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CJ ENM 피프스시즌, 콘텐츠 명가로 재도약 外

기사입력:2023-10-18 17:39:13
[로이슈 편도욱 기자] CJ ENM 글로벌 스튜디오 피프스시즌(FIFTH SEASON)이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콘텐츠 유통을 확대하고 제작 부문 인재 영입을 통한 제작 역량 강화에 나섰다.

인수 이후 비즈니스 안정화에 집중했던 피프스시즌은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고 CJ ENM과의 시너지를 본격화해 글로벌 프리미엄 스튜디오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피프스시즌은 글로벌 OTT 플랫폼 로쿠(Roku)와 오리지널 콘텐츠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피프스시즌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로쿠의 드라마와 예능 등 오리지널 콘텐츠 및 프로그램 포맷을 북미 및 중남미 지역을 제외한 전세계에 유통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로쿠는2008년 로쿠 스트리밍 플레이어를 마켓에 내놓으며 북미 처음으로 OTT 스트리밍 미디어 사업을 시작하였고, 2017년 메이저 미디어사와 함께 광고기반 무료 스트리밍 TV(FAST, Free-Ad-Supported TV) 더 로쿠 채널(The Roku Channel, TRC)을 런칭하여 7천3백만 명의 유저를 보유한 북미 최대 OTT 플랫폼이자 서비스이다.

피프스시즌은 로쿠의 오리지널 TV 시리즈인 '어니스트 레노베이션(Honest Renovations)',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 '파이트 투 서바이브(Fight to Survive)'와 '모리모토의 스시 마스터(Morimoto's Sushi Master)', 리얼리티 쇼 '컵케이크 가이즈(The Cupcake Guys)' 등 인기 콘텐츠를 유통할 예정이며, 유통 콘텐츠 라인업은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피프스시즌의 글로벌 유통 역량이 다시 한번 검증됐다는 평가다. 피프스시즌은 미국 LA 본사를 비롯해, 뉴욕, 영국 런던, 스웨덴 스톡홀롬, 홍콩, 중국 베이징, 콜롬비아 등에 글로벌 거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유럽 일부 지역과 중동, 아프리카까지 네트워크를 확대했다. 앞서 탄탄한 유통 시스템을 통해 '킬링 이브(Killing Eve)', '더 모닝 쇼(The Morning Show)' 같은 히트 시리즈의 글로벌 배급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피프스시즌 관계자는 “CJ ENM 인수 이후 글로벌 유통망을 확충하고 영업 구조를 개선하는데 집중하며 사업 역량을 강화해 왔다”며 “그간 쌓아 온 성공적인 유통 노하우를 기반으로 콘텐츠 유통 확대에 본격 드라이브를 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재 영입을 통해 제작 역량도 강화하고 있다. 최근 미국 유명 작가이자 프로듀서인 엘시 최(Elsie Choi)를 CJ ENM 아메리카 TV 시리즈 콘텐츠 전략 총괄(EVP, Head of Scripted TV)로 선임했다. 엘시 최 신임 총괄은 '레고 무비(The Lego Movie)' 시리즈 제작사로 유명한 라이드백(Rideback) 출신으로 드림웍스(DreamWorks)와 윌리스 브라더스 필름(Willis Brothers Films) 등 관련 업계를 두루 거치며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 대한 경험을 쌓아 왔으며, 특히 미국 유명 작가인 찰스 유(Charles Yu)의 동명 소설 원작으로 24년 방영 예정인 TV 시리즈 '인테리어 차이나타운(Interior Chinatow)'에서 총괄 프로듀서를 맡을 정도로 헐리우드에서 주목받은 인물이다. 글로벌 사업을 총괄하는 CJ ENM 아메리카와 피프스시즌의 유기적 협업을 토대로 양사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엔 아마존 스튜디오(Amazon Studios) 임원 출신 질 아서(Jill Arthur)가 TV 콘텐츠 개발 및 제작 총괄 부사장으로 피프스시즌에 합류했으며, 같은 시기 유명 제작사 블룸하우스 텔레비전(Blumhouse Television) 출신 메리 리시오(Mary Lisio)가 피프스시즌의 다큐 제작을 총괄하는 논 스크립트(Non-scripted) 개발 및 제작 부사장으로 영입되기도 했다.

CJ ENM 관계자는 “미국 작가ㆍ배우 파업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든 가운데 CJ ENM과 피프스시즌의 합병 시너지가 가시화되고 피프스시즌의 제작 및 유통 사업이 점차 본궤도에 오르고 있어 턴어라운드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피프스시즌은 평단의 극찬을 받은 TV 시리즈 '앨리스 하트의 잃어버린 꽃(The Lost Flowers of Alice Hart)'을 올 여름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Amazon Prime Video)를 통해 공개했으며, 이어 '울프 라이크 미(Wolf Like Me)'를 이달 19일 NBC유니버셜(NBCUniversal)의 스트리밍 서비스 피콕(Peacock)를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피프스시즌이 제작한 장편 다큐멘터리 '비잉 메리 타일러 무어(BEING MARY TYLER MOORE)'는 올해 에미상의 뛰어난 다큐멘터리 및 논픽션 특별 부문(Outstanding Documentary or Nonfiction Special category)후보에 오르며 주목받았으며, 영화 '80 포 브래디 (80 For Brady)는 개봉 첫 주에 미국 주말 박스오피스 2위를, 둘째주에 1위를 각각 차지하기도 했다.

◆윈드리버, 中 전기차 호존의 지능형 차량 플랫폼에 윈드리버 리눅스 공급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선도기업 윈드리버는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호존(Hozon New Energy Automobile Co., Ltd.)’이 ‘호존 오토모티브 지능형 보안 차량 플랫폼(Hozon Automotive Intelligent Security Vehicle Platform)’ 개발을 위해 ‘윈드리버 리눅스(Wind River Linux)’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호존의 지능형 보안 차량 플랫폼은 고성능 컴퓨팅 게이트웨이 및 차량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2025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플랫폼은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와 툴을 통합하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 및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윈드리버 리눅스는 높은 안정성과 보안을 제공하여 호존에서 필요로 하는 Arm 칩셋 기반의 고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호존은 임베디드 업계에서 가장 진보된 플랫폼인 윈드리버 리눅스를 통해 특수 목적형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강력하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임베디드 솔루션을 개발, 배포 및 운영할 수 있다.

◆클래스101, 9월 월간 흑자 달성… 4분기 흑자전환 기대

글로벌 온라인 클래스 구독 플랫폼 클래스101(대표이사 공대선)이 지난 9월 월간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하고 4분기 흑자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클래스101은 지난해 12월 한국, 미국, 일본 서비스를 통합한 글로벌 온라인 클래스 구독 플랫폼을 선보인 뒤 단 6개월 만에 유료 구독자 15만 달성에 이어 구독 전환 1주년을 맞은 지난 9월 손익분기점을 달성하는 등 좋은 성과를 만들며 구독 모델의 성장성을 입증해 나가고 있다.

클래스101은 이번 흑자 달성 주요 요인으로 서비스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높은 재결제율과 자기계발 및 성장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에 따라 구독 서비스가 B2C와 B2B 각 분야에서 꾸준히 성장중인 점을 꼽았다. 이에 클래스101은 크리에이터와 클래스메이트(수강생)의 경험 극대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조직 개편을 진행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함으로써 구독 서비스 성장에 더욱 힘을 실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3.42 ▲13.01
코스닥 717.77 ▲6.02
코스피200 328.35 ▲2.0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150,000 ▼94,000
비트코인캐시 485,100 ▼1,700
이더리움 2,324,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2,910 ▲150
리플 3,004 ▼6
이오스 907 ▲3
퀀텀 3,071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124,000 ▼133,000
이더리움 2,324,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2,930 ▲180
메탈 1,192 0
리스크 755 ▲4
리플 3,007 ▼1
에이다 900 ▼2
스팀 2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11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483,800 ▼3,300
이더리움 2,323,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2,890 ▲190
리플 3,004 ▼6
퀀텀 3,060 ▲10
이오타 23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