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잡코리아 "직장인 54.7% ‘이직 성공까지 3개월’" 外

기사입력:2023-04-20 19:33:33
[로이슈 편도욱 기자]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최근 1년 안에 이직 활동 경험이 있는 직장인 462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이직 성공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그 결과 조사 대상 직장인 중 ‘현재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은 70.1%로 조사됐다. 10명중 7명이 이직 활동을 시작한지 1년 안에 이직에 성공한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이직에 성공하기까지 걸린 기간을 살펴보면, 이직 활동을 시작한 지 ‘2개월~3개월’에 성공했다는 응답자가 34.6%로 가장 많았다"라며 "△4개월~6개월(26.2%) △1개월(20.1%) 순으로 조사됐다. 누적비율로는 3개월 안에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이 54.7% (1개월(20.1%)+2~3개월(34.6%))로 절반에 달했다"라고 밝혔다.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 대부분은 연봉협상 시 전 직장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연봉을 협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한 기업의 연봉수준에 대해 ‘전 직장보다 높다’고 답한 직장인이 42.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 직장과 비슷하다’는 응답자가 41.7%로 다음으로 많았다. 전 직장 대비 연봉 인상률은 ‘10%정도 올랐다’는 응답자가 40.3%로 가장 많았고, 이어 △5% 정도(21.6%) △3% 정도(15.8%)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이직한 기업의 연봉이 ‘전 직장보다 낮다’는 직장인도 15.4%로 10명중 1명수준으로 조사됐는데, 이들이 전 직장보다 낮은 연봉에도 불구하고 이직한 이유 1위는 ‘이직 공백기를 줄이기 위해서(38.0%_응답률)’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들에게 ‘이직 성공을 위해 어떤 준비를 했는지’에 대해 복수선택으로 조사한 결과 ‘경력을 자세하게 기술했다’고 답한 직장인이 52.4%로 2명중 1명 수준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채용 기업에 맞춰 매번 자기소개서를 수정했다’고 답한 직장인도 35.1%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외에는 △채용하는 기업에 대해 조사한 후 지원했다(23.6%) △직무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했다(17.3%)는 답변이 있었다.

◆파인디지털 '파인뷰 LXQ3000 POWER' 출시
파인디지털(대표 김용훈)이 극초고화질 전·후방 QHD Wi-Fi 블랙박스 '파인뷰 ‘LXQ3000 POWER'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파인뷰 LXQ3000 POWER은 극초고화질 전·후방 QHD(2,560*1,440p) 해상도로 주행 및 정차 중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선명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전후방 HDR(High Dynamic Range) 기능을 적용해 운전 중 갑작스러운 역광이나 터널, 주차장 진·출입 등 급격한 조도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영상을 담아낸다.

야간에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외부의 빛을 감지하는 소니 스타비스(SONY STARVIS) 이미지 센서와 조도에 맞추어 최적의 명암과 색감을 구현하는 AUTO 나이트 비전을 탑재해 어두운 상황에서도 깨끗하고 선명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샌즈랩,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글로벌 표준특허 도전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yber Threat Intelligence, 이하 CTI) 전문기업이자 코스닥 기업 샌즈랩(대표 김기홍, 411080)이 CTI 분야의 글로벌 표준특허 획득에 도전한다고 20일 밝혔다.
샌즈랩은 한국특허전략개발원, 웍스온벨류와 함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표준특허 전략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표준특허(Standard Patent)’ 또는 ‘필수특허(Essential Patents)’란 특정 산업 분야에 필요한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술에 대한 특허를 의미한다.

이번 협약은 CTI 분야에서 핵심 기술 특허를 확보하고, 나아가 글로벌 표준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 기업의 사이버 보안 분야 표준특허 출원이라는 이슈로 벌써부터 시장에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97.82 ▲13.76
코스닥 840.44 ▲1.79
코스피200 384.02 ▲1.7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5,099,000 ▲115,000
비트코인캐시 544,000 ▲1,000
비트코인골드 34,540 ▼120
이더리움 4,763,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32,960 ▼110
리플 664 0
이오스 827 ▼1
퀀텀 3,611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5,191,000 ▲131,000
이더리움 4,769,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2,990 ▼140
메탈 1,759 ▼3
리스크 1,487 ▲5
리플 665 ▼1
에이다 544 ▼1
스팀 27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5,151,000 ▲163,000
비트코인캐시 543,000 ▼1,000
비트코인골드 34,900 0
이더리움 4,764,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32,980 ▼70
리플 664 ▼0
퀀텀 3,619 ▼18
이오타 247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