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음악투자 플랫폼 뮤직카우가 올해의 아티스트와 곡을 선정했다. 고객들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올해의 아티스트’엔 국내 최정상 아티스트로 자리매김한 ‘아이유’가, 가장 많이 거래된 ‘올해의 곡’엔 특유의 감성으로 사랑받는 장덕철의 ‘그대만이’가 이름을 올렸다.
뮤직카우는 연말을 맞아 자사 웹매거진 채널인 ‘뮤직카우노트’에 2024년 결산 콘텐츠인 ‘뮤카랭킹’을 공개했다. 2024년 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올 한 해 음악투자자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곡과 아티스트부터 숫자와 데이터로 살펴본 투자 트렌드까지 총망라했다.
뮤카랭킹에 따르면 올해의 아티스트와 곡엔 ‘아이유’, 장덕철 ‘그대만이’가 각각 선정됐다. 고객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순으로 선정한 ‘올해의 아티스트’ TOP3에는 오랫동안 사랑받는 스테디셀러 명곡을 다수 보유한 ▲아이유 ▲윤하 ▲god 순으로 이름을 올렸다. 가장 거래가 많았던 순으로 선정한 ‘올해의 곡’ TOP3에는 ▲장덕철 ‘그대만이’ ▲전상근 ‘사랑이란 멜로는 없어’ ▲장덕철 ‘그날처럼’이 순서대로 랭크됐다. TOP3에 오른 장덕철 노래 2곡은 모두 올해 하반기에 신규 상장한 곡임에도 높은 거래량을 기록한 점이 눈길을 끈다.
관심곡 추가 수가 높은 곡 TOP3에는 ▲휘성 ‘Insomnia’ ▲황치열 ‘그대가 내 안에 박혔다’ ▲이찬원 ‘시절인연’까지 상대적으로 과거 1년 저작권료 수익률이 높았던 곡들이 이름을 올렸다. 1월 1일 대비 11월 30일까지 가격 상승률이 높은 곡 TOP3는 ▲JBJ95 ‘불꽃처럼’ ▲GG(박명수&G-Dragon) ‘바람났어(Feat.박봄)’ ▲양수경 ‘당신은 어디 있나요’ 순으로, 검색량 높은 곡 TOP3는 ▲izi ‘응급실’ ▲김태우 ‘사랑비’ ▲쿨 ‘아로하’ 순으로 나타났다.
뮤직카우는 숫자와 데이터로 2024년을 정리한 ‘뮤카랭킹’을 비롯해 2024년 뮤직카우의 의미 있는 성과를 돌아보는 ‘뮤카로그’까지 다채로운 연말 결산 콘텐츠를 제공 중이다. 뮤직카우 음악증권 연말 결산 결과의 전체 내용은 ‘뮤직카우노트’를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뮤직카우는 세계 최초의 음악수익증권 플랫폼이다. 아티스트에겐 새로운 창작 자금 마련의 기회를, 투자자에겐 새로운 수익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 구축을 통해 건강한 창작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드림어스컴퍼니, 뮤직 사업 중심으로 사업재편
SK스퀘어 관계사 드림어스컴퍼니(060570)가 뮤직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한다. 드림어스컴퍼니는 이를 위해 사업간 시너지가 제한적인 디바이스 사업을 미왕(주)에 영업양도 방식으로 매각한다고 30일 밝혔다.
드림어스컴퍼니는 음악플랫폼 FLO(플로)와 음악 콘텐츠 유통·투자·제작 및 공연 기획 제작, MD를 아우르는 음악 IP 비즈니스를 주력으로 하는 엔터테크 기업이다. 매각 대상인 디바이스 사업은 하이엔드 오디오 아스텔앤컨(Astell&Kern) 및 라이프스타일 디바이스 아이리버의 기획, 생산, 유통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드림어스컴퍼니는 회사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재편을 통해 뮤직·엔터 중심으로 비즈니스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기업 정체성을 명확히 하기 위한 전략으로 디바이스 사업부문의 매각을 결정했다.
본 매각을 통해 디바이스 사업부문의 해외 자회사인 홍콩 법인(Iriver Enterprise Ltd.) 및 홍콩 법인이 소유한 자회사 중국 법인 두 곳(Iriver China Co., Ltd., Dongguan Iriver Electronics Co., Ltd.)도 함께 양도할 예정이다.
드림어스컴퍼니는 지난 9월 오디오 콘텐츠 제작 자회사 스튜디오 돌핀 청산을 포함해 비수익 국내외 자회사 4곳을 정리하며, 모기업인 SK스퀘어의 포트폴리오 비핵심자산 유동화를 통한 밸류업 기조에 발을 맞췄다.
◆인크로스, 아이엠 리포트 발표
SK스퀘어 관계사인 디지털 광고 전문 기업 인크로스가 만 15세~6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및 쇼핑 플랫폼 이용행태, 광고 선호도, 주요 마케팅 트렌드 관련 이용자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한 ‘2024 아이엠 리포트(IAM Report: Incross Analyzes User Report)’를 발표했다.
올해 인크로스 조사에 따르면 가장 이용률이 높은 미디어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포털 사이트가 동시에 91.9%를 기록했으며 내비게이션/지도 앱(81.6%),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80.9%)가 뒤를 이었다. 온라인 동영상 이용자는 평균 4.95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동영상 콘텐츠 중에서도 ‘숏폼 동영상을 시청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93.2%로 2023년 대비 3.7%p 증가했다. 숏폼 플랫폼별 이용률은 유튜브 쇼츠(78.8%), 인스타그램 릴스(46.2%), 틱톡(22.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숏폼 시청률이 높아지는 현상과 관련하여 디지털 광고 선호도 조사에서도 숏폼 동영상 광고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31.0%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10대와 50대가 숏폼 광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 선호하는 광고 유형은 검색광고(25.8%), 동영상 광고(24.5%), 리워드 광고(20.5%), SNS 피드 광고(19.5%) 순으로 집계됐다.
주요 마케팅 트렌드와 관련하여 인크로스는 ▲팝업스토어 ▲장소 탐색 플랫폼 ▲앱테크 ▲AI 서비스 ▲웨어러블 기기 ▲FAST 이용 경험을 조사했으며, 특히 올해는 AI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이용률의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인크로스 조사에 따르면 AI 서비스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 중 72.4%가 생성형 AI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11.3%p 증가한 수치다. 주로 사용하는 AI 서비스는 챗GPT(59.4%), 에이닷(40.9%), 클로바X(13.9%) 순으로 나타났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뮤직카우 투자자가 올해 가장 많이 거래한 곡은? 外
기사입력:2024-12-30 15:18: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5.42 | ▲6.37 |
코스닥 | 743.95 | ▼5.64 |
코스피200 | 336.82 | ▲0.1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071,000 | ▼194,000 |
비트코인캐시 | 500,000 | ▲1,400 |
비트코인골드 | 10,140 | ▲360 |
이더리움 | 3,944,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830 | ▲200 |
리플 | 3,643 | ▲4 |
이오스 | 948 | ▲1 |
퀀텀 | 4,776 | ▲3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160,000 | ▼199,000 |
이더리움 | 3,947,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840 | ▲210 |
메탈 | 1,393 | ▼3 |
리스크 | 1,096 | ▼1 |
리플 | 3,646 | ▲3 |
에이다 | 1,161 | ▲6 |
스팀 | 26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16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501,500 | ▲2,200 |
비트코인골드 | 8,350 | ▲250 |
이더리움 | 3,945,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810 | ▲100 |
리플 | 3,642 | ▲1 |
퀀텀 | 4,742 | ▼24 |
이오타 | 35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