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세권 단지, 이유 있는 인기…‘워터프론트 개발’이 몸값 더 올려

기사입력:2023-12-28 10:37:51
[로이슈 최영록 기자]
바다·강·호수 입지에 녹지인프라를 갖춘 워터프론트 단지의 강세가 계속되고 있다. 탁 트인 조망을 누리는 한편, 물길을 따라 형성된 공원·녹지 인프라가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데다 ‘물가’라는 한정된 입지의 희소성까지 더해져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 ‘수(水)세권이 다가 아니야’ 녹지까지 갖춰야 진짜 워터프론트

수세권 대표주자로 꼽히는 서울 한강 변에서는 100억 원 대 아파트 거래가 등장했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0월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234㎡가 110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썼다. 앞서 올해 1월에도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200㎡ 분양권이 100억원에 거래된 바 있다.
한강 변 부촌 가운데에서도 필두로 꼽히는 반포동은 서울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곳이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10월 기준 반포동 아파트 시세는 3.3㎡당 9,814만원이다.

반포동이 유독 한강 변에서도 존재감을 발휘하는 원인으로 시장에서는 빨리 완료된 재건축, 뛰어난 교통 환경과 함께 준수한 녹지인프라를 꼽는다. 한강 조망을 누리는 것은 물론, 반포대교 남단에 위치한 반포한강공원을 마당처럼 이용할 수 있어 높은 희소가치를 인정받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업계 관계자는 “하천, 해변 등 수세권 입지의 장점은 수변공원 등 워터프론트 개발로 극대화된다”며 “한정된 수변 조망에 녹지 인프라로 쾌적성까지 갖추게 되니, 지역 내 상급지로 거듭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역별로 공원까지 낀 수세권 단지는 몸값이 하늘을 찌른다. 신도시의 호수공원이 대표적이다. 동탄호수공원에 위치한 ‘동탄리스트라우스더레이크’ 전용 116㎡는 지난 10월 20억원에 손바뀜했다. 전고가는 2022년 2월에 기록한 17억8,000만원이다.
비수도권도 마찬가지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경남 창원에서 용지호수공원을 끼고 있는 창원’용지 아이파크’(3,033만원/3.3㎡)와 ‘용지더샵레이크파크’(2,806만원/3.3㎡)는 나란히 창원 아파트 최고가 1·2위를 기록하고 있다.

◆ 워터프론트 경쟁 치열…공급 단지 인기

청약 경쟁도 치열하다. 지난해 송도국제도시에 공급된 ‘더샵송도아크베이’는 486세대 모집에 2만2,848명이 몰려 1순위 평균 경쟁률이 47대 1에 달했다. 단지는 송도 6,8공구 핵심 인프라인 워터프론트 호수와 마주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워터프론트 수혜 단지에서 올해 최고 경쟁률이 나왔다. 지난 9월에 공급한 ‘더비치푸르지오써밋’이 특별공급을 제외한 247세대 모집에 5,606명이 몰려 1순위 평균 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단지는 수영만 조망이 가능하고 광안리해수욕장, 이기대수변공원 등이 인접해 있다.

워터프론트의 높은 인기로 계획단계에 있는 워터프론트도 일찍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의 베니스’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송도11공구가 대표적이다. 인공수로를 따라 수변 데크와 친수 공간을 조성하는 워터프론트 계획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송도 11공구 워터프론트(1-3단계) 인공수로는 총 연장 4.98km에 폭 40~60m 규모다. 인공수로는 굴곡을 만들어 유속을 조절하는 한편, 여러 하중도를 조성해서 다양한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수변공간과 상업시설을 배치해서 여가 및 관광 기능까지 더했다. 도시 외곽은 바다가 감싸고 인공수로가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라 대부분 지역에서 워터프론트 입지를 누린다. 수변공간을 따라 조성되는 녹지 계획도 풍성하다. 도시 어디서든 쉽게 녹지에 접근할 수 있고, 걸어서 인근 지역으로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계획됐다.

워터프론트에 수요가 집중되며 인기를 얻자 각 지자체도 관련 계획이 한창이다. 서울은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밝히고 수변공간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인천은 관련 기본계획 ‘2023 인천 바다이음’을 수립하고 지역별로 워터프론트 친수공간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워터프론트 개발은 시민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직접적이고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사업이라 지자체에서도 관심이 많다”며 “반포한강공원 역시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결과물인 점을 고려하면, 각 지자체가 추진하는 워터프론트 사업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워터프론트에 대기수요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주요 단지들이 공급을 예고하고 나섰다.

인천 송도11공구에는 GS건설과 제일건설㈜이 ‘송도자이풍경채 그라노블’을 내년 1월 분양할 예정이다. 연수구 송도동 일원 송도 11공구 5개 블록(Rc10, Rc11, Rm4, Rm5, Rm6)에 건설되는 3,270세대(아파트 2,728세대/오피스텔 542실) 규모 대단지다. 송도 11공구 내 조성되는 워터프론트가 단지와 맞닿아 있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47층, 23개동(아파트 21개동, 오피스텔 2개동) 규모로 조성된다. 아파트는 전용 84~208㎡로 구성되며, 오피스텔은 전용 39㎡를 공급한다.

경기 시흥에는 ‘힐스테이트 더웨이브시티’가 분양 중이다. 정왕동 일대에 지하 3층~지상 35층 규모로 조성된다. 총 1,796세대 가운데 아파트 851세대를 분양하고 있다. 시화MTV 거북섬 주변으로 자리를 잡아 시화호 및 인공서핑장 웨이브파크 조망을 누리는 단지다.

전남 광양에는 ‘더샵 광양레이크센텀’이 내년 1월 중 선보일 예정이다. 마동 일원에 지하 3층~지상 29층, 9개동 규모로 전용면적 84~159㎡ 총 925세대를 공급한다. 마동저수지가 가깝고 광양만이 인접한 단지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84.26 ▼23.37
코스닥 852.67 ▼4.84
코스피200 380.88 ▼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950,000 ▼174,000
비트코인캐시 556,000 0
비트코인골드 38,200 ▲110
이더리움 4,957,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3,010 ▼100
리플 688 ▼1
이오스 814 0
퀀텀 3,646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1,040,000 ▼131,000
이더리움 4,958,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33,090 ▼80
메탈 1,612 ▼21
리스크 1,443 0
리플 689 ▼1
에이다 544 ▲0
스팀 2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0,970,000 ▼195,000
비트코인캐시 555,000 ▼500
비트코인골드 38,540 0
이더리움 4,954,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33,070 ▼80
리플 689 ▼1
퀀텀 3,644 ▲26
이오타 25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