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방송이슈] 락네이션, 뮤직카우 US ‘전략적 주주’ 됐다“ 外

기사입력:2025-02-03 19:48:26
[로이슈 편도욱 기자] 음악투자 플랫폼 뮤직카우가 글로벌 종합 엔터테인먼트 ‘락네이션(Roc Natio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 서비스 런칭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뮤직카우가 미국 락네이션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락네이션은 뮤직카우의 미국 법인인 뮤직카우 US 지분 15%를 확보한 전략적 주주로서, 저작권 공유를 통한 건강한 음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뮤직카우 미국 서비스와 관련한 긴밀한 협업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힙합 대부’ 제이지(Jay-Z)가 소유한 회사인 락네이션은 음악 및 스포츠 매니지먼트, 퍼블리싱, 라이브 공연 기획 등 폭넓은 사업 운영을 통해 다각적인 비즈니스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에선 리한나, 알리샤 키스, DJ 칼리드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티스트들로 잘 알려져 있으며, 탁월한 기획력과 섭외력을 바탕으로 지상 최대 쇼라 불리는 미국 내셔널 풋볼리그(NFL) 결승전 ‘슈퍼볼’의 하프타임쇼를 수년간 흥행시켜 주목받기도 했다.

지속가능한 음악산업 발전을 우선 가치로 두고 있는 락네이션은 모두 함께 참여하는 음악 저작권 시장을 통해 음악 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제시한 뮤직카우의 사업 비전에 공감하며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결정했다.

뮤직카우는 음반제작,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은 경험과 인프라를 보유한 락네이션과의 협업을 통해 문화금융 산업의 밸류체인을 확장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락네이션의 지원 하에 음반 제작을 진행해 슈퍼 IP 확보에도 집중할 예정이다. 뮤직카우는 올해 중 양국 TOP 아티스트의 콜라보레이션 앨범을 발매하는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 해당 프로젝트에는 미국 유수의 프로듀서들이 참여해 양질의 IP 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전세계 동시 발매될 해당 음원들은 향후 뮤직카우 플랫폼에서도 투자 상품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경영권 인수…GMP 확보 및 사업역량 강화

마이크로스피어 장기지속형 주사제 및 지질나노입자(LNP) 플랫폼 기업 ㈜인벤티지랩(38470, 대표이사 김주희)이 지난달 31일 백신개발 및 CDMO 전문 기업인 큐라티스(348080, 대표이사 김성준)의 경영권을 인수한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인벤티지랩은 큐라티스의 전환사채 인수 및 보통주 유상증자 참여 방식으로 3월까지 250억원을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물량을 포함할 경우 큐라티스 지분의 약 40%를 보유하게 돼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인벤티지랩은 큐라티스의 경영권 인수를 통해 큐라티스 오송바이오플랜트 내 장기지속형 주사제 전용 제조설비를 빠르게 구축하고 장기적인 성장기반과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내게 됐다. 인벤티지랩은 앞서 자체 GMP 확보를 위해 최근 538억원의 대규모 펀딩을 추진한 바 있다. 큐라티스의 오송바이오플랜트는 cGMP, EU-GMP 등 글로벌 수준의 GMP 제조시설을 갖춘 사이트로서, 이미 자사(큐라티스)가 개발중인 mRNA 백신의 글로벌 임상샘플 제조에 대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인벤티지랩은 장기지속형 약물전달기술 및 제조 플랫폼 기술인 IVL-DrugFluidic®을 오송바이오플랜트 공장에 적용함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글로벌 및 국내 제약사와의 임상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진행을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임상 시험용 시료 생산 이후의 상업화 단계의 양산도 동일한 제조소에서 즉시 대응할 수 있게 돼 글로벌 및 국내 파트너와의 BD 및 플랫폼 기술영업에서도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다원넥스뷰, AI·HBM 업황 타고 역대 최대 실적

초정밀 레이저 접합장비 전문기업 다원넥스뷰(323350)가 2024년 4분기 매출 74억원, 영업이익 12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3일 공시했다.

이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가 30% 이상 변동한 내용으로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이 전년 대비 75.5% 증가한 187억원, 영업이익은 13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41억원 적자를 기록하며 전년 0.9억원 흑자에서 적자전환했다.

회사 측은 "지난해 6월 스팩 합병비용 52억원이 일회성으로 반영된 결과"라며 "이를 제외한 실질적인 당기순이익은 11억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I와 HBM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며 "반도체 시장 호황과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AI 수요 급증으로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관련 장비 수요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HBM 시장 규모가 2024년 182억달러에서 2025년 467억달러로 15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39.05 ▲17.78
코스닥 749.59 0.00
코스피200 336.67 ▲2.17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073,000 ▼914,000
비트코인캐시 506,000 ▼6,000
비트코인골드 10,730 ▼450
이더리움 4,020,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31,360 ▼110
리플 3,711 ▼42
이오스 957 ▼2
퀀텀 5,025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389,000 ▼675,000
이더리움 4,027,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1,400 ▼80
메탈 1,418 ▼7
리스크 1,109 ▼4
리플 3,715 ▼35
에이다 1,182 ▼30
스팀 27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130,000 ▼850,000
비트코인캐시 506,000 ▼7,000
비트코인골드 9,150 ▲350
이더리움 4,019,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31,210 ▼410
리플 3,712 ▼43
퀀텀 5,005 ▼30
이오타 366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