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정읍교도소 교위 안상현.
이미지 확대보기어느 책에서 읽었다. 요즘 MZ세대들이 힘들게 들어온 공직을 그만두는 이유 중 하나가 인풋(투입되는 예산 및 노동력) 대비 아웃풋(실적 혹은 성과)이 명확하지 않고 그 속도가 더디다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속도와 경쟁에 더 익숙한 MZ세대가 아니던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복리를 증대시키는 공공 관련 업무는 빠른 시간 내 이윤을 창출해야 하는 사기업과는 성격도 다르고 인풋-아웃풋이 느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장의 성과가 없더라도 멀리 보고 깊이 헤아리는 이 땅의 공직자 120만 명이 있기에 대한민국은 유지되고 발전하는 것이다. 그 120만 명 중 법무부 교정공무원은 1만 7천여 명에 지나지 않지만 그들은 실로 엄청난 일을 해내고 있다. 원활한 재판을 위한 지원 업무, 법집행과 수용자 관리, 그리고 재범방지를 위한 각종 교육·교화 프로그램 실시 등 정신력과 체력이 둘 다 받쳐주지 않으면 단 하루도 못 버티는 직종이 필자는 교정직이라고 본다.
대한민국의 형사사법 체계 4단계 중 수사-기소-판결에만 아직도 많은 관심을 가지지만 마지막 법집행이야말로 가장 중요하고 인정받아야 할 단계다. 어느 선배가 술자리에서 이렇게 말했다. “교도관은 오늘 하루만 보고 살면 안돼. 인풋 대비 아웃풋이 언제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거든. 힘든 여건이지만 국민에게 돌아가는 아웃풋(범죄율이 줄어 안전한 사회가 조성되고 그로 인해 선량한 국민의 행복지수가 높아지는 아웃풋)이 언젠가는 인정받는다는 생각으로 30년을 견뎠어. 물론, 처자식을 부양해야 하는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으로 버틴 게 가장 컸지만.”
10월 28일은 교정의 날. 왜 교도관의 날이 아니라 교정의 날이라고 정했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교도관뿐 아니라 음지에서 봉사하는 교정위원과 변화되고 개선될 수 있는 수용자까지 배려하는 차원에서 뭉뚱그려 ‘교정의 날’이라고 이름 정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1만 7천 명의 교정공무원, 5천 명의 교정위원, 5만 6천 명의 수용자가 범사에 감사하고 그 어느 날보다 삶에 충실했던 ‘교정의 날’이 되었으리라 믿는다.
대학 후배가 교정직을 권하였을 때 지인 열에 아홉은 반대했다. 그 힘든 길을 왜 가느냐고. 하지만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 ‘가지 않은 길’처럼 남들이 적게 가는 길을 택해서 갈 경우 내 삶의 많은 것이 달라질 거라는 믿음이 있었다. 비록 부와 명성은 없었지만 나는 교정직 근무를 통하여 실로 많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무탈하게 15년간 교도관으로 근무할 수 있었던 것은 내가 유능해서가 아니라 오롯이 배려심 깊고 마음 따뜻했던 선후배 및 동료 덕이다.
대한민국의 교정은 분명 밝을 것이다. 교정의 가치와 가능성을 알아주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음을 느끼기 때문이다. 언젠가 나는 퇴직 후 봉사활동을 하며 주변에 이렇게 말할 것이다. “저는 아무나 못하는 교도관 근무를 무려 20년이나 했어요.” 대한민국의 숨은 영웅인 전국의 1만 7천 교도관에게 감사와 존경을 표하며 글을 마친다.
-법무부 정읍교도소 교위 안상현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