기, 조개류 등을 직접 섭취하거나 기구 등 매개물을 통한 교차 감염이 주요 전파 경로이다. 드물지만 주사기, 수혈, 임산부로부터 태아 수직감염으로도 전파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소의 생간이나 육회 같은 날고기 음식과 어패류를 생으로 먹는 경우가 많아 감염 우려가 크다.
바이러스가 대장과 소장 등을 통해 내장 혈류로 들어가 간으로 진입해 간세포 안에서 증식하게 되면 간에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보통 15∼64일 정도의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 구토, 복통, 황달, 관절통, 피로감, 식욕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전혀 없는 무증상 감염도 많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감염원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치료와 더불어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를 취하면 증상이 호전되고 치료된다. 하지만 E형 간염 바이러스 유형에 따라 증상이 심해져 후유증이 발생하거나 만성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환자의 1% 정도에서 간 이식이 필요할 정도의 중증질환인 급성 간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민간요법이나 한약재 등을 임의로 복용하다가 간에 무리를 주고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처방받은 약을 복용해야 한다. 간 건강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술, 담배, 과식, 무리한 운동은 자제하고 고른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식단으로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E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는 않지만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을 통해 본인도 모르게 감염이 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평소에 안전한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바이러스성 간염뿐만 아니라 날씨가 점점 더워질수록 음식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등 소화기계 질환 발생에 주의해야 한다.
E형 간염 바이러스의 경우 백신이 없으므로 일반적인 예방법으로 관리를 해야 한다. ▲올바른 손 씻기 생활화 ▲음식 익혀 먹기 ▲물 끓여먹기 ▲위생적인 조리환경 ▲설사 등 증상이 있다면 조리하지 않기 등이 있다.
-대동병원 소화기내시경센터 임태원 과장(소화기내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