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투자자 보호 일환으로 ‘착오전송 디지털자산 찾아가기’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업비트가 입금을 지원하는 가상자산 중 일부는 이용자에게 발급된 고유 2차 입금 주소(D.tag/메모/메시지)를 정확하게 기입해야만 정상 처리된다.
예를 들어, 가상자산 XRP(리플)의 경우 입금 주소와 2차 주소인 데스티네이션 태그(D.tag)를 모두 정확히 입력해야만 입금이 정상 처리된다.
그러나 2차 입금 주소를 오입력하거나 미입력해 착오전송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인의 가상자산이 착오전송됐는지 모르는 이용자 또한 많다.
이에 두나무는 착오전송된 이용자의 가상자산을 보다 쉽게 반환해 주기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2차 입금 주소를 오입력하거나 미입력한 이용자는 업비트 홈페이지 내 ‘착오전송 디지털자산 찾기 페이지’에서 자신의 착오전송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TXID 찾기’에서 착오전송 트랜잭션 아이디(TXID)를 검색 후, ‘반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1대 1 문의로 바로 넘어갈 수 있다.
기존에는 1대 1 문의에 직접 ▲가상자산명 ▲TXID ▲가상자산 수량을 입력해야 했지만, 이제는 TXID 검색을 통해 해당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돼 이용자의 번거로움이 줄었다.
두나무는 캠페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올 연말까지 모든 착오전송 복구 수수료를 면제한다.
두나무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착오전송으로 잃어버렸던 가상자산을 적극적으로 찾아가길 바란다”며 “업비트는 앞으로도 이용자 자산 보호와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두나무는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활용해 지난 5년간 착오전송으로 복구 요청이 접수된 총 4만 5474건 중 전체의 99.5%에 달하는 4만 5000여건(2023년 7월 기준)의 복구에 성공했다.
◆뷰노, 뷰노메드 딥브레인® 미국 FDA 인증 획득
의료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뷰노(대표 이예하)는 미국 식품의약국(이하 FDA)으로부터 AI 기반 뇌 정량화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브레인®(VUNO Med®–DeepBrain®)’에 대한 인증(510k Clearance)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뇌 MRI 영상을 분석해 뇌 영역을 100여개 이상으로 분할(Parcellation)하고 각 영역의 위축 정도를 정량화한 정보를 1분 내 제공하는 AI 의료기기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알츠하이머성 치매, 혈관성 치매 등 주요 퇴행성 뇌질환으로부터 비롯되는 치매 진단을 돕는다. 또한 경도인지장애에서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미리 선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뷰노는 이번 FDA 인증을 통해 미국 법인을 기반으로 현지 의료기관 대상 영업과 마케팅을 강화해 신속한 시장 진출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가 FDA 정식 승인을 받으며 치매 조기 진단 시장의 가파른 성장이 기대되는 상황에서 글로벌 제약사 등 AI 기반 뇌 MRI 정량화 기술에 수요가 있는 기업들과 파트너십 확장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앞서 뷰노는 임상 연구 결과를 통해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다. 지난 7월 알츠하이머 분야 세계 최대 글로벌 학회인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컨퍼런스(AAIC 2023)에서 발표한 임상 연구에 따르면,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환자에게 본격적인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 이른 단계인 주관적 인지저하(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환자에서도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로보락, 신제품 로봇청소기 2023년형 ‘Q시리즈’ 3종 출시
로보락(Roborock)은 스마트한 청소 기능에 합리적인 가격대를 갖춘 신제품 로봇청소기 Q시리즈 3종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로보락 Q시리즈의 Q는 퀄리티(Quality)의 약자다. 로보락의 강력한 청소 성능과 편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합리적인 가격대를 갖춘 모델이다. 이번에 출시한 제품은 ‘로보락 Q8 Max Plus(Q8 맥스 플러스)’와 ‘로보락 Q5 Pro Plus(Q5 프로 플러스)’, 도크가 포함되지 않은 ‘로보락 Q5 Pro(Q5 프로)’까지 총 3종이다.
신제품 3종은 지난해 출시된 로보락 Q7 Max Plus(Q7 맥스 플러스)보다 약 120% 향상된 5,500Pa(파스칼)의 흡입력을 갖췄다. 도크에는 자동 먼지비움 시스템인 ‘록 도크 플러스(RockDock Plus)’ 기능을 더해 최대 7주간 먼지통을 비우지 않아도 되는 등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다.
2023년 적용된 업그레이드 기능도 장착됐다. 특히 메인 브러시가 1개였던 기존 제품과 달리 브러시가 2개인 ‘듀오 롤러 라이저 브러시(Duo Roller Riser Brush)’를 탑재해 더욱 섬세한 청소가 가능하다. 이중 나선형 모양의 실리콘 브러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 이물질이 끼는 것을 예방한다.
로보락 Q8 Max Plus는 리액티브 테크(Reactive Tech) 장애물 회피 시스템과 PreciSense® LiDAR 내비게이션으로 기존 제품보다 6배 빠른 세밀하고 정확한 매핑이 가능해졌다. 계단이나 쉽게 갇힐 수 있는 공간을 자동으로 탐지해 진입 금지 구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안해주며 애플리케이션 내 ‘빠른 청소’를 선택하면 청소 시간을 기존보다 30% 절약할 수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업비트, ‘착오전송 디지털자산 찾아가기’ 캠페인 진행 外
기사입력:2023-10-10 09:26: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993,000 | ▼102,000 |
비트코인캐시 | 483,700 | ▼500 |
이더리움 | 2,333,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70 | ▼40 |
리플 | 3,008 | ▼5 |
이오스 | 918 | ▼4 |
퀀텀 | 3,076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911,000 | ▼173,000 |
이더리움 | 2,33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20 | ▼90 |
메탈 | 1,201 | ▼6 |
리스크 | 759 | ▲1 |
리플 | 3,006 | ▼8 |
에이다 | 909 | ▼2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94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484,000 | ▼400 |
이더리움 | 2,331,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10 | ▼120 |
리플 | 3,009 | ▼3 |
퀀텀 | 3,094 | 0 |
이오타 | 23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