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공공임대주택에 부과하는 보유세가 무주택 시민의 주거복지 확보를 저해해 관련 세금 면제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 사장 김헌동)와 한국도시행정학회, 한국세무학회가 22일 개최한 ‘공공임대주택 보유세,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정책 토론회에서 각계 전문가들은 공공임대주택을 지속 공급 및 운영하기 위해 보유세를 감면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SH공사가 보유 중인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부담액이 2012년 28억원에서 2021년 385억원으로 13.7배나 증가했다.
2023년 SH공사의 임대료 수입 대비 보유세 비율은 2012년 기준 약 10%(93억원) 정도였으나, 2022년에는 46%(697억 원)까지 증가해 보유세가 공공임대주택 사업 적자를 키우고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와 관련 김지은 SH도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해외 주요국 공공임대주택 보유세 제도와 시사점’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뉴욕, 파리, 토론토의 경우 재산세가 지방정부 주요 세원이지만, 공공임대주택 재산세를 장기간 면제하고 그에 따른 지방세 결손을 정부가 보존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주거복지 기여도가 높은 공공임대주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보유세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성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공공임대주택 보유세 감면의 경제적 효과’ 발표에서 “SH공사가 공공임대주택을 1호 공급할 때 주변 주택의 임대료가 0.031%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에만 총 23조 8000억원의 주거복지 기여 효과가 발생한 셈”이라며 “SH공사 공공임대주택 보유세를 면제할 경우 약 2000억원의 생산과 1200억원 수준의 부가가치, 776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강조했다.
발표가 끝난 후에는 고윤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 김완용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수 ▲ 남원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 백경엽 국회예산정책처 세제분석2과장 ▲ 천지민 국토교통부 공공주택정책과 사무관 ▲ 조남식 SH공사 자산관리처장 등 주택, 도시, 세무 전문가들이 공공임대주택 보유세 제도 개선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김완용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수는 “종부세는 보유세의 일반적 성격과 부동산에 대한 투기적 수요 등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 세제라는 특징을 지녔다”며 “공공임대주택 사업자에 대한 종부세 부과는 공공주택사업의 정책 목적 달성을 저해하는 모순적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남원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LH, 지방공사 간 보유세 부과 체계가 상이하고, 공공과 민간 사이에도 관련 형평성을 확인하기 어렵다”며 “공익 목적의 부담 가능한 임대주택을 공급할 때 보유세를 감면한다는 대전제를 바탕으로 공급주체 간 형평성을 확보하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좌장을 맡은 고윤성 교수는 “징벌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종부세는 공공임대주택에 부합하지 않는 세제로, 공공임대주택 종부세는 폐지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다양한 해외 사례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재산세 부과기준 및 감면규정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사회적 기여도가 연간 1조 원 이상인 공공임대주택에 700억원에 달하는 보유세를 부과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오늘 토론회에 참석하신 각계 전문가께서도 공공임대주택의 지속적인 공급과 운영을 위해 보유세 면제가 필수라는 점에 공감해주신 만큼, 앞으로 합리적인 제도 개선이 이뤄지도록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SH공사 "공공임대주택 보유세, 주거복지 저해"
기사입력:2024-08-22 17:12:1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83.17 | ▲34.78 |
코스닥 | 749.28 | ▲4.10 |
코스피200 | 341.06 | ▲3.8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636,000 | ▲182,000 |
비트코인캐시 | 506,500 | ▼1,000 |
비트코인골드 | 8,040 | ▲125 |
이더리움 | 4,036,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940 | ▲30 |
리플 | 3,838 | ▲18 |
이오스 | 973 | 0 |
퀀텀 | 4,937 | ▼4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777,000 | ▲178,000 |
이더리움 | 4,038,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930 | ▲20 |
메탈 | 1,431 | ▲3 |
리스크 | 1,131 | ▼4 |
리플 | 3,839 | ▲13 |
에이다 | 1,223 | ▼4 |
스팀 | 26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65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505,500 | ▼500 |
비트코인골드 | 6,600 | ▼200 |
이더리움 | 4,032,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770 | ▼110 |
리플 | 3,837 | ▲16 |
퀀텀 | 4,800 | 0 |
이오타 | 36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