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서울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타 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른바 ‘탈(脫)서울인’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서울보다 집값이 낮은 경기, 인천은 순이동 인구가 증가하며, 신규 분양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1~4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전국 인구이동자 수는 총 234만8,000명으로 작년 217만2,000명보다 17만6,000명(8.1%) 늘었다.
특히 서울은 떠나는 인구가 늘고, 경기·인천은 유입되는 인구가 불어났다. 자세하게는 올해 1~4월 서울에서 총 4,710명이 순유출됐다. 작년 동기간 3,799명보다 24% 가량 늘어난 수치다.
반면 경기와 인천은 각각 1만8,908명, 1만2,302명 순유입되며, 지난해 1만7,551명, 9,841명보다 늘었다. 서울에서 경기, 인천으로 이주하는 수요자는 물론 수도권으로 거주지를 옮기려는 전국 수요자 대부분이 높아진 서울 집값을 감당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 및 인천에 공급된 아파트를 사들이는 서울 거주자도 늘었다. 한국부동산원 ‘매입자거주지별 아파트매매거래’ 자료에 따르면 올해 경기권 아파트를 사들인 서울 사람은 4,729명으로 작년 4,086명보다 15.7% 늘었고, 인천도 동기간 661명에서 769명으로 16.3% 증가했다.
이는 서울 분양가, 전셋값 등이 크게 오른 탓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셋째 주 서울 전세가격은 0.17% 상승하며, 57주 연속 상승 중이다. 분양 받기는 더 쉽지 않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자료에 의하면 올해 5월까지 1년간 서울 1㎡당 평균 분양가는 1,170만6,000원으로 전년 동월 941만4,000원보다 24.35% 급등했다. 전용면적 84㎡로 환산하면 약 10억5,000만원에서 13억1,000만원으로 2억원이 넘게 오른 셈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서울 집값을 감당하지 못하는 수요자들이 경기, 인천으로 대거 이탈하고 있다”며 “서울은 물론 수도권 전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GTX 등의 교통 인프라 개선도 탈서울인 증가를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기, 인천 순이동자가 늘면서 신규 분양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다. 특히, 올해 하반기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단지들이 분양을 알리면서 관심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먼저, 경기 의정부시 나리벡시티에 롯데건설이 ‘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를 오는 7월 선보일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39층 4개동, 총 671세대 규모다. 효자역 역세권 입지에 자리하고, 이를 통해 GTX-C노선, 7호선 연장선(예정)과 환승도 편리해 우수한 서울 접근성을 갖췄다. 금오초, 효자중, 효자고 등으로 도보 통학이 가능하고, 금오동·신곡동에 밀집한 학원가 이용도 편리하다. 다채로운 편의시설도 근거리에 자리한다. 반경 500m 내에 홈플러스를 비롯해 금오동·신곡동 편의시설 밀집지가 자리한다. 의정부성모병원, 을지대병원도 인접하다. 천보산 소풍길, 부용천 산책로, 추동공원 등 쾌적한 자연환경도 갖췄다.
경기 광주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하는 ‘힐스테이트 광주곤지암역’이 같은달 공급된다. 전용면적 84·139㎡ 총 635세대로 조성된다. 곤지암역을 통해 판교, 강남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일대에 아파트 분양이 이어져 신흥 주거타운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돼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린다.
대우건설은 용인 처인구 은화삼지구에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를 이달 선보인다. 총 3,700여 세대 중 1단지 전용면적 59~130㎡, 1,681세대가 6월 우선 분양될 예정이다.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단’과 국지도 57호선과 연결되고, 추가로 삼성전자의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과 45번 국도로 이어져 반도체 클러스터와 접근성이 좋은 직주근접 입지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에서는 GS건설·금호건설 컨소시엄이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검단아테라자이’를 7월 공급할 계획이다. 전용 59~84㎡ 총 709세대 규모다. 연수구 옥련동 일대에는 삼성물산이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을 하반기 중 공급할 계획이다. 전용 59~101㎡ 2,549세대 규모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탈(脫)서울인 증가”…경기·인천, 올해 3.1만명 순이동
기사입력:2024-06-25 17:40:0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332,000 | ▼277,000 |
비트코인캐시 | 485,900 | ▲1,500 |
이더리움 | 2,279,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40 | ▼130 |
리플 | 2,983 | ▼8 |
이오스 | 945 | ▼7 |
퀀텀 | 3,002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358,000 | ▼274,000 |
이더리움 | 2,278,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80 | ▼110 |
메탈 | 1,170 | ▼3 |
리스크 | 757 | ▲2 |
리플 | 2,984 | ▼6 |
에이다 | 891 | ▼3 |
스팀 | 21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340,000 | ▼290,000 |
비트코인캐시 | 485,400 | ▲1,400 |
이더리움 | 2,277,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50 | ▼160 |
리플 | 2,983 | ▼9 |
퀀텀 | 2,999 | 0 |
이오타 | 24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