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이슈] 메텍홀딩스, 美 JMB 노스아메리카社와 미화 185만달러 수출계약 체결 外

기사입력:2025-02-07 17:42:14
[로이슈 편도욱 기자] 가축 메탄가스 연구전문 스타트업 메텍 홀딩스(MeTech Holdings, 이하 메텍)이 축산 대국인 미국의 JMB 노스아메리카(JMB North America, CEO 존 발비안)와 미화 185만 달러(한화 약 27억원) 규모, 메탄캡슐 활용한 ‘저탄소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메텍과 JMB 노스아메리카는 미국 윌리엄 H. 마이너농업연구소(뉴욕 소재)와 함께 메탄캡슐을 활용하여 미국 최초로 뉴욕주에 있는 젖소들을 대상으로 저탄소 프로젝트를 가동키로 했다. 저탄소 인증 우유가 앞으로 전세계 낙농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새로운 돌파구 내지는 발판으로 관심을 모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美 JMB 노스아메리카社는 코넬대학교 출신인 존 발비안(Jahn Balbian) 대표가 창업한 축산 융복합 ICT기업으로, 뉴욕의 20만두 이상의 젖소(홀스타인) 관리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한 전문기업이다.

또한 미국 윌리엄 H. 마이너농업연구소(William H. Miner Institute)는 뉴욕 채지(Chazy)에 8,600에이커(1,053만 평) 규모의 대규모 농장을 보유한 비영리 농업연구기관으로 1951년도에 설립되었다.

메텍 박찬목 대표는 "미국 JMB 노스아메리카, 마이너농업연구소와 함께 ‘저탄소 유제품 공동 프로젝트’에 메텍에서 개발한 메탄캡슐을 활용하여 미국내 가축들의 저탄소 인증과 관리에 사용되어 매우 기쁘다. 미화 185만 달러 규모인 이번 프로젝트는 약 1억 2천만두의 가축을 보유한 축산대국인 미국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그 상징성이 매우 큰 프로젝트다. 미국 외 전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튼튼한 교두보가 확보됐다”고 밝혔다.

◆라닉스, 2025년 보안·헬스케어 사업 강화로 새로운 도약

차량용 보안 및 통신 시스템 반도체 전문 기업 라닉스(317120, 대표이사 최승욱)가 2024년 실적 발표 및 2025년 흑자 전환을 위한 경영 전략을 발표했다.

라닉스는 2024년 ETC 시장의 치열한 경쟁으로 실적이 부진했으나, 이에 대응해 RF 통신 및 보안 기능을 강화한 신제품을 출시했고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는 동시에 2025~2026년 ETC 시장 점유율 회복 및 매출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향후 보안 기능을 강화한 제품을 통해 독보적인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며, 2025년은 보안 및 헬스케어 사업을 성장 동력으로 매출 개선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라닉스는 2025년 수익성 개선 및 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헬스케어 사업을 적극 확대할계획이다. 회사는 다양한 헬스케어 기업과의 MOU를 체결하고 60GHz 제품, 스마트워치, 체중계 등을 B2B 형태로 전국의 요양원과 보건소에 납품할 계획이다. 회사는 헬스케어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보안 분야에서는 양자보안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라닉스는 양자내성암호칩 및 솔루션 개발을 통해 급성장하고 있는 양자보안 시장에서 국내기술의 자립을 선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라닉스의 QRNG 솔루션이 탑재된 보안칩의 상용화를 통해 자동차, 공공, 국방 등 산업 전반에서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라닉스는 최근 진행된 토지 자산 재평가를 통해 재무건전성도 대폭 강화했다. 이번 재평가로 연결 자본이 전년 대비 105% 증가한 218억 원을 기록했으며, 부채비율은 기존 175%에서 97%로 획기적으로 감소했다. 이는 향후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탄탄한 재무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알에스오토메이션 정전용량식 로봇 구동모듈 관련 특허 출원

로봇모션 제어 전문 기업 알에스오토메이션(140670)이 국책과제로 정전용량식 로봇용 구동모듈을 개발하는 가운데, 최근 로봇모듈 부품 가운데 하나인 정전용량식 엔코더 기술에 대해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회사가 출원한 관련 특허는 총 2건이다.

알에스오토메이션은 지난 2023년 중소벤처부 기술혁신개발 과제 ‘정전용량식 엔코더를 활용한 로봇용 서보모터의 구동모듈 개발’에 위탁연구개발기관 자격으로 서울대학교와 충남대학교와 함께 참가했다. 회사는 해당 과제를 통해 로봇 제어 핵심 기술을 집적해 엔코더, 드라이브, 모터 및 자체 알고리즘을 탑재한 일체형 구동모듈(스마트 액추에이터)을 개발해왔다.

정전용량식 엔코더는 이스라엘군 방공시스템인 ‘아이언 돔’이나 국내 저고도 요격미사일 등 각종 유도무기의 핵심부품으로, 진동이나 전파방해, 전자방해(EMI), 무선주파수장해(RFI)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으로 방위산업 분야의 필수 부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알에스오토메이션에서 개발하고 있는 정전용량식 엔코더는 일반적인 엔코더와 비교해 크기는 20%~30%, 전기사용량은 10% 수준이다. 이에 작은 크기와 저전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프리미엄 모바일 로봇, 초소형 드론 등 다양한 미래 첨단 산업에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48.39 ▲9.34
코스닥 745.18 ▼4.41
코스피200 337.23 ▲0.5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573,000 ▲282,000
비트코인캐시 502,000 ▲3,300
비트코인골드 9,620 ▼180
이더리움 3,984,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31,000 ▲380
리플 3,655 ▲17
이오스 955 ▲9
퀀텀 5,170 ▲39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699,000 ▲399,000
이더리움 3,990,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31,000 ▲370
메탈 1,410 ▲16
리스크 1,107 ▲11
리플 3,659 ▲15
에이다 1,169 ▲14
스팀 262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590,000 ▲300,000
비트코인캐시 502,000 ▲3,500
비트코인골드 7,950 ▼150
이더리움 3,986,000 ▲34,000
이더리움클래식 31,050 ▲550
리플 3,655 ▲14
퀀텀 5,190 ▲405
이오타 354 ▲9
ad