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홈플러스는 ‘비국물라면’이 '국물라면’보다 4%p 높은 18%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비국물라면 내 주요 카테고리별 매출도 대부분 크게 성장했다"라며 "특히 파스타라면 매출은 전년비 무려 143%가량 늘었고, 불닭볶음면(24%), 짜장라면(13%)도 큰 인기를 끌었다"라고 말했다.
매출 규모를 보면 짜장라면(48%)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비빔면·쫄면(21%), 불닭볶음면(18%)이 그 뒤를 이었다.
‘컵라면’과 ‘봉지라면’으로 구분해 봐도 ‘비국물라면’의 활약이 단연 돋보였다. 올해 3~11월 매출을 분석한 결과 비국물 컵라면(24%) 매출은 국물 컵라면(3%) 대비 8배가량 높았으며, 비국물 봉지라면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두자릿 수 성장률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컵라면에서는 ‘비빔면·쫄면’ 카테고리 매출이 전년비 48% 급성장했다. 특히, ‘오뚜기 진비빔면’, ‘농심 배흥동 큰 사발’, ‘팔도비빔면Ⅱ’ 등 신제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매콤 볶음면류’ 매출도 ‘라면볶이컵’, ‘컵누들매콤찜닭맛’, ‘간짬뽕’ 등에 관심이 집중되어 전년 대비 약 94% 뛰었다.
또한, 봉지라면과 컵라면의 전체 매출 비중이 7:3 수준임에도 ‘마라면’, ‘매콤 볶음면’, ‘글로벌면’의 올해 매출 규모는 봉지라면 보다 컵라면이 우세했다. 각 카테고리 매출에서 컵라면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매콤 볶음면(56%)’, ‘마라면(56%)’, ‘불닭볶음면(47%)’ 수준으로 모두 절반 가까이 달했다.
동기간 봉지라면에서는 ‘파스타라면’ 카테고리 매출이 전년비 237% 증가했고, ‘야끼소바·카레·우동(59%)’, ‘불닭볶음면(30%)’ 순으로 매출이 늘었다. 무엇보다 지난 10월에 출시된 ‘신라면 툼바’ 봉지라면은 출시 두 달 만에 올해 ‘파스타라면’ 카테고리 매출 비중의 24%를 차지하며 대표 상품으로 등극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홈플러스 온라인, 파스타라면 매출 143% 급증
기사입력:2024-12-30 11:45:4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10.92 | ▲29.23 |
코스닥 | 730.21 | ▲10.29 |
코스피200 | 332.74 | ▲4.0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3,395,000 | ▼507,000 |
비트코인캐시 | 519,500 | ▼5,000 |
비트코인골드 | 6,870 | ▲30 |
이더리움 | 4,260,000 | ▼4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440 | ▼190 |
리플 | 3,920 | ▼35 |
이오스 | 961 | ▼12 |
퀀텀 | 5,295 | ▼5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3,500,000 | ▼327,000 |
이더리움 | 4,261,000 | ▼4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450 | ▼210 |
메탈 | 1,449 | ▼8 |
리스크 | 1,117 | ▼9 |
리플 | 3,929 | ▼26 |
에이다 | 1,178 | ▼8 |
스팀 | 271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3,500,000 | ▼480,000 |
비트코인캐시 | 522,000 | ▼3,000 |
비트코인골드 | 6,800 | ▼100 |
이더리움 | 4,261,000 | ▼4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460 | ▼210 |
리플 | 3,922 | ▼33 |
퀀텀 | 5,315 | ▼70 |
이오타 | 36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