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은 국내 콘텐츠 기업의 남미·유럽지역 수출을 지원하고자 현지 비즈니스센터를 신설, 지난 23일 브라질 비즈니스센터와 24일 스페인 비즈니스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 브라질 비즈니스센터, 남미 대표 국가와 콘텐츠 비즈니스 교류 주도
브라질 비즈니스센터 개소식은 지난 23일 티볼리 모파레즈 상파울루 호텔에서 열렸다. 멕시코, 아르헨티나에 이어 중남미에서 세 번째로 설립된 브라질 비즈니스센터는 한국 콘텐츠의 현지 안착과 비즈니스 교류를 지원할 계획이다.
브라질 콘텐츠산업은 2023년 기준 약 315억 달러 규모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6% 성장이 예상되는 남미 최대 콘텐츠 시장이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이 시장에서 브라질 비즈니스센터는 K-콘텐츠 진출 및 산업 협력의 전략적 거점으로 자리할 전망이다.
개소식에는 주상파울루 대한민국 총영사관 채진원 총영사, 주브라질한국문화원 김철홍 원장, 상파울루 영화위원회(SPCINE) 리아라 올리베이라(Lyara Oliveira) 회장 등 브라질 콘텐츠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채진원 총영사는 “브라질은 세계적인 콘텐츠 강국 중 하나로 K-POP을 통한 한류의 인기가 확산되며 K-콘텐츠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협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라며, “이번 브라질 비즈니스센터 개소를 통해 양국 간 콘텐츠산업 교류 및 협력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이번 개소식에서는 K-드라마 페스티벌 업무협력 MOU 체결도 함께 진행했다. 이를 계기로 상파울루예술문화연구소(ISPAC)와 콘진원은 <2025 K-드라마 페스티벌>을 위해 상호협력하게 된다. 페스티벌에서는 브라질 내 K-드라마 활성화를 위한 ▲프리뷰 상영 ▲어워드 ▲비즈매칭 등이 진행될 계획이다.
◆ 스페인 비즈니스센터, 기존 서유럽 시장 뛰어넘을 성장 토대 마련
스페인 비즈니스센터 개소식은 지난 24일 주스페인 한국문화원에서 진행됐다. 유럽권역에서는 프랑스,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튀르키예 비즈니스센터와 함께, K-콘텐츠의 유럽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양국 간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할 계획이다.
스페인이 4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스페인어권 시장을 바탕으로 글로벌 콘텐츠산업 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스페인 비즈니스센터는 현지 공동 프로젝트를 발굴해 글로벌 성공 사례를 창출할 예정이다.
개소식에는 문체부 장미란 제2차관을 비롯해 스페인 문화부, 무역투자진흥청(ICEX), 현지 기업 및 언론 등 80여 명이 참석하며, 한국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장미란 제2차관은 “스페인에서의 K-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수요의 증가가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스페인 비즈니스센터가 우리 기업과 현지 시장의 연결고리 역할을 잘 담당해 주길 당부드린다”라며, “전 세계에 인정받는 K-콘텐츠가 스페인에 더 많이 공급되고, 향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축사를 전했다.
한편, 콘진원은 현재 25개소(미주유럽 권역 14개소)의 해외거점을 운영하고 있다. 2025년에는 추가로 5개 비즈니스센터를 신규 개소해 총 30개 해외거점을 운영할 계획이며, 국가별·권역별 해외거점을 통해 해외진출에 도움이 필요한 국내 콘텐츠 기업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콘진원, 브라질·스페인 비즈니스센터 개소
기사입력:2025-02-04 17:56:2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39.05 | ▲17.78 |
코스닥 | 749.59 | 0.00 |
코스피200 | 336.67 | ▲2.1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101,000 | ▼760,000 |
비트코인캐시 | 511,000 | ▼4,000 |
비트코인골드 | 9,075 | ▲35 |
이더리움 | 4,022,000 | ▼48,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670 | ▼250 |
리플 | 3,735 | ▼19 |
이오스 | 961 | ▼12 |
퀀텀 | 5,005 | ▼12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185,000 | ▼711,000 |
이더리움 | 4,024,000 | ▼4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660 | ▼270 |
메탈 | 1,428 | ▼17 |
리스크 | 1,112 | ▼14 |
리플 | 3,735 | ▼19 |
에이다 | 1,211 | ▼8 |
스팀 | 27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120,000 | ▼730,000 |
비트코인캐시 | 513,000 | ▲3,500 |
비트코인골드 | 8,050 | ▲50 |
이더리움 | 4,025,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700 | ▼140 |
리플 | 3,735 | ▼19 |
퀀텀 | 5,000 | ▼105 |
이오타 | 37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