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판결] 구 약사법 제61조 제1항 제2호에서 ‘동법 제42조 제1항 등을 위반해 수입된 의약품’의 판매 등을 금지한 취지

기사입력:2024-05-03 15:39:18
대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대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대법원은 구 약사법 제61조 제1항 제2호에서 ‘동법 제42조 제1항 등을 위반해 수입된 의약품’의 판매 등을 금지한 취지에 대해 형벌법규의 해석은 엄격해야 하며, 문언의 가능한 의미를 벗어나 피고인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해석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의 내용인 확장해석금지에 따라 허용되지 않는만큼 형벌조항 중 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문언의 의미를 합리적 이유 없이 고려하지 않고 해석함으로써 형벌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지난 2월 29일. 이같이 선고했다.

법률적 쟁점은 구 약사법 제61조 제1항 제2호에서 ‘같은 법 제42조 제1항 등을 위반하여 수입된 의약품’의 판매 등을 금지한 취지와 구 약사법 제61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판매 등을 하여서는 안 될 의무를 부담하는 주체의 범위이다.

법원의 판단은 구 약사법(2018년 12월 11일, 법률 제158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은 제93조 제1항 제10호에서 ‘제61조를 위반한 자’에 대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정하고, 제61조 제1항 제2호(=금지조항)에서 누구든지 ‘제42조 제1항 등을 위반하여 수입된 의약품’을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저장 또는 진열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42조 제1항에서 ‘의약품의 수입을 업으로 하려는 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수입업 신고를 하여야 하고, 품목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금지조항이 ‘제42조 제1항 등을 위반하여 수입된 의약품’의 판매 등을 금지한 것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지 아니한 해외 의약품의 국내 유통을 차단함으로써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고 국민 신체의 안전 및 국민 보건의 향상을 기하는 데에 그 입법 취지가 있다.

금지조항은 위와 같은 입법 취지에 따라 누구든지 ‘제42조 제1항 등을 위반하여 수입된 의약품’의 판매 등을 할 수 없도록 하여, 금지조항을 준수해야 할 주체의 범위에 아무런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한편 형벌법규의 해석은 엄격해야 하며, 문언의 가능한 의미를 벗어나 피고인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해석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의 내용인 확장해석금지에 따라 허용되지 않는다.

이에따라 대법원은 형벌조항 중 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문언의 의미를 합리적 이유 없이 고려하지 않고 해석함으로써 형벌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92.05 ▲17.66
코스닥 842.12 ▲0.13
코스피200 383.01 ▲3.1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560,000 ▲230,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3,000
비트코인골드 35,710 ▼20
이더리움 4,765,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3,240 0
리플 669 ▲5
이오스 813 ▲2
퀀텀 3,611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661,000 ▲290,000
이더리움 4,770,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33,260 ▼10
메탈 1,839 ▼13
리스크 1,434 0
리플 669 ▲5
에이다 547 ▲0
스팀 27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487,000 ▲213,000
비트코인캐시 533,000 ▲4,000
비트코인골드 35,650 ▲310
이더리움 4,763,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3,140 ▲40
리플 669 ▲6
퀀텀 3,608 0
이오타 25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