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 김헌동)가 ‘고품질 공공주택 공급’을 지속하기 위해 아파트 추가선택품목(옵션) 일괄 설치와 감리비 현실화, 가산비 제도 개선 등을 국토교통부에 재요청했다고 9일 밝혔다.
SH공사는 국토부 장관의 '민간아파트 못지않은 고품질 공공주택 적기 공급' 예고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고품질 임대아파트 공급' 방침에 따라 고품질 공공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 공사는 기본형 건축비 적용 시 불합리한 점이 다수 존재한다고 판단, 지난해부터 국토부에 지속적으로 고품질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후분양·분양원가 공공주택의 분양가 산정방식 개선 등을 요청 중이다.
SH공사는 고품질 주택 공급 및 수분양자 권익 보호를 위해 2006년 오세훈 서울시장 시절 건축 공정 80% 시점 입주자를 모집하는 후분양제도 도입 후 현재까지 공사가 공급하는 전 분양주택을 후분양으로 공급해 왔다.
문제는 SH공사가 건축공정 90% 시점(현재)에 후분양할 경우 옵션 시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SH공사 기준 건축공정 90% 시점의 공사 잔여기간은 약 4개월이다. 이 기간으로는 수분양자 선정기간, 자재발주기간, 추가선택품목 설치에 따른 후속마감 공정 순연 등으로 인해 옵션을 시공할 수 없다.
일례로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벽체 배관, 도배, 마감, 공공발주 등 공사 초기부터 시공이 필요하며, 붙박이 가구도 건축 공정 70% 내외 시점에 설치한다. 때문에 후분양 주택 수분양자들은 옵션을 선택하기 어려웠고, 준공 이후 개인이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다.
SH공사는 이 같은 시민 요구에 따라 시스템에어컨이나 붙박이 가구와 같이 변화한 주거 트렌드와 소비자의 호응도가 높은 옵션은 일괄 설치해 공급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달라고 국토부에 피력하고 있다.
SH공사는 또 국토부가 안전사고 예방, 부실시공 방지 등을 위해 지난 2023년 12월 발표한 ‘건설 카르텔 혁파 방안’에 따라 분양가상한제 적용 공공주택의 감리비 편성 기준(기본형건축비)을 조속히 현실화해달라고 요청했다.
현재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하는 공공주택은 공공주택 감리비 기준보다 적은 민간공사 기준 감리비를 편성 중이다. 최근 SH공사가 발주한 고덕강일3단지 건설사업관리용역(감리) 발주금액은 159억원이나, 분양가 상한제 적용 시 감리비용은 19억원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가 “부족한 감리비를 건축 가산비에 반영하겠다”고 발표한 내용을 조속히 현실화해 적정 대가를 제공하는 공정한 발주 환경을 조성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이외에도 ‘공동주택분양가규칙’에 따라 말뚝박기, 흙막이 등 공사비는 건설원가 항목이지만 택지 가산비 항목으로 분류돼 있어, 이에 대한 개선도 요청했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부실시공 문제 해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후분양제가 확산돼야 하지만, 잘못된 제도로 인해 소비자 친화적인 후분양제가 역차별을 받고 있다”며 “고품질 공공주택 공급과 소비자 만족도 제고를 위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100년 이상 사용 가능한 주택을 공급하고 도시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품질이 낮은 저가 공공주택을 많이 공급하라는 ‘질보다 양’ 위주의 정책 방향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SH공사, 국토부에 ‘공동주택분양가규칙 관련 규정 조속한 개정 요청’ 공문 재발송
기사입력:2024-09-09 09:39: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54.58 | ▲0.52 |
코스닥 | 774.65 | ▲6.38 |
코스피200 | 351.92 | ▼0.2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347,000 | ▼368,000 |
비트코인캐시 | 475,000 | ▼2,800 |
비트코인골드 | 6,030 | ▼485 |
이더리움 | 4,09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30 | ▼60 |
리플 | 3,740 | ▼5 |
이오스 | 936 | ▼6 |
퀀텀 | 4,398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357,000 | ▼343,000 |
이더리움 | 4,097,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50 | ▼10 |
메탈 | 1,415 | ▼10 |
리스크 | 1,121 | ▼6 |
리플 | 3,740 | ▼8 |
에이다 | 1,124 | ▼8 |
스팀 | 24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37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475,000 | ▼2,500 |
비트코인골드 | 3,980 | ▼90 |
이더리움 | 4,09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300 | ▼10 |
리플 | 3,740 | ▼5 |
퀀텀 | 4,415 | ▲17 |
이오타 | 329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